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패션 디자인 진흥 정책이 신인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보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디자인이 경쟁력인 시대이다. 젊은 디자이너였던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의 파격적인 사넬 하우스(House of Chanel)입성과 더불어 디올 하우스(House of Dior)의 이브생 로랑(Yves Henri Donat Mathieu-Saint-Laurent), 루이비통(Louis Vuitton)의 마크 제이콥스(Marc Jacobs)와 같이 젊고 가능성 있는 디자이너들의 전략적 영입으로 오늘날 까지 젊은 브랜드 이미지를 이어오며 트랜드의 선상에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이너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최근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에서는 재능 있는 신인 디자이너의 파격적인 영입이 기업의 마케팅과 운영전략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해외의 경우 신인 패션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국가와 기업의 차원에서 정책을 통해 지원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을 인지하고 정부, 지자체 및 기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 진흥 정책을 시행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인 패션 디자인 진흥 정책의 사례에 대하여 각 정책이 갖는 성격 및 유형에 따라 ‘신인 패션 디자이너 발굴 지원 정책’, ‘패션정보 및 디자이너 브랜드 컨설팅 지원 정책’,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인큐베이팅 지원 정책’, ‘패션 디자이너 및 디자이너 브랜드 홍보·마케팅 지원 정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책의 실제 사례에 대하여 실증 조사를 진행 하였으며, 각각의 정책을 경험한 정책 수혜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신인 패션 디자이너의 ‘브랜드 론칭’ 에는 신인 패션 디자이너 발굴 지원 정책의 ‘상금’과 ‘부상’과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인큐베이팅 지원 정책의 ‘공간’제공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 되었으며, 패션 정보 및 브랜드 컨설팅 지원 정책은 ‘브랜드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홍보·마케팅 지원 정책은 ‘브랜드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디자이너들은 신인 패션 디자이너 발굴 지원 정책의 홍보 부족과,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인큐배이팅 지원 정책의 공간과 교육, 홍보의 질에 대해서 지적하였으며, 패션 브랜드 컨설팅 지원사업의 전문성 부족과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홍보·지원사업의 관리부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패션 디자인 진흥 정책을 위해 일관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그 방안으로 통합적인 관리 기관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In the age of the 21st century, design is th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o the exceptional entry of a young designer Karl Lagerfeld to House of Chanel, as shown from Yves Henri Donat Mathieu-Saint-Laurent of House of Dior, Marc Jacobs of Louis Vuitton, young and promising designers are showing their influence on the front line of trends maintaining a young brand image through strategic scouting. Along with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 designer, recently unprecedented scouting of new talented designers is being done as enterprises' marketing and operation strategies in the global fashion brands. In such a context, foreign nations and enterprises are promoting a support policy to scout new fashion designers and give aid to their growth. Recognizing such a flow, domestic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enterprises are executing fashion design promotion policies. Accordingly, as the case study for domestic fashion design promotion policies, this study classified such polici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and type into the supportive policies for 'Rising fashion designer scouting', 'Fashion information & designer brand consulting', 'Fashion designer brand incubating' and 'Fashion designer brand PR·marketing'. Besides, empirical research for actual policy cases was conducted and interview with benefited designers of each polic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interview, this study showed that 'prize money' and 'additional prize' by the supportive policy for rising fashion designer scouting, and a provided 'space' by the supportive policy for fashion designer brand incubating had an effect on 'brand launching' of new fashion designers. The supportive policy for fashion information & brand consulting had an effect on the 'operation of a brand'. Furthermore, supportive policy for fashion designer brand PR·marketing had an effect on the 'growth of a brand'. However, designers pointed out issues including insufficient PR for the rising fashion designer scouting support policy, quality of a space, education and PR in the supportive policy for fashion designer brand incubating. Also they raised problems on lack of specialty of the fashion brand consulting support project, and deficient management of the fashion designer brand PR·support project. Hen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is required to promote consistent and strategic projects for efficient fashion design promotion. As the related measure,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governing organ as a task required.

      • 무용분야 청년예술 지원정책 연구

        임보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청년정책은 ‘일’ 중심 정책에서 ‘삶’ 중심 정책으로 변화하였고, 이러한 흐름은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더욱이 2004년 「새예술정책」과 2011년 「예술인 복지법」이 생겨나면서 예술인에 대한 지원정책이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청년예술인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시도하는 주체자로서 미래의 발전적인 문화예술계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재원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필연성과 목적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예술 지원정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무용전문 청년예술인들의 창작예술 활동에 있어 적극적인 지원과 안정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청년예술 정책과 관련된 문헌 자료와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청년예술 지원정책은 각 지역의 문화예술 자원을 활용하여 각 실정에 맞는 청년예술정책을 설계하고 사업화하여 진행하고 있다. 주요 예술정책은 지역문화재단을 통해 사업을 수행 중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서울, 광주, 부산, 대구, 대전문화재단의 청년예술 지원사업의 현황을 조사 연구해보았다. 각 지역문화재단의 무용분야 청년예술 지원정책의 현황을 보았을 때 신청자격, 지원종목, 예산, 심의기준은 각 지역문화재단마다 상이하였고, 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청년예술 지원정책을 통해 청년예술인들이 제공하는 문화 예술의 다양성과 청년예술인들의 예술적 발현을 통해 다방면으로 사회적인 유용한 기능과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정부에서 지향하는 바와 같이 청년예술 지원정책은 일 중심 정책보다는 삶 중심 정책에 중점을 맞춘 정책이 보다 더 현실적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정부에서는 지원사업을 취업과 연관하여 국가 공무원으로서의 취업지원 제도나 의료지원, 생계지원과 같은 안전보험 제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청년들에게 청년예술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 전달이 부족한 현실이다. 각 지역 예술단체나 예술학과가 있는 대학에서도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청년예술인들의 취업 문제의 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불안정한 청년예술인들의 삶에 희망을 불어넣어 앞으로 문화예술계에 안정적이고 발전적인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정책은 21세기 세계적인 문화 대국으로 나아가는데 일조를 할 것이며, 예술을 통한 산업화로 경제적 활성이 삶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다. Today's youth policy has been changed from task-oriented policies to life-oriented policies, and this tendency has also affected the art field. Moreover, as the「New Art Policy」in 2004 and the「Artist Welfare Act」came into existence in 2011, support policies for artists started to be activated. Young artists have the inevitability and purpose of research in that they are a human source that can lead the future growth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as subjects who pursue and attempt new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upport policy for youth on society, and recourses to active support and stable progress in the creative arts activities of young artists specializing in dance are offered. As an analysis 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publications and internet-based data collection in Youth Arts Policy. The support policy for youth arts utilizes each region's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to plan and support Youth Arts Policies suitable for each situation. Since effective art policies are being brought out through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youth arts support projects of cultural foundations in Seoul, Gwangju, Busan, Daegu, and Daejeon. When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support policy for youth arts in the dance field, the application support qualifications, support items, budget, and guidance of deliberation were distinct for each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nd problems and advancement steps were suggested. In addition, support policy for youth artists, through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arts provided by young artists and the artistic expression of young artists, had socially valuable functions and weights ​​in various ways. As the government drives, the support policy for youth arts should be realistically implemented as a policy focusing on life-centered preferably than work-centered policies. For example,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government to make safety insurance such as an employment support system for a national civil servant, medical support, and livelihood support in connection with employment. Moreover, the truth is that there are not adequately informed about youth arts support projects for young people. Active publicity will also be needed in universities with local art groups or art departments. It will likely solve the difficulties of seeing careers for young artists. Furthermore, it would bring regular and developmental transitions to the futur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by infusing hope in the lives of varying young artists. These policies would assist in moving into world-class cultural powers in the 21st century, and the economic impact of the arts will bring about life improvement.

      • 한국어 교육 실습 개선 방안 연구

        임보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실습 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로 현재 한국어 교육 실습이 실제 교육 경험을 체득하기에 많은 제한점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 실습은 참관 수업, 모의 수업, 실제 수업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이 중 두 형태의 수업을 필수적으로 이행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 기관이 실제 수업의 기회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참관 수업 및 모의 수업의 내용도 교사로서의 교수 경험을 얻기에는 불충분하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를 보면 자국어 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육 실습과 인턴쉽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교육 실습 과정에서 반드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제 수업을 포함하고 있어 예비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 나서기 전에 충분한 교수 경험을 얻을 수 있다.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도적, 내용적인 기준으로 나누어 방안을 제안했는데 먼저 실제 수업 과정을 반드시 포함할 것을 주장한다. 보다 많은 예비 교사들에게 고르게 수업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2~3명의 예비 교사가 함께 수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제 수업을 진행할 때 구성주의 교수 이론에 입각하여 수업 내용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의사 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디딤말하기, 협동학습, 상황학습이론 등의 교수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구성한다. 제도의 개선과 수업 내용의 발전을 통해 한국어 교육 실습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해야 하는데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협조 또한 필수적이라는 점을 제안한다. 한국어 교육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인 교사들이 그 경쟁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육 실습이 보다 실제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 친환경 건축자재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특성에 따른 실내공기질 비교 연구

        임보아 건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는 사람들이 실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90 % 이상으로 증가하고, 에너지 절약을 위해 건물을 밀폐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질(Indoor Air Quality)이 악화됨에 따라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각종 사무기기 사용의 증대와 건축내장재들이 다양화, 고급화되어 이들로부터 실내로 배출되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알데하이드, 암모니아 등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점차 커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건축자재는 이러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오염원으로 지목되고 있으나, 이들 건축자재로부터 인체에 유익한 자연 VOCs(Natural VOCs)도 배출되므로 친환경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VOCs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건축자재인 생재(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삼나무, 편백나무)와 목질제품(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남양재합판, 칠레송합판)을 대상으로 하여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20L 소형 챔버법을 사용하여 Total VOCs(TVOCs) 경시변화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NVOCs의 배출속도를 조사하였으며, NVOCs 구성 물질비를 알아보았다. 친환경 건축자재 중 소나무와 편백나무를 치장한 실내의 TVOCs와 NVOCs를 조사함으로써 건강한 실내공기질을 확보하기 위한 친환경건축자재를 선정하였다. 소형챔버에 시료설치 후 7일 이후의 TVOCs 방출속도를 비교한 결과, 편백나무가 17,325 μg/m²­hr 으로 가장 높았으며,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삼나무의 순으로 높은 배출속도를 보였다. 목질제품은 생재보다 낮은 배출속도를 보였으나 목질제품 중 MDF가 633 μg/m²­hr 으로 가장 높은 배출속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나무, 남양재합판 등을 제외한 수목에서의 TVOCs 중 NVOCs는 50% 이상, 최대 97% 이상을 차지하였다. 잣나무의 TVOCs는 삼나무보다 높은 배출속도를 보였으나, NVOCs는 반대로 나타났다. 이는 삼나무로부터 배출되는 VOCs 물질 중 검량물질 외의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친환경 건축자재인 소나무와 편백나무를 치장한 실내, 일반 도시주택의 실내, 그리고 코팅된 목재를 치장한 실내의 VOCs 농도를 측정한 결과, 편백나무를 치장한 실내의 TVOCs 농도가 6,334.3 μg/m³ 으로 가장 높았다. 소나무를 치장한 실내의 TVOCs 농도는 2,148.4 μg/m³ 이었고 일반도시 주택과 코팅된 목재를 치장한 실내는 6.4 μg/m³ 과 2.0 μg/m³ 이었다. 편백나무와 소나무를 치장한 실내의 TVOCs농도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인 1,000 μg/m³ 보다 높았으나 TVOCs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생재를 치장한 주택의 경우 인체에 이로운 NVOCs가 73 %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현재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상에서는 NVOCs도 TVOCs에 포함하여 규제하고 있으나 생재 등의 목재에서 방출되는 NVOCs는 인체에 이로우므로 TVOCs에서 제외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concerns about indoor air quality have been increasing, as people spend more time indoor, also as air pollutan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door. One of the major indoor air pollutants ar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furniture, building materials, and living goods. Furthermore, the VOC emissions from building materials last for the fairly long time. Therefore, there are many research groups working on VOC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and their impact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on the elapsed time and the VOCs emissions from lumber(Pinus densiflora, Larix leptopis, Pinus koraiensis,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wood-based panels (Particle board (PB), Midium density fiberboard (MDF), Plywood of Oceania Timber and Plywood of Pinus radiata), and indoor embellished lumber. A comparison was made with total VOCs (TVOCs), Natural VOCs (NVOCs), and composition ratios of NVOCs from the above. The concentrations of TVOCs emitted from the lumber of Chamaecyparis obtusa was the highest as 17,325 μg/m²-hr. It was also found that emissions of NVOCs were much higher than Other VOCs (OVOCs). However, NVOCs were only less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than lumbers. NVOC concentrations from ecological building materials were the highest as 73% of TVOC. Also, this research revealed that monoterpenes were mainly emitted from lumbers. Major VOC components were monoterpenes such as α-pinene, β-pinene, d-limonene, camphene and α-terpinene etc.

      •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 제주 삼양동 유적을 중심으로

        임보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의 선사시대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특히, 제주지역 내 선사시대를 특화시켜 전시하고 있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런 필요성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선을 위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기에 앞서 고고학 연구의 세 가지 접근인 문화사 고고학, 과정주의 고고학, 탈 과정주의 고고학과 하인의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고학적 전시구조와 교육프로그램을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설명-발견 접근법’, 해석-구성주의 접근법‘으로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분석 관점과 분석 요소를 개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주 삼양동 선사 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양동 선사 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은 전체적으로 ‘기술- 직접적 설명’ 접근법을 취하고 있었다. 관람자인 학생들이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과거 사람들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의미를 구성하기보다는 과거의 생활양식에 관한 정보를 세세하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있었다. 둘째,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은 순차적으로 제시된 경로를 통해 체험을 유도하였다. 시작과 끝이 분명하고 의도적인 동선을 제공하는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은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에 속하는 유형으로, 고고학적 지식을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좋은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접근법이 관람자로 하여금 고고학적 지식을 발견하게 하고(설명-발견 접근법),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하도록 (해석-구성주의 접근법) 격려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의미 구성 방식과 관련해 문화사적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설명 패널과 유물 라벨에는 유물의 시기, 명칭, 용도, 재질, 형식, 이주 및 전파에 관련된 정보들만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교재는 이러한 고고학적 기술 내용을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한편,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사전 경험과 인지 발달을 고려하거나 직접 조작, 탐색, 실험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만의 지식을 구성하게 하는 측면에서도 미흡한 점을 드러냈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유형에 치우쳐, 설명-발견적 접근, 해석-구성주의적 접근을 고려한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선사유적 박물관은 선사인의 삶을 추론하고 해석하는 고고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 학생들은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고고학적 맥락에서의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향후 삼양동 유적지의 교육적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가 학교 역사교육에서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ehistoric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s a part of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history education in schools. Especially, the need for educational involvement was recognized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where its exhibitions include prehistoric remains of Jeju.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attempted a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for their improvement. Prior to analysis, the three approaches to archaeological studies were explored, namely culture historical archaeology, processual archaeology, and post-processual archaeology as well as the constructive museum education put forth by George E. Hein. Based on the findings, the archaeological exhibition 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and their analytic perspectives and factors were develop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in general, took up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meaning that rather than allowing the spectators to find stories and constructing meanings from the archaeological records, the museum directly delivered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lives of the past. Second,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ed the spectators to take in the experience in the sequence that they intended. With a clear beginning and ending and a deliberate route,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opted by the museum may be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archaeological knowledge to the spectators, but it was constrained in terms of allowing the spectators discovering archae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own and constructing meanings. Thir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of meanings by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al historical description’. The explanatory panels and labels only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form, migration and dissemination, materials, purpose of use, and function. What’s more, the sole purpose of the museum handouts was to confirm these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nly.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lso displayed their deficit in facilitating the spectators to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direct operation, exploration or experimentation, nor took into consideration the past experi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is exceedingly predisposed toward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and must be modified to incorporate ‘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Because a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an educational space for the spectators to experience the exploratory courses of archaeologists in inferring and interpreting the lives of people in prehistoric times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an archaeologic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utilized in the course of museum’s attempt at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same context, I hope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stone for schools to exploit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s a part of their history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