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약 잔류허용기준설정을 위한 노출평가 방법 선진화 연구

        임무혁 ( Moo-hyeog L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현재 우리나라는 식품 중 잔류농약의 노출평가 방법을 이론적 일일최대섭취량(TMDI)에 의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어 현실적 노출수준 평가를 반영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며, 제외국(Codex, 미국, 유럽연합 등)의 노출평가 방법을 조사하여 국제적 조화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잔류농약 기준 설정을 위한 최적의 노출평가 모델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제외국의 노출평가 방법을 조사한 결과, 급성노출평가의 경우 JMPR은 HR 또는 STMR을 이용하여 유아, 어린이, 여성 평균에 대하여 IESTI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은 1단계 (기준×섭취량), 2단계 (기준 또는 HR(밀 같은 혼합품목은 STMR)×섭취량), 3단계 (STMR 또는 모니터링 자료 사용, 확률적 기법 사용), 4단계 (소비 상태의 잔류자료 사용, 확률적 기법 사용)로 나누어 노출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은 JMPR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은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농약 등에 대하여 HR과 MRI을 이용하고 있다. 만성노출평가의 경우, JMPR은 STMR을 사용하여 EDI 평가를 수행하며, 미국은 1단계 (기준×섭취량), 2단계 (기준 또는 HR(alf 같은 혼합품목은 STMR)×섭취량), 3단계 (STMR 또는 모니터링 자료 사용), 4단계 (소비 상태의 잔류자료 사용)하였으나, 확률적 기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유럽은 1단계에서 TMDI 평가를 실시하여 ADI를 초과하거나 근접할 경우, 2단계에서 EDI 평가를 수행하였다. 일본은 1단계에서 TMDI,2단계에서 EDI 평가를 수행하며, ADI를 초과할 경우에는 3단계에서 엄격한 기준치를 채택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다이아지논과 이민옥타딘 농약에 대한 국내의 잔류자료를 이용하여 EDI 및 가공계수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한 후 TMDI와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백설기의 가공과정 중 Flubendiamide의 농약 감소 연구

        이혜수 ( He Su Lee ),서정아 ( Jeong A Seo ),김동현 ( Dong Hyun Kim ),조미현,김현준 ( Hyun Jun Kim ),임무혁 ( Moo-hyeog L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본 연구는 백설기 가공 중 flubendiamide의 잔류량을 분석하고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장실험에서 농약을 살포할 경우, 백미 도정 후 대부분 농약이 감소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농약을 과량 잔류시키기 위하여 flubendiamide 농약(애니충, 액상수화제 20%)을 현미에 침지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현미에 최종 잔류농도는 flubendiamide의 잔류허용기준 수준과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이 되게 제조하였다. 현미를 백미로 도정 후 백설기로 가공하였으며 가공 중 flubendiamide의 잔류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백설기의 가공 단계별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Flubendiamide 잔류허용기준 수준의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경우, 농약은 74.1%로 감소되었으며, 백미 세척, 분쇄, 백설기의 농약 잔류량은 정량한계 미만으로 나타났다. 잔류허용기준의 40배 수준의 현미를 백미로 도정할 경우, 농약은 90.2% 감소되었으며, 백미를 물로 세척한 후 97.2%, 백미를 12시간 불린 후 97.6%, 쌀가루로 제조한 후 97.6%의 농약이 감소되었다. 가열하여 백설기를 제조한 후 농약 감소율은 98.3%로 조사되었으며, 가공계수는 0.01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백미를 백설기로 제조할 경우 가공과정 중 대부분의 잔류농약이 세척 및 가열을 통하여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약 기준 및 위해평가 국제화를 위한 농약 가공계수 연구

        이혜수 ( He Su Lee ),서정아 ( Jeong A Seo ),김동현 ( Dong Hyun Kim ),조미현 ( Mee Hyun Cho ),김현준 ( Hyun Jun Kim ),임무혁 ( Moo-hyeog Lm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본 연구는 가공계수의 기초 연구 및 자료확보를 위하여 과일 등 농산물에 대한 가공계수 국제기준 설정 현황을 비교 · 분석하였으며, 10년간의 JMPR 보고서를 조사하여 가공방법 및 가공계수를 정리하여 CODEX의 농약 기준설정에 대한 근거 자료를 조사하였다. CODEX에 등록된 230종 농약 중 가공연구가 수행된 120여종 농약을 3개년(2019~2021년)으로 나눈 다음, 연차별로 대상 식품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위해평가를 위한 섭취량 분리 및 가공계수를 제안하는 요약서 작성을 수행하였다. Maleic hydrazide의 감자에 대한 가공연구는 삶음, 오븐조리, chip에 대한 연구가 제출되어 가공계수는 각각 0.52, 1.2, 0.92로 나타났으며 위해평가에 사용하였으며, fenamiphos는 토마토, 오랜지, 사과, 포도, 파인애플에 대한 가공연구가 제출되어 각 농산물별 위해평가에 사용 가능한 가공계수는 토마토 주스 0.88, 토마토 케첩 0.58, 오렌지 주스 0.28, 사과 주스 0.78, 건포도 1.22, 파인애플 주스 1.19 이였다. Parathion의 가공계수는 각각 사과 주스 0.072, 포도 주스 0.09, 건포도 0.35, 옥수수가루 0.68, 옥수수 정제유 2.4, 백미 0.46, 수수가루 0.4, 밀가루 0.35, 해바리기씨 정제유 0.42, 면실 0.014으로 나타났으며, pyrethrins는 오렌지 주스 <0.66, 건포도 <0.48, 포도 주스 <0.48, 토마토 퓨레 <0.52, 토마토 주스 <0.52로 가공계수가 산출되었다. 또한, paraquat는 감자, 옥수수, 수수, 해바라기씨에 대한 연구가 되었으며 각 농산물별 가공계수는 감자 crips >0.95, 옥수수가루 1.5, 옥수수 정제유 <0.25, 수수가루 0.14, 해바라기씨 정제유 <0.05로 나타났다. Pirimiphos-methyl의 가공계수는 밀가루 0.17, 빵 0.097이었으며, trinexapac-ethyl은 밀가루 0.43이었으며, flonicamid은 사과 주스 3.7, 복숭아 통조림 0.7, 복숭아 주스 0.8, 복숭아 잼 0.7, 토마토 페이스트 16.1, 감자 chips 0.95, 유채씨 정제유 0.1이었으며, boscalid는 오렌지 주스 <0.23, 사과 주스 0.08, 포도 주스 0.42, 와인 0.35, 건포도 2.5, 토마토 주스 0.15, 토마토 페이스트 0.73, 대두 정제유 0.42, 밀가루 0.34, 딸기 잼 0.44, 오이피클 0.52, 당근 주스 <0.12, 당근 통조림 <0.12, 옥수수 정제유 6.0, 유채씨 정제유 1.29로 가공계수가 산출되었다. 또한, 국내 가공계수 산출 대상 농산물인 쌀을 가공 중 농약 감소율을 분석하여 대 국민 홍보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쌀에 농약을 침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침지한 현미를 세척, 취반으로 가공하였으며 현미를 도정하여 백미를 세척, 취반, 백설기, 죽, 쌀과자, 뻥튀기로 가공 후 가공계수를 산출하였다. 백설기, 죽, 쌀과자, 뻥튀기는 가공 중 잔류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공 단계별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공계수를 산출한 결과, buprofezin은 현미를 3회 세척하였을 때 0.6, 백미는 0.5로 나타났으며, 현미밥 0.4, 백미밥 0.1, 백설기 0.01, 죽 0.01, 쌀과자 0.01로 산출되었다. Tebufenozide는 3회 세척 시 현미에서 0.4, 백미 0.3으로 나타났으며, 현미밥 0.3, 백미밥 0.1, 백설기, 죽, 쌀과자는 모두 0.01로 산출되었다. Etofenprox의 경우, 3회 세척 시 현미에서 0.4, 백미 0.3으로 나타났으며 현미 밥 0.3, 백미밥 0.1, 백설기 0.02, 죽과 쌀과자는 0.01로 가공계수가 산출되었다, Flubnediamide는 3회 세척 시 현미 0.4, 백미 0.3으로 나타났으며, 현미밥 0.2, 백미밥 0.1,백설기 0.02, 죽과 쌀과자 0.01 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4종 농약은 세척 및 가열 가공으로 인하여 농약이 분해 및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벼 가공품 중 Flubendiamide와 Tebufenozide의 잔류 특성 및 가공계수

        김동주 ( Dong Ju Kim ),신현우 ( Hyeon Woo Shin ),함영진 ( Young Jin Ham ),조승현 ( Seung Hyeon Jo ),김서홍 ( Seo Hong Kim ),임무혁 ( Moo-hyeog Lm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이 연구는 나락을 현미, 백미로 도정하여 flubendiamide와 tebufenozide의 가공계수를 산출하고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충북 보은, 충남 논산 및 경기도 안성에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flubendiamide(빅애니 4% 액상수화제, 한국삼공)와 tebufenozide(미믹 8% 수화제, 경농)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각각 2,000배 1,000배 희석하여 0.0032 kg a.i./10a, 0.0128 kg a.i./10a로 벼에 3회(34-24-14, 27-17-7) 살포하였다. 수확 직후 탈곡한 알곡을 유리 온실에서 수분함량이 15%가 되도록 건조한 후 도정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나락, 현미, 백미 중 flubendiamide와 tebufenozide의 LOQ는 모두 0.01 mg/kg이었다. 회수율 시험은 LOQ, 10LOQ, MRL 농도 처리 수준으로 진행하였으며 flubendiamide와 tebufenozide의 회수율은 각각 77.8-100.1%,74.4-97.2%이었다. 나락, 현미 중 flubendiamide의 잔류량은 0.18-1.15 mg/kg과 0.01-0.03 mg/kg이었으나 백미는 정량한계 미만이었다. 나락, 현미, 백미 중 tebufenozide의 잔류량은 각각 1.48-4.87 mg/kg, 0.11-0.21 mg/kg및 0.01-0.03 mg/kg이었다. 나락의 도정에 따른 flubendiamide의 현미에 대한 가공계수는 0.02-0.08 이었으며,tebufenozide의 현미와 백미에 대한 가공계수는 각각 0.04-0.07과 0.01이었다. 나락을 현미와 백미로 가공하였을 때 시험농약의 잔류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농약 기준 및 위해평가 국제화를 위한 농약 가공계수 연구

        신현우 ( Hyeon Woo Shin ),김동주 ( Dong Ju Kim ),함영진 ( Young Jin Ham ),조승현 ( Seung Hyeon Jo ),김서홍 ( Seo Hong Kim ),임무혁 ( Moo-hyeog Lm ),경기성 ( Kee 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벼의 가공단계별 잔류농약의 가공계수를 산출하여 가공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가공계수는 식품 중 잔류농약의 변화 양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인자로 가공 전과 후의 잔류량 비로 산출할 수 있다. 금년도 포장시험은 지역 간 직선거리가 50 km 이상 떨어져 있는 4지역(경기 안성, 충북 보은, 충남 논산, 충남 예산)을 선정하여 시험할 계획이며, 시험 농약은 cGAP와 TMDI를 고려하여 buprofezin, flubendiamide, tebufenozide, etofenprox으로 선정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관행법에 따라서 수분함량 15-16%가 되도록 건조한 뒤 왕겨, 현미, 쌀겨, 백미, 현미밥, 백미밥, 떡으로 가공하여 분석할 것이다. QuEChERS 방법을 이용하여 Codex(CAC/GL 40-2003) 기준에 따른 개별 시료에 대한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정량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다. 외부 실험실과의 교차 검증을 통하여 적합한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확립된 분석법을 토대로 벼의 가공단계별 농약의 잔류량과 가공계수를 산출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