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에서 윈도우 배치에 따른 통계적 에지검출 비교

        임동훈,Lim, Dong-Hoon 한국통계학회 2009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6 No.4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에지검출을 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가지 윈도우 배치(window configurations)하에서 통계학의 이표본 위치문제(two-sample location problem)에서 대표적인 Wilcoxon 검정과 T-검정에 기초한 에지검출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상의 에지검출하는데 윈도우 배치 선택은 에지검출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 에지는 선택된 윈도우 배치 하에서 에지-높이 모수(edge-height parameter)를 사용한 에지 모형 하에서 두 근방 영역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함으로서 결정한다. 영상 실험에서 윈도우 배치에 따른 통계적 검정에 의한 에지검출 성능은 에지 맵(edge map)을 통한 정성적인 비교와 객관적인 척도하에서 정량적인 비교 그리고 CPU 계산시간까지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Wilcoxon test and T-test that are well-known in two-sample location problem for detecting edges under different window configurations. The choice of window configuration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and the expense of edge detectors. Our edge detectors are based on testing the mean values of local neighborhoods obtained under the edge model using an edge-height parameter. We compare three window configurations based on statistical tests in terms of qualitative measures with the edge maps and objective, quantitative measures as well as CPU time for detecting edge.

      • KCI등재

        잡음영상에서 로버스트 순위-순서 검정을 이용한 효과적인 에지검출

        임동훈,Lim, Dong-Hoon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1

        에지검출은 컴퓨터비전과 영상처리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영상에서 효율적인 에지검출을 위해 이표본 위치 문제에서 월콕슨 검정의 대안인 로버스트 순위-순서 검정에 기초한 새로운 검출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delta$-에지모형하에서 $5\times5$ 윈도우의 부분 픽셀만으로 구성된 근방영역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제안된 에지 검출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영상과 인조영상을 가지고 영상실험을 통하여 얻은 에지맵과 객관적인 척도하에서 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Edge detection has been widely used in computer vision and image processing. We describe a new edge detector based on the robust rank-order test which is a useful alternative to Wilcoxon test. Our method is based on detecting pixel intensity changes between two neighborhoods with a $r{\times}r$ window using an edge-height model to perform effectively on noisy images. Some experiments of our robust rank-order detector with several existing edge detectors are carried out on both synthetic images and real images with and without noise.

      • KCI등재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임동훈(Lim, Dong-Hoon)(林東勳)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박재연(2006)은 양태 어미가 양태의 어떤 하위 영역을 가리키고 다른 양태 어미와 어떤 대립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 양태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지나친 체계성을 추구한 나머지 이론 구성과 적용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한국어 양태 어미 기술에서 서법이란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인구어적 편견이 작용한 결과이며, 서법 범주는 동사의 굴절이라는 형식상의 기준보다 평서적인 것이나 단언적인 것과 대립하는 의미상의기준, 그리고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이라는 분포상의 기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양태를 정의할 때 소위 ‘화자의 주관적 한정’이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를 수행성으로 등치시키는 것은 양태 어미들이 종속절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 동적 양태 대신 주어 지향적 양태의 개념을 채택하는 것도개체 내적인 속성․조건과 화자가 부여하지 않는 개체 외적인 속성․조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행위 양태는 서술어로 동사가 아닌 계사나 형용사도 쓰일 수 있어 행위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또 문장 유형과 행위 양태를 가리는 기준이 자의적이다. 넷째, 인식 양태의 하위 영역으로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판단, 정보의 획득 방법, 정보의 내면화 정도, 청자 지식에 대한 화자의 가정이란 4가지를 제시하 였는데, 뒤의 두 가지는 앞의 두 가지와 그 지위가 동일하지 않다. 다섯째, ‘-더-’의인칭 제약을 ‘새로 앎’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으나 ‘새로 앎’의 의미가 있다고 기술된 ‘-구나’가 인칭 제약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인칭 제약은 ‘과거 지각’이라는 의미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여섯째, ‘-네, -구나’는 지각, 추론과 같은 증거성의 영역과 관련되고 ‘-지’는 기지 가정의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나 ‘- 구나’의 경우에는 증거성의 의미를 찾기 어렵고 ‘-지’는 기지 가정으로 보기 어려운 예가 많고 제안이나 명령에 쓰이므로 타당한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J. Park (2006) aim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which subdomain the modal meanings of endings belong to and what kind of opposition they make. However, this book seemed to have som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ory and its applications because of excessive systematicity. First, this book claimed that the term ‘mood’ is unnecessary in Korean; however, I think that this opinion results from Indo-European prejudices. In defining the mood category, the criteria of meaning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riterion of form such as verbal morphology. Mood as a grammatical category can express the meanings that contrast with declarative and assertive, and it should show the obligatoriness and mutual exclusiveness. Second, although a speaker’s subjective qualifi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defining modality, the equation of this component with performativity has some problems. This clai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modal endings can appear in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as the adoption of subject-oriented modality instead of dynamic modality cannot cover both the domains such as participant-internal modality and non-deontic participant-external modality. Third, action modality has two problems. The sentences where action modality is expressed may have adjective and copular predicates;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on modality and sentence type is arbitrary. Four, this book claimed that epistemic modality has four kinds of subdomain such as ⅰ) certainty ⅱ) information source ⅲ) assimilation ⅳ) hearer knowledge. However, the statuses of ⅲ) and ⅳ) are not the same as ⅰ) and ⅱ). Five, this book claimed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he ending ‘-te-’ derives from the new knowledge meaning of ‘-te-’.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 ‘-kwuna-’ has no person constraint which is claimed to have the new knowledge meaning,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e-’ derives from past perception meaning of ‘-te-’. Six, this book claimed that ‘-ney, -kwuna’ is related with the evidentiality domai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ci’ has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However, ‘-kwuna-’ does not have any evidential meaning, and ‘-ci-’ i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where the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cannot be found.

      • KCI등재

        경계해야 할 두 가지 함정 - 가와사키 케이고(2017)을 중심으로 -

        임동훈(Lim, Donghoon) 형태론 2018 형태론 Vol.20 No.2

        가와사키(2017)은 두 가지 주장을 하였다. 첫째, ‘-돗-’과 그 뒤에 ‘-오-’가 오지 않는 ‘-옷-’은 감동법을 표시하는 요소이고 ‘-ㅅ-’과 그 뒤에 ‘-오-’가 오는 ‘-옷-’ 은 복수 표지이다. 둘째, ‘-돗-, -옷-’이 나타내는 감동법은 mirativity라는 문법 범주를 표시하며 mirativity 개념을 가장 적절히 표현하는 용어는 ‘깨달음’이다. 이 책은 자료를 충분히 제시하고 철저히 검토하여서 ‘-돗-, -옷-, -ㅅ-’이 쓰인 자료집이라는 성격만으로도 의의가 있으며 두 가지 핵심 주장은 독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두 가지 주장을 펼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두 가지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첫 번째 함정은 상관성을 인과성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자료를 통해 ‘-ㅅ-’과 어떤 조건하의 ‘-옷-’이 서술어에 쓰일 때 그 주어가 복수임을 발견했다고 해서 이것이 ‘-ㅅ-’과 어떤 조건하의 ‘-옷-’이 복수 표지임을 보증하지는 않는다. 전자는 상관성의 문제이나 후자는 인과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함정은 유명한 학자의 주장을 비판 없이 수용하고 개념을 정의할 때 엄밀한 태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책은 mirativity 개념이 문법 범주로서의 지위가 의심스러운데도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였고, 또 mirativity를 ‘깨달음’과 동일시하여 mirativity 개념의 왜곡을 초래하였다. Kawasaki(2017) made two kinds of claims. First, prefinal endings ‘-tos-’ and ‘-os-’ without the following ‘-o-’ are exclamative elements. Prefinal endings ‘-s-’ and ‘-os-’ with the following ‘-o-’ are plural markers. Second, the exclamative category which ‘-tos-, -os-’ represent is the same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mirativity. And the mirativity was claimed to be best translated as Korean word ‘kkaytalum’. Two claims made in Kawasaki(2017) are new and deserve academic attentions. However, Kawasaki(2017) fell into snares which all researchers should beware of while making its two claims. First, Kawasaki(2017) treated facts of correlation as facts of causation. The fact that ‘-s-’ and ‘-os-’ occur only when the subjects are plural is one thing, and the claim that ‘-s-’ and ‘-os-’ are plural markers is another. The second snare which Kawasaki(2017) fell into is that it uncritically accepted the famous scholar’s theory and without foundations equated the category of mirativity with ‘kkaytalum’ only to make distortions in that concept.

      • 에지 검출을 위한 통계적 검정법

        임동훈(Dong Hoon Lim),성신희(Sim Hee S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7 No.3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onparametric Wilcoxon test and a parametric Z test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for the detection of edges. We use the threshold determined by specifying significance level , while Bovik, Huang and Munson[4] consider the range of possible values of test statistics for the threshol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edge detection, the Z method performs sensitively to the noisy image, while the Wilcoxon method is robust over both noisy and noise-free images. Comparison with our statistical tests and Sobel operator shows that our tests perform more effiectively in both noisy and noise-free images.

      • KCI등재

        ‘은/는’과 종횡의 의미 관계

        임동훈 ( Lim Dong-hoon )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4 No.-

        본고는 화용적 관계의 관점에서 보조사 ‘은/는’이 보이는 의미와 용법을 고찰하였다. 특히 ‘은/는’이 악센트와 공조하여 주제, 초점에 어떻게 쓰이는지를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는 한정적, 총칭적이거나 특정적이어야 하는 조건이 있으나 무언가와 대조적이라면 이런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주제가 될 수 있다. 대조항이 특정적이지 않아도 대조항들의 집합이 특정적이거나 한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면 그 대조항이 주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은/는’은 기본 의미가 대조이므로 이전 담화의 주제와 동일한 주제가 아니라 전환된 주제, 상위 주제에서 파생된 주제, 초점 연쇄 주제를 표시하는 데 쓰인다. 셋째, 주제는 보조사 ‘은/는’과 더불어 일정한 악센트로도 실현되는데, 대조의 대상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에는 L+H*의 악센트가 놓이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친숙성을 함의하는 H+!H 악센트가 놓인다. 넷째, 초점은 화용적 초점-배경 분절에서의 초점을 가리키는 가로 초점과 세로 관계에 바탕을 둔 세로 초점으로 나뉘는데, 이들은 서로 합치하기도 하고 불합치하기도 한다. 다섯째, 보조사는 세로 초점을 나타낸다. 선택 관계에서 초점이 되는 요소는 의미 유형이 동일하고 맥락상 두드러진 대안들의 집합을 도입하는데 이러한 대안 집합은 ‘대조, 배제, 첨가’와 같은 의미론적 연산에서 양화 영역으로 작용함으로써 세로 관계를 부각하고 여기서 선택된 요소는 세로 관계에서의 초점 역할을 한다. 여섯째, 세로 초점은 진리조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맥락상 총망라성을 보이기도 하고 대안 집합이 척도적일 경우는 척도 함축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망라성과 척도 함축이 세로 초점을 규정짓지는 못한다. 일곱째, ‘은/는’이 나타내는 세로 초점이 주제에 나타나면 대조 주제가 되고 평언에 나타나면 대조 초점이 된다. 가로 초점은 H* 악센트로 실현되고 대조 주제는 L+H* 악센트로 실현되며, 대조 초점은 H* 악센트로 나타나기도 하고 H*+L 악센트로 나타나기도 한다. 여덟째, 형태적으로 가로 초점을 표시할 때에는 격조사가 이용되고 세로 초점을 표시할 때에는 보조사가 주로 이용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uses of Korean particle ‘un/nun’ under the perspective of pragmatic relations. In particular it is attempted to show how ‘un/nun’ can be exploited to express informational topic, focus in collaboration with accents.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properties of topic aren't confined to be definite, generic, and specific but contrastive non-specific elements can be topics if the contrastive set including it is construed to be definite or specific. Second, the contrastive meaning of ‘un/nun’ makes it possible that it can be used to express shift topics, derived topics from hypertheme, focus-chain topics. Third, ‘un/nun’ marked topics are realized with L+H* accents when contrastive items are activated, and otherwise with H+!H accents which simply implicate familiarity. Fourth, foci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ere one is syntagmatic focus which means a focus in the pragmatic focus-ground articulation, the other is paradigmatic focus. And two kind of foci may be congruent or not with each other. Fifth, the main function of Korean particles is to express a paradigmatic focus. The focus element in the selectional relation generates a alternative set which provides quantificational domain for paradigmatic operations such as contrast, exclusion, addition, second best, comparison. Sixth, paradigmatic foci can take effect on truth conditions, and express the meaning of exhaustivity and scalar implicature depending on the contexts. But these properties aren't enough to define a paradigmatic focus. Seventh, ‘un/nun’ marked paradigmatic foci can be realized into contrastive topic or contrastive focus according to whether they appear in the domain of topic or in the domain of comment. Syntagmatic foci are realized with H* accents, and contrastive topics with L+H* accents, contrastive foci with H* or H*+L accents. Eighth, morphologically while case markers are exploited to express syntagmatic foci, particles are exploited to express paradigmatic foci.

      • KCI등재

        다시 격조사는 핵이다

        임동훈(Lim, Dong-hoon) 형태론 2008 형태론 Vol.10 No.2

        본고는 격조사가 핵이 아니라는 한정한(2003)의 주장에 대한 반론 성격을 지닌다. 반발린.라폴라(1997)에서는 영어 전치사가 논항 표시 전치사와 부가어 표시 전치사로 나뉘고 전자는 격 표지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 한정한(2003)은 이 주장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동일한 격조사라 하더라도 논항에 부착되어 있으면 논항을 표시하는 기능만 할 뿐 선행어에 격이나 의미역을 부여하지 못하므로 비핵이 되고 부가어에 부착되어 있으면 부가어 표시 조사로서 선행어에 격이나 의미역을 부여하는 핵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격조사의 핵 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선행어가 논항인지의 여부보다 격조사가 포함된 구성체의 분포나 문법적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가 더 중요하다. 예컨대 논항 여부에 주목하여 ‘문제의 해결’에서 ‘의’는 핵이 아니고 ‘국토의 면적’에서 ‘의’는 핵이 된다는 주장을 하기보다 ‘X’와 ‘X-의’의 분포와 기능이 다르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여기서 ‘의’를 모두 핵으로 보는 것이 더 합당하다. 더구나‘X-와/를 만나다’에서처럼 모두 논항이지만 격조사가 교체하는 현상은 이들 조사가 논항 표시 기능만을 하는 비핵이라는 주장을 약화시킨다. This paper is a reply to Han(2003). Van Valin & LaPolla(1997) classified English prepositions into argument-marking prepositions and adjunct-marking prepositions, and argued that the former functions were case-markers. Han(2003) applied this opinion to Korean case-markers, and insisted that argument-marking case-markers in Korean should be considered as non-heads. But what'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head of the construction is to find out which part is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 of the whole construction rather than to just identify whether the preceding word is an argument or not. For example, Han(2003) argued that uy in muncey-uy haykyel is a non-head because muncey is an argument of haykyel, and uy in kuktho-uy myencek is a head because kuktho is an adjunct of myencek. But in both constructions, X and X-uy have different distributions and functions, so in this regard it is reasonable that they both should be considered as heads. Besides, case alternations such as X-wa/lul mannata weaken Han(2003)'s argumentation.

      • KCI등재

        보조사의 의미론

        임동훈 ( Lim Dong-hoon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본고는 격조사와 변별되는 보조사의 개념을 밝히는 일에서 시작하여 보조사의 의미를 기술하는 방법론, 그리고 보조사의 체계와 각 보조사의 구체적인 의미 기술까지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격조사가 의존어가 핵어에 대해 지니는 문법적ㆍ의미적 관계를 의존어에 표시하는 가로관계 표지라면, 보조사는 실현된 성분과 맥락상 이와 대조되는 요소들이 맺는 의미 관계를 실현된 성분에 표시하는 세로관계 표지이다. 둘째, 격조사는 관계적 신정보를 가리키는 가로초점을 표시하고 보조사는 대안집합을 바탕으로 양화상의 핵을 표시하는 세로초점을 표시한다. 즉, 보조사는 선행 성분을 세로초점으로 표시하고 그와 유형이 동일하고 맥락상 제한된 대조 요소들로 구성된 대안집합을 생성한다. 셋째, 보조사와 세로초점은 항상 인접하여 나타나지 않는다. 보조사는 세로초점 전체에 결합하기도 하고 정보 가치가 크다고 여겨지는 세로초점의 한 성분 뒤에 결합하기도 한다. 다만, 보조사는 자신의 성분지휘 영역을 넘어서서 세로초점을 표시하지 못한다. 넷째, 보조사는 세로초점과 대안집합의 요소 사이에 어떤 의미 관계가 있느냐에 따라 첨가, 배제, 비교, 범위의 보조사로 나뉜다. 배제 보조사에는 배제함의 보조사와 배제됨의 보조사가 있는데 전자는 다시 소극적 배제와 적극적 배제로 나뉘며, 후자는 배제의 결과를 나타낸다. 다섯째, 보조사는 대안집합이 척도적이냐 비척도척이냐에 따라 의미 변이를 보인다. 그리고 배제 보조사 ‘만’, ‘(이)나’는 각각 충분조건 맥락이냐 필요조건 맥락이냐, 서실적 맥략이냐 서상적 맥락이냐에 따라 척도값 역전 현상을 보인다. 여섯째, ‘(이)나’와 ‘도’는 의미 관계가 대척적이고 ‘(이)나’와 ‘만’은 공통점을 지니며, ‘(이)라도’는 ‘(이)나’와 ‘도’의 성격을 반반씩 지닌다. 이들은 주어가 대안집합을 형성하는 경우와 서술어가 대안집합을 형성하는 경우에 따라 척도값의 차이를 보인다. 일곱째, 부사 ‘좀, 한번, 다’는 후행 서술어가 아니라 선행 명사구나 격조 사구를 수식한다는 점, 대안집합을 생성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보조사화하는 과정에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bojosa’s in Korean which differentiates them from case markers, and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describing their meanings, and to reveal the system within their different meanings and use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josa’s are paradigmatic markers which indicate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referents of preceding phrase and contextually contrastive entities, while case markers are syntagmatic markers which mark dependent nouns for the type of relationship they bear to their heads. Second, while case markers are used to mark the informational focus, ‘bojosa’s are used to mark the contrastive focus and invoke alternative sets. So ‘bojosa’s are defined as focus particles. Third, ‘bojosa’s and their focus aren’t always adjacent because they can be adjoined t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ocus. But the focus can’t be extended beyond the c-command domain of ‘bojosa’s. Fourth, ‘bojosa’s are subdivided into additive, exclusive, comparative, extent classes in terms of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focus and their alternative sets. Exclusive ‘bojosa’s are subdivided into excluding one and excluded one. The former is again divided into weak one and strong one, and the latter represent the result of exclusion. Fifth, ‘bojosa’s have semantic shift according as their alternative sets are scalar or non-scalar. Exclusive ‘bojosa’ man show the reversal of scale according as it is on a sufficient context or a necessary context. Sixth,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i)na and do is orthogonal, (i)na and man have common scalar values, (i)rado has both the properties of (i)na and do. Seventh, adverbs jom, hanbeon, da are under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nto ‘bojosa’s, namely focus particles in Modern Korean in terms of their combinatorial properties and their function of invoking alternative sets.

      • KCI등재

        개념어로 살펴본 현대국어 문법사

        임동훈(Lim Dong hoon,林東勳)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2

        그간의 연구사는 언어 현상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언어 현상을 기술할 때 어떤 개념이 쓰였는지에 중점을 두는 연구사도 가능할 것이다. 이선웅(2012)는 개념어를 중심으로 현대국어 문법사를 종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이선웅(2012)의 주된 특징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더 나은 개념어 연구를 위해 사전으로서의 성격,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의 문제, 용어와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history has centered on the way how to deal with the linguistic phenomena. But it is conceivable for the research history to focus on the concept terms therein. S. Lee(2012)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puts together history of Modern Korean through the concept terms. This paper examined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S. Lee(2012) and proposed the several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its nature as a dictionary, its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