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용 읽기텍스트 구성 방안

        임다정 ( Lim Da-j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7 No.-

        본 연구는 가치문화를 제시하는 데 효과적인 읽기텍스트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교재 내 읽기텍스트는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전달하는 일차적인 수업자료이다. 문화라는 것은 그 내용과 범위가 무척 방대하여 유형이 다양하게 나누어지는데, 그에 따라 교재 안에서의 문화 제시도 차별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읽기텍스트 구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학습자의 문화적응에 도움이 되는 한국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읽기텍스트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읽기텍스트 개발에 앞서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가치문화 내용이 통합적인 접근에 따라 단계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위하여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는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가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읽기텍스트는 마달레나 드 카를로(Maddallena De Carlo)가 제시한 상호문화 읽기 텍스트의 특징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관념적 문화와 행동문화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문화 내용을 명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설명 담화를 포함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하여 외국인 화자를 주요 등장인물로 설정하였다. 읽기텍스트를 개발한 후에는 이것이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가용 텍스트와 평가지를 제작하여 가치문화 이해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후에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구상한 내러티브를 활용한 가치문화 읽기텍스트는 중급 학습자들의 가치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 동기 및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문화 읽기텍스트가 목표 문화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다면 만족도 높은 문화 교육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읽기텍스트 구성 방식은 가치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능력까지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construct texts in presenting Korean value. Texts in Korean textbooks, is the primary teaching material that presents Korean culture to learners. Culture is so vast in content and scope. Hence, it can divide into various types and cultural text in textbooks should differentiate. However, no specific discussions are taking place currently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response, this study intends to form a text for the education of Korean value culture, which will help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adaptation. Value culture mainly deals with in the advanced level because of superficial and philosophical content of it. However, this set-up learning step overlooks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refore requires downward adjustment of the learning step of value culture. Also, because value culture is individual and subjective, it is not desirable to organize contents with objectivity like existing texts.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use narratives. Narrative consists of relatively simple linguistic elements, which can easily convey value culture, and can state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voice of a particular person, there-by ensuring individuality and subjectivity of val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tilize narratives in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Before developing the text in earnest, basic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and student surveys. Through this, it was argued that the contents of value culture need to be organized in stages according to an integrated approach, and that texts using narratives centered on stories should be formed for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text for value culture education of this study was organized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ultural text presented by Maddallena De Carlo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an explanation statement was included to present the ideological culture and behavioral culture in an integrated manner and expressly convey the cultural content, and considering the affective domain. To verify how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 affected on learners, the text and evaluation paper for evaluation produced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after the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text using narrative for value culture education envision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value culture of intermediate learners, and in inducing cultural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Mainly, these results show, if cultural text develo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t can form a highly satisfying cultural education.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cultural text using narratives is very positive and it not only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value culture, but can also enhance inter-cultural capabilities.

      • 04 포스터 발표 : 환경 화학 분야(PC) ; PC-12 :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살충활성을 갖는 cyclic lipopeptide성 미생물 대사체 구명

        임다정 ( Da Jung Lim ),이영환 ( Young Hwan Rhee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is polyphagous, and has secondary hosts in over 40 different plant families, including many important agricultural plants.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microorganisms exhibiting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persicae and investigated their insecticidal metabolites. Among 103 bacterial isolates, an isolate bacteria showed significan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persicae. The isolate bacteria was identified as a Pseudomonas strain by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cell-free supernatant of the isolate showed 100% of aphid mortality in LB medium. The supernatant extracts were subjected to a series of column chromatography followed by instrumental analysis. HPLC analysis of the active fraction detected two major peak at 12.1 and 19.9 min and LC-MS analysis of the two peaks detected (M+H)+ at m/z 1762.3 and 1776.3, respectively. LC50 value were revealed at 17.77 and 7.85 ㎍/㎖. To identify the active compounds, further works are in progress.

      • 옆채류의 시설 윤작재배를 위한 식물식재후방기간 예측

        임다정 ( Da Jung Lim ),김양선 ( Yangseon Kim ),김인선 ( In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우리나라는 2019년 1월 1일부터 농약허용물질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를 전체 작물을 대상으로 시행함에 따라 해당 작물에 안전사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0.0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어야 농산물의 부적합으로 인한 피해를 면할 수 있다. 작물의 병해충과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된 농약은 농업 환경에 잔류하면서 비의도적으로 비산되거나 작물에 흡수 이행되어 예기치 않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농업환경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전작물에 살포된 농약이 토양에 잔류하면서 후작물에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토양잔류농약의 비의도적 흡수이행에 따른 후작물의 농약오염을 예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예방하는 방안으로서 전작물에 사용된 농약이 후작물에 흡수이행될 경우 그 잔류농도가 안전관리기준에 부합되게 할 수 있는 전작물과 후작물 사이의 휴경기간, 즉 토양잔류성농약의 식물식재후방기간(Plant Back Interval, PBI)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Since Korea has implemented the Pesticide List System(PLS) for all crops since January 1, 2019, if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is not set for the crop, it must be detected below 0.01 mg/kg to avoid damage caused by nonconformities in agricultural products. Pesticides that control crop pests and weeds remain in the farming environment and can cause unpredictable pesticide contamination problems by unintentionally drafting or uptake pesticides into crop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ur agricultural environment, pesticides used for the primary crop remain in the soil and transports into the secondary (rotational) crop. Therefore, measures are needed to prevent pesticide contamination in rotational crops due to residual soil pesticides. This study tried to predict the fallow period between primary crops and rotational crops, i.e., plant back interval (PBI), so the residual concentration of pesticides used in previous crops can meet safety management standards.

      • KCI등재

        Pseudomonas sp. EP-3에 의한 진딧물 살충성 rhamnolipid 생산을 위한 유자씨앗 부산물의 재활용

        임다정 ( Da Jung Lim ),박태현 ( Tae Hyun Park ),양시영 ( Si Young Yang ),김진철 ( Jin Cheol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1

        BACKGROUND: Yuza seed by-product has been produced in a large amount from the agricultural farm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It has been mostly abandoned after commerci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juice, jam and tea. The study on the reuse of the yuza seed by-produc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bio-resource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active compound in agriculture. METHODS AND RESULTS: Insecticidal rhamnolipid-producing Pseudomonas sp. EP-3was grown in mineral salt media with the yuza seed by-product at 2, 20, 50 and 100 g/L. The growth of EP-3was accompanied by a increase in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green peach aphid. The highest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when EP-3was grown in the medium containing 50 g/L of the seed sample, producing approximately 996mg/L of rhamnolipid at 96 h.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determined a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seed sample. The EP-3 cultures grown on the fatty acid mixture extracted from the seed sample showed a aphid mortality similar to that of cultures grown on the seed sample. The EP-3 cultures grown on 50 g/L of the seed sample showed aphid mortality more than 90%under greenhouse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yuza seed by-product may be used as a renewable material for microbial production of rhamnolipid against green peach aphid.

      • 농업환경 중 농약잔류량의 모니터링을 위한 DB 시스템

        임다정 ( Da Jung L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농업에 사용된 농약은 농업환경에 잔류하면서 작물에 다시 흡수·이행되거나 여러 경로를 통해 농산물 및 농업용수의 오염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농업환경 중 농약의 잔류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잔류현황을 분석하는 것은 예기치 않은 잔류농약으로 인한 농산물의 부적합성을 예방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 농촌진흥청은 4년 주기로 농업환경 중 잔류농약의 변동을 조사하여 농업환경과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하지만 농업환경 중 농약의 잔류성에 대한 분석결과가 database(DB)로 구축되어 있지 않아 중장기적인 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환경 중 농약의 잔류현황을 총괄적인 데이터 형태로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플랫폼(web platform)을 구축하여 전주기적 농약의 안전관리를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농업환경 중 논, 시설재배, 밭, 과수원 등등의 농경지와 농업용수 중 농약의 잔류량을 동일한 GPS 지점에서 4년 주기로 조사하여 이를 web상에 탑재하여 데이터를 1) 잔류농도별 구분, 2) 지역별 구분, 3) 농약성분별 구분, 4) 분석대상별 구분, 5) 안전관리수준별 구분 등의 DB로 분석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경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최초로 농업환경 중 농약의 안전관리를 위한 web 기반 DB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농산물의 농약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Lipopeptide를 생산하는 슈도모나스 균을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 매개 식물 바이러스병 동시 방제

        임다정 ( Da Jung Lim ),이정은 ( Jeong Eun Lee ),김여희 ( Yeo Hee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are one of the most harmful insect and plant disease affect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worldwide.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microorganisms exhibiting dual control activity against M. persicae and CMV. Among 103 bacterial isolates, an isolate bacteria showed significant insecticidal and antiviral activity. The isolate was named as a Pseudomonas sp. DJ15 (DJ15) based on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cell-free supernatant of DJ15 showed 100% of aphid mortality. The cell-free supernatant reduced the symptom severity in pepper plants infected with CMV. These results suggest that DJ15 is potential to control M. persicae and CMV for their potential to contribute toward management of viral plant diseases.

      • 토양잔류성 및 식물흡수이행성에 기초한 Cyantraniliprole의 후작물 재배 상추와 시금치에 대한 식물식재후방기간 예측

        임다정 ( Da Jung Lim ),윤지현 ( Ji Hyun Yun ),이승원 ( Seung Won Lee ),김지유 ( Ji Yu Kim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Cyantraniliprole은 디아마이드계 살충제로서 근육에 존재하는 칼슘 이온(Ca<sup>2+</sup>) 통로의 일종인 라이아노딘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 저장소로부터 Ca<sup>2+</sup>을 방출하게 하여 근육 수축에 필요한 Ca<sup>2+</sup>을 고갈시켜 근육의 마비와 식욕억제를 일으켜 살충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cyantraniliprole의 엽채류의 대표작물인 상추와 시금치를 대상으로 잔류성을 평가하고 식물식재후방기간(PBI)을 예측하여 PBI 설정자료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Cyantraniliprole를 국내 연중 최고살포량 수준으로 나지토양에 처리하고 30일(PBI30)과 60일(PBI60) 후에 상추와 시금치를 정식(파종)하였다. 상추와 시금치는 일정기간 동안 재배한 후 경시적으로 수확하였다. 시험기간 180일 동안 각각의 처리구 토양에서 cyantraniliprole은 경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반감기는 상추재배 토양의 경우 57.8일(PBI30)과 69.3일(PBI60)이었고 시금치 재배 토양의 경우 53.3(PBI30)과 69.3일(PBI60)이었다. 상추의 cyantraniliprole의 잔류량은 PBI30의 경우 0.013∼0.06 mg/kg이었고 PBI60의 경우 0.009∼0.029 mg/kg이었다. 시금치의 cyantraniliprole의 잔류량은 PBI30의 경우 <0.005∼0.030 mg/kg이었고 PBI60의 경우 <0.005∼0.006 mg/kg이었다. Cyantraniliprole의 상추와 시금치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에 대비하여 약제처리 30일이 경과 후 작물을 재배하면 PLS 위반 가능성이 낮았다. 또한 PLS 기준으로 PBI를 예측하면 상추는 4개월, 시금치는 2개월 정도의 휴경기간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yantraniliprole의 토양 잔류 경향과 작물 중 잔류수준을 고려하여 잔류허용기준 또는 PLS 기준에 부합하기 위한 PBI를 예측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treptomyces sp. J46의 세균성구멍병원균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대한 항균 활성

        이정은,임다정,김인선,Lee, Jeong Eun,Lim, Da Jung,Kim, In Seon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40 No.1

        BACKGROUND: Bacterial shot hole of stone fruits is a seriuos plant disease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Xap). Techniques to control the disease are required.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were isolated to develop as a microbial agent against the bacterial shot hole. METHODS AND RESULTS: An isolate with the strongest activity among the isolates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avidinii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and designated Streptomyces sp. J46. J46 showed suppression of bacterial leaf spot with a control value of 90% at 10 times-diluted cell free supernatant.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metabolites produced by J46, the supernatant of J46 was extracted with organic solvents, and the extracts were subjected to chromatography works. Antibacterial metabolites were not extractable with organic solvents. Both reverse and normal phase techniques were not successful because the metabolites were extremely water soluble. The antibacterial metabolites were not volatiles but protein compounds based on hydrolysis enzyme treatment.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Streptomyces sp. J46 may be a potential as an microbial agent against bacterial shot hole.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metabolites is required in more detail.

      • 유통 축산물 중 제초제 Diquat의 실태조사

        이승원 ( Seung Won Lee ),임다정 ( Da Jung Lim ),윤지현 ( Ji Hyun Yoon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Diquat은 dipyridylium계로 식물의 광합성을 억제하는 기작을 가지며 접촉형 비선택성 제초제로서 처리된 부위가 24시간 이내 빠르게 괴사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diquat은 독성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품목으로 농산물에는 감자, 두류, 유채씨, 대두에 대하여 잠정허용기준이 설정되어있으며 축산물에는 가금류, 가금류부산물, 포유류, 포유류부산물, 알에 대하여 0.05 mg/kg으로 우유는 0.01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공전을 기반으로 분석법을 개선하여 유통 축산물 중 diqut의 잔류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시료는 우유, 계란, 돼지고기(삼겹살)과 부산물인 돼지지방 등이었다.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시험 및 상대표준편차(RSD) 정도를 시험하였다.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시험 및 분석법 정량한계(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는 0.01 mg/kg이었으며 축산물 중 diquat 회수율은 MLOQ, 10MLOQ, 50MLOQ 수준에서 평균 64.6∼80.8%, 91.0∼115.3%, 80.4∼100.0%이었으며 회수율의 상대표준편차 (RSD)는 20% 미만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으로 축산물 중 diquat의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