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의 교양교육 연구 적용 가능성과 의의에 대한 고찰

        임낭연(Lim, Nangyeo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교양교육 연구의 다양한 측면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사고의 틀로써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제시하고, 그 다양한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고전적 브런즈윅 렌즈 모델은 유기체의 환경 지각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그런데 인간의 대상 판단 과정과 환경 지각 과정 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렌즈 모델은 수십 년 간 다양한 분야에서 확률적 판단 연구에 적용되어 왔다. 교양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주체의 다양한 판단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인간의 판단을 설명하는 틀인 렌즈 모델의 적용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까지 교양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던 프레임웍인 브런즈윅의 렌즈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교양교육 연구에서 렌즈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추후 연구 방향성과 그 의의에 대하여 논한다. The current study suggests Brunswick"s lens model a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aspects of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and discusses its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The original Brunswick"s lens model explains how an organism perceives its environment.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cesses of human object judg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the lens model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to probabilistic judgment research in many fields for decade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different subjects make various judgments, so there are numerous possibilities of research applying the lens model.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Brunswick"s lens model, a framework that has not been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until now. Furtherm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ens model in the stud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are discussed.

      • KCI등재

        “즐거움”은 지지적 정서 표현을 유발한다

        임낭연 ( Nang Yeon Lim ),신지은 ( Ji Eun Shin ),홍성우 ( Seong Woo Hong ),서은국 ( Eun Kook Suh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2

        행복은 대인관계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행복한 사람들의 어떤 대인행동이 관계적으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상호작용 시 상대방에게 지지적인 정서를 표현해주는 것은 관계의 형성과 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연구를 통하여 고각성의 긍정적 정서인 ``즐거움``이 상호작용 시 상대방에 대한 지지적인 정서 표현을 유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성격과 인지적 요인을 통제한 뒤에도 여전히 유의하게 지지적 정서 표현을 예측하였다. 긍정적 정서의 이러한 효과는 고각성 정서로 인한 것이었다. 연구 2에서는 ‘즐거움’이 유발된 참가자들이 ‘자랑스러움’, ‘경이로움’, ‘편안함’이 유발된 참가자들에 비해 타인의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정서를 표현하고 상대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적 정서가 대인 관계에 어떻게 이득을 주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중에서도 특히 ‘즐거움’이 사회적 관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진화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한다. Positive affect has beneficial consequences in various life domains including social relational aspect. This study proposes that ``joy``, a highly arousing positive social emotion, promotes emotionally supportive reactions during a social interaction. In Study 1, after controlling for confound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g., extraversion, agreeableness, adult attachment) and cognitive variables (e.g., empathy, self-esteem), positive affect predicted the amount of emotional support and enthusiasm one showed to a person who was describing a positive experience. The arousal dimension of positive emotion appeared to be the key in creating this outcome. Study 2 found that people were most likely to react in supportive ways (e.g., more laughing, emotion sharing, and active-constructive responses) to other`s conversation after viewing a joy-inducing (rather than pride, awe, calm) film clip. These results partly explain why happy people are socially popular and suggest that one of the central functions of “joy” is to promote social bonding with oth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디자인전공 대학생의 자아효능감, 만족감,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안지선 ( Jisun An ),임낭연 ( Nangyeon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디자인 크리틱은 교육환경에서 강의자와 학생, 때로는 초청된 전문 디자이너 간에 형식적 혹은 비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이다. 지금까지 많은 디자인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크리틱의 학습 효과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연구해왔다. 더불어 교육학 연구자들은 자아효능감이 학습 수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을 연구해왔다. 디자인교육에서는 자아효능감이 학생들의 실제 학습 성취 능력인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디자인교육에서의 자아효능감 및 수업 활동 만족도가 디자인 교육의 실제 학업 성취와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 여러 측면에서 양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 전공수업에서 효능감과 성적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Gaffney가 개발한 3가지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3가지 도구는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이다. 2016년 5월에서 6월 사이 K 대학교의 디자인전공 4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로 변인의 이변량 상관 분석, 중다 선형 회귀 분석, 요인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학생들의 효능감은 학생들의 주관적 예상 성적은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객관적 학업 성취인 학점은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단, 실제 성적은 Studio Self-efficacy에 의해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크리틱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디자인 활동과 관련된 Self-efficacy 및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과는 모두 정적 상관을 가졌으나 최종 학점을 예측하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Team Critique 만족도보다 Final Critique 만족도가 예상학점과 실제 성적과 더 강한 상관을 가졌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교육자들이 수업 중 크리틱을 활용할 때 학생들의 효능감과 수행력을 이해하고 이런 요인들이 학습 성취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Design critique in an educational setting is a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sometimes with invited professionals through formal and informal feedback. Numerous design educators hav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benefits of critiquing. Although education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lf-efficacy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academic performance, researchers in design education rarely conducted studies on how self-efficacy influences students` grades as academic outcomes.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how efficacies in design education relate with academic outcomes and students` satisfaction from various aspects. Metho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in design studios and grades in design projects, we used three scales developed by Gaffney: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We surveyed forty-four design students at K University from May 2016 to June 2016. An SPSS Statistic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o conduct this analysis, we use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 First, students` efficacy predicted their anticipated grades, but not their final letter grades. In contrast, final letter grades are marginally correlated with Studio Self-efficacy. Second, satisfaction in critique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s with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this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final letter grades either. Lastly, satisfaction with Final Critique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both anticipated letter grades and final letter grades than satisfaction with Team Critique.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design educators who are utilizing a critiquing method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efficacy and competence and how the factors relate with academic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