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좀’, ‘배치’, 혼종문화지역 마그레브

        임기대(Lim, Gi-Dae) 프랑스학회 2012 프랑스학연구 Vol.60 No.-

        Tour à tour phénicienne, romaine, arabe puis turque. l’Algérie a été, depuis l’antiquité, une terre de conquête, de métissage et de résistance. Même si des caractéristiques communes aux différentes régions sontidentifiables, la question de l’un et du multiple dans la formation de l’identité algérienne se pose toujours : on se comprend mal ou on ne se comprend pas bien d’une région à l’autre. La population berbère est particulièrement concernée par cette question de communication. Sur la période qui suit l’indépendance en particulier, les rechercheurs occidentals et coréens ont offert des analyses réductrices ou unidimensionnelles de la dynamique des relations socioculturelle de l’Algérie. La force des analyses ethnocentriques perdure encore aujourd’hui et nous conduit à effectuer un renversement méthodologique. Nous refusons l’idée d’une matrice définie par 《un centrisme》 et recherchons un système qui rendrait toute la complexité de la dynamique des liens et des interactions formant l’identité algérienne présente. Le 《centrisme》 culturel subordonne les éléments du système étudié à un développement hiérarchisé au sein d’un modèle arborescent d’organisation de la connaissance comme la taxinomie, la classification des sciences ou encore la linguistique chomskyenne. Rejetant ce modèle, nous avons choisi d’employer le concept de rhizome, tel que l’a employé Gilles Deleuze, qui est un système de pensée dans lequel 《tout élément peut affecter ou influencer tout autre》. Sa caractéristique prenlière est de ne pas avoir de 《centre》. Ce modèle organisationnel peut être s’appliquer particulièrement au concept d’Algérie métissé. En s’appuyant sur le modèle du rhizome, nous avons examiné certaines caractéristiques socioculturelles de L’Algérie liées à ‘l’agencement énonciative et l’utilisation langagières. Au travers des caractéristiques de l’agencement d’énoncés que les algériens prononcent quotidiennement, nous avons tenté d’analyser la particularité des situations dans lesquelles les mots 《arabes》, 《algériens》, 《berbères》, 《Kabyles》 et 《chaouis》, entre autres, sont énoncés. L’analyse de ces situations conduit aussi à apprécier comment plusieurs langues sont utilisées en situations variées.

      • 최근 전개되고 있는 모로코와 알제리 간 대결과 갈등의 양상 연구: 서사하라를 중심으로

        임기대 ( Lim Gi Dae ) 아프리카미래학회 2023 아프리카와 미래 Vol.1 No.0

        서사하라 지역은 2020년 모로코와 이스라엘이 수교하면서 마그레브 지역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었다. 이 지역은 이웃 알제리와의 국경 폐쇄에 기여한 매우 민감한 사안으로, 양국이 외교적 단절을 겪는 주요 원인이기도 하며, 향후 마그레브 지역의 역학 관계를 매우 복잡하게 이끌어갈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모로코와 이스라엘의 수교 이후 발생하는 서사하라 문제, 최근 서사하라 문제로 인한 모로코와 알제리의 갈등 양상, 2020년 이후 스페인과 모로코의 갈등 등, 전략적 가치로 평가되고 있는 서사하라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마그레브 지역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알제리와 모로코 간의 현안을 이해하고, 주변국과의 관계 또한 이해할 수 있다. aghreb reg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Israel in 2020. The Western Sahara region is a highly sensitive issue that has contributed to the closure of the border with neighboring Algeria, and is also the main reason for the two countries' diplomatic break. This study examines the Western Sahara problem that occurs aft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Israel, the recent conflict between Morocco and Algeria due to the Western Sahara problem, the conflict between Spain since 2020, and the importance of Western Sahara, which is evaluated as a strategic valu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issues between Algeria and Morocco in the Maghreb region, and to examine the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모로코와 이스라엘의 외교 관계 복원과 서사하라 문제에 관한 연구

        임기대 ( Lim Gi-dae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21 지중해지역연구 Vol.23 No.1

        Morocco and Israel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There are countries in the Maghreb country that have a long history with Jews. Jews had settled down and lived before Christianity in Morocco. After the independence of Morocco in the 20th century, many Jews left Morocco. However, Morocco and Israel still have a secret relationship. Western Sahara became the subject of the deal in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Israel in 2020. Western Sahara is a very sensitive issue that still contributes to the border closures with neighboring Algeri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mpact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Israel on the dynamics of the region seems very complex. This study consider the above points and look at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Israel in the following situations. First, analyzing Morocco’s strategy (Africa, among other things West Africa) for the long-standing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Morocco and Israel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cy with Israel. Second, the Western Sahara is a very sensitive issue in relations between Morocco and Algeria, and it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dynamics of the two countries. Lastly, Algeria considers that Western Sahara conflict is a case of de-colonization, so sovereignty of Western Sahara cannot be admittied. This study deals with content of post-independence de-colonialization policies and the dilemma that Algeria faces today’s Western Sahara matter. This is because Algeria’s domestic situation has not recovered since Corona-19, showing limits to its diplomatic capabilities. Algeria is urg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resolve the issue, but the this issue might be watched for now as the inauguration of the new U.S. president.

      • KCI등재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베르베르’(Berber) 정책이 마그레브 지역의 문화 변동에 미치는 영향

        임기대(Lim, Gi-D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3 No.-

        마그레브에서 베르베르주의(Berberism)의 등장은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니다. 이미 프랑스의 식민지배 기간을 통해서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이후 식민지배 과정에서 민족주의의 태동과 독립 이후 아랍·이슬람화 정책 과정, 최근 들어서는 세계화의 변화 속에서 정체성의 문제를 던져 놓고 있다. 알제리 내부에서의 베르베르의 정체성 찾기 운동은 국가 권력과의 끊임없는 갈등속에서 표면화되었다. 하지만 국가 지도자들은 베르베르주의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고, 국민들 사이에서 이 용어는 금기시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물리적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압델라지드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과 큰 차이 없는 베르베르정책을 펼쳤지만,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진행된 베르베르 정책은 전임자들과는 확연히 달랐다. 19년이라는 장기 집권에도 불구하고 베르베르주의자에 대한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접근 방식은 자국 내 문화의 다변화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특히 2018년부터는 베르베르인들이 자신들의 문화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옌나예르’(Yennayer)를 국경일로 인정하고 온 국민의 축제일로 지정하였다. 이슬람교가 국교이고, 이슬람과 관련된 국경일이 대부분인 알제리에서 베르베르 관련한 날이 국경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알제리를 비롯한 마그레브 전 지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모로코가 베르베르인이 더 많고, 베르베르와 관련하여 획기적인 정책을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차원에서 알제리의 베르베르 정책 결과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한 부분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본고에서 우리는 부테플리카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베르베르 정책 변화와 ‘옌나예르’가 지닌 의미, 그로 인해 향후 알제리를 비롯한 마그레브 지역에서 펼쳐질 문화적 변동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자 했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알제리, 더 나아가 마그레브 지역이 아랍·이슬람 문화 이외에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괄하고 있으며, 현재 다문화 공간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기 위한 것이다. The emergence of Berberism in the Maghreb has not been the case in recent years. He has already begun to reveal himself through the colonial period of France. After the birth of nationalism and independence in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the question of identity in the process of Arab politics is confronted with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Berber identity movement in Algeria has emerged in the constant conflict with power. However, national leaders have tried not to admit Berberism and this term has become taboo. In this situation, physical conflicts will be inevitable. President Abdelazid Bouteflika had a Berber policy that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his predecessor, but his Berber policy during his tenure was very different from his predecessors. Despite the 19-year long term, President Bouteflika’s approach to Berbers is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his own culture. Especially in 2018, he named “Yennayer” as a national holiday and a national festival. The fact that national holidays related to Islam in Algeria are designated as a national holiday is a big event in Algeria and other Maghreb countries. Despite Morocco has many more Berbers than other Maghreb countries and despite its considerable policy on the Berber, the results of the Berber policy of Morocco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Algeria. In this perspective, we sought to focus on Berber political changes during the reign of President Bouteflika and on the importance of “Yennayer” and the potential for cultural change in the Maghreb region. It is to see that Algeria and the Maghreb region encompass a diversified cultural identity in addition to Arab and Islamic culture, and that it is now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pace.

      • KCI등재

        알제리 식민 지배 초기(1830-1870)의 프랑스 언어 문화 정책

        임기대(LIM, Gi-Dae) 프랑스학회 2009 프랑스학연구 Vol.48 No.-

        L'histoire de l'Algérie a commencé avec les phéniciens et s'est poursuivie avec les Romains, les Vandales puis les Byzantins. Ils y ont laissé de nombreuses traces de leurs passages. Avec l'arrivée des Arabes, les indigènes ont commecé à adopter l'islam mais ils ont toujours conservé leurs langues lacales ainsi, pendant longtemps, le latin, l'arabe, les langues berbères, le punique et l'ottoman ont coexisté. Mais seule la langue arabe était considérée comme langue divine. Cependant l'arabe qui s'est parlé en Algérie n'a pas été celui du Coran; il s'agissait plutôt d'une variante régionale ou dialectale influencé par le berbère, le latin et le turc. Cette diversité linguistique a contribué à faire de l'arabe algérien une variété d'arabe différente de celui du Proche-Orient. L'éloignement géographique, le temps et le contexte socioculturel ont accentué également cette particularisation de l'arabe algérien. La conquête de l'Algérie s'est faite par la force, village aptès village. Le français s'est implanté dans son sillage car les colonisateurs se sont efforcés de faire de l'Algéie une province française à part entier. L'islam a joué le rôle d'un rempart contre la francisation, même si, pour bien régner, la France a lancé une vaste entreprise de déstabilisation culturelle et religieuse de la société indigène: les autorités ont tenté de développer, au début de la période considérée, une culture mixte et bilingue franco-arabe. Ce projet reposait sur des considérations politiques: il s'agissait, d'abord, de satisfaire à des besoins administratifs et militaires, il était indispensable de former des interprètes, indigènes et français. En Algérie, les cours magistraux d'enseignement de la langue française ont débuté dès 1832 pour que les indigènes accédent peu à peu aux idées de la civilisation française. Par ailleurs, la théorie du langage en vigueur à l'époque a été mise au service de la politique coloniale, par exemple, les recherche sur la langue indo-européenne ont contribué à justifier la légitimité de l'extension coloniale par la supériorité de la civilisation du colonisateur et donc par la supériorité de sa langue. L'école française devait faire la conquête morale de l'indigène, lui faire prendre conscience de la supériorité la civilisation qui lui était imposée, rendre la population moins hostile et répandre la langue et la culture française pour créer les conditions de la pérennité politique de la conquête. Tout est entrepris dans ce but par l'administration coloniale: bourse, distribution de prix, gratifications diverses, rémunération journalière, tolérance religieuses etc. Certains indigènes ont alors commencé à accepter le principe d'une assimilation au modèle français. En 1870, les autorités ont pris l'enseignement des indigènes totalement en mains: la Troisième République a confirmé officiellement la volonté de poursuivre plus efficacement la voie de l'assimilisation. Pourtant, la civilisation française, ses normes et ses valeurs n'étaient véhiculées que par l'école qui ne touchait qu'une petite partie de la population indigène: les élites indigène

      • KCI등재

        Covid-19 전후 ‘사헬’(Sahel)지대의 불안 요소 증가와 프랑스의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임기대(LIM Gi-d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2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2 No.-

        본 연구는 Covid-19 전후로 ‘사헬’(Sahel)지대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불안 요인의 증가와 프랑스의 대처와 대안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현재 사헬지대는 그 어느 때보다 최악의 힘든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지난 10년 동안 변하지 않고 있으며, Covid-19가 창궐한 현 시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이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는 마크롱 대통령 집권 이후 군사 개입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제 혹은 지역기구 간의 연대를 모색하며 개입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과거 ’프랑사프리크 ’(Françafrique)라는 특수한 관계를 고집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으며 개입해왔지만, 2013년 이후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말리를 중심으로 니제르, 부르키나파소 등 사헬지대 분쟁의 불안요소, 프랑스의 군 개입과 각종 테러집단 간의 대결 상황 등을 살펴보고 가장 최근 지역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국적 군 ‘타쿠바’(Takuba)에 대해 살펴본다. ‘타쿠바’에 대한 설립 취지는 명확하나 여전히 지역민의 살상 등이 이어져 지역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체 Covid-19 이후 더 많은 민간인 살상이 이뤄지고 있다. 이는 자연스레 지역민의 프랑스 군 개입에 대한 분노를 자아내게 한다. 결국 지역민의 분노와 반프랑스 정서를 가라앉히지 않는 한 사헬지대 문제는 프랑스를 비롯한 다국적 군을 미궁에 빠지게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삶의 환경 개선과 거버넌스(Gouvernance)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해 보이고, 심지어 테러집단과의 적극적인 대화 노력 또한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problems and measures of France in the Sahel region after Covid-19. The Sahel region is facing its worst-ever difficult period. This situation has not changed over the last 10 yea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egion, France has stepped up its military intervention since Macron"s presidency. It seeks to establish close coopera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regional organizations and extends the scope of the intervention in the Sahel region. But the situation has not improved since then. In this article we try to examine the content of the conflicts in the Sahel region and the French military intervention. We also look at the recently created multinational army "Takuba". The intention of the foundation of the "Takuba" force is very clear, but the image of the French army is deteriorating and massacres of local citizens continue. In addition, more civilian massacres have taken place since the Covid-19. This naturally provokes the anger of local citizens against France. Ultimately, as long as the anger of local citizens does not abate, the Sahel problem is likely to put France in the trap. To escape from this, it seems necessary to activate the Governance and to hold dialogue with terrorist groups.

      • KCI등재

        시칠리아 이슬람화와 ‘이프리키야’(Ifriquia) 베르베르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임기대 ( Lim Gida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63 No.-

        본고에서 언급하는 ‘마그레브’ 혹은 ‘이프리키야’는 이슬람문화권이라는 이유로 대개 아랍·이슬람 중심으로 설명되거나 이해되었다. 이는 ‘동일성’의 논리에 따른 것으로 지역 이해에 대한 여러 왜곡 현상을 불러왔으며, 흔히 서구중심주의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동일성’으로 귀결되는 ‘이프리키야’ 이슬람의 시칠리아 정복 과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 베르베르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동일성’의 논리를 극복하고, 지역 문화와 문명 교류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시칠리아는 지중해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이 대결 국면을 형성했던 곳이며, 중세시대 이 지역은 이슬람의 땅이기도 했다. 이슬람의 정복 과정은 아글라비드 왕조를 전후하여 파티마 왕조기에 접어들며 완성되었지만, 그 과정은 순탄치가 않았다. ‘이프리키야’에서 아랍과 베르베르, 베르베르와 베르베르, 이외에도 이슬람 종파 간의 대결이 시칠리아 정복을 지지부진케 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서 시칠리아의 이슬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베르베르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거의 전무하다. 본고에서는 시칠리아 이슬람화 과정에서 전개된 ‘이프리키야’의 상황과 베르베르인이 시칠리아 정복에 참여한 여러 배경 등을 살펴봄으로써 아랍 주도의 이슬람화가 아닌 이슬람화한 여러 베르베르 부족 주도의 이슬람화였음을 여러 문헌과 이프리키야 현지 조사 연구 내용 등을 토대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주변부’에 있던 베르베르인의 역할, 나아가 이들이 지중해와 아프리카 문명을 어떻게 연결시켜갈 수 있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The "Maghreb" or "Ifriquiya" mentioned in this article was often described or understood mainly in the Arab and Islamic areas because it is within the Islamic culture. This is based on the logic of 'identity', and it has led to various distortions of regional understanding. I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what is commonly called Eurocentrism. This study aims to explore Berber's role, which is rarely mentioned in the Sicilian conquest process, and it results in 'identity'. This type of research seeks to overcome the logic of 'identity' and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for exchange of local culture and civilization. It is well known that Sicily was the site of a confront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in the Mediterranean, and in the Middle Ages, this area was also a land of Islam. The Islamic conquest process was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Agrabid dynasty, entering the Fatimid dynasty, but the process was not smooth. This is becaus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Arabs and Berbers, Berbers and Berbers, and other Islamic sects in "Ifriquia" slowed the conquest of Sicily. In the midst of this, there is little historical assessment of Berber, who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islamization of Sicily.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Ifriquia" in the process of islamization in Sicily and various backgrounds of Berber's participation in the conquest of Sicily. Thus, based on a number of related literatures, surveys, an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can examine the fact that the conquest of Sicily and islamization were led by several Berbers rather than Arabs. Through this study, we can infer the role of Berber in the "periphery" and how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 Mediterranean and African civilizations.

      • KCI등재

        베르베르와 예루살렘 관계를 통해서 본 ‘갈등과 공존’의 메커니즘 양상

        임기대(Gi-Dae LIM),강지훈(Ji Hoon K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베르베르와 예루살렘과의 연관성은 그 자체로 매우 특별한 관계일 정도로 거의 언급되지 않는 부분이다. 역사 속에서 베르베르라는 존재 자체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예루살렘과의 지리적 거리감은 베르베르와 예루살렘의 관련성을 생각지도 못하게 했다. 그런데 오늘날 베르베르인에게 가장 중요한 축제 ‘옌나예르’(Yennayer)를 살펴보면 고대 파라오를 넘어 예루살렘까지를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베르베르와 예루살렘, 그리고 유대인의 관계가 고대부터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베르베르와 예루살렘과의 ‘갈등과 공존’의 메커니즘을 고대 시기부터 오늘날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갈등과 대립으로서 베르베르인과 예루살렘, 나아가 유대인과의 관련성을 파라오 시기,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 과정은 고대기 베르베르와 예루살렘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어 매우 유의미해 보인다. 둘째, 갈등은 있었겠지만 ‘공존’의 패러다임이 비교적 잘 유지된 지역이 있다. 지역적으로 예루살렘은 아니지만 예루살렘의 혼이 담긴 튀니지 제르바 섬의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아랍이 들어오면서 제르바 섬은 이슬람화 한 곳이지만 이슬람 이바디즘과 베르베르인, 유대인이 ‘공존’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특수한 성격을 갖는다. 이에 이슬람 이바디즘과 베르베르 그리고 유대인 공동체 간 어떻게 공존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식민 지배 전후로 또 다시 분출되는 갈등 관계를 살펴본다. 이와 같은 과정은 베르베르와 예루살렘의 ‘갈등과 공존’의 메커니즘 양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고찰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해석을 제공해주며,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문명 교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Berber and Jerusalem are not often mentioned because there is not much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is because the existence of berber itself has not been mentioned in history. Moreover, the geographical distance from Jerusalem made it impossible to imagine the Berber connection to Jerusalem. However, 'Yennayer', the most important festival for Berbers today, mentions the ancient Pharaoh and Jerusalem. I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rbers, Jerusalem, and the jews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This study examines the mechanism of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Berber and Jerusalem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rbers, Jerusalem, and Jews, focusing on the era of the Pharaoh and the era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Jerusalem temple. This process seems very meaningful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Berbers and Jerusalem. Second, although there may have been conflicts, there are regions where the paradigm of 'coexistence' has been maintained relatively well. This is not Jerusalem, but the case of Djerba island, which contains the soul of Jerusalem, is a case in point. Although Djerba island is an islamization place, it is a unique place where is lamic ibadism, Berbers, and Jews form a 'coexistence' relationship. It examine how they were able to maintain a relationship of coexistence. Finally, we examine the conflict relationship that erupted again before and after French colonial rule. Such a process provides a meaningful interpretation in examining how the mechanism of 'conflict and coexistence' between Berber and Jerusalem has been formed, and is useful for understanding various forms of cultural exchange in the region.

      • KCI등재

        지중해 도시 ‘탕헤르’(Tanger)의 최근 위상과 전략적 가치에 관한 연구

        임기대(LIM Gi-Dae)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0 프랑스문화연구 Vol.45 No.1

        Dans cet article, nous essayons de montrer la valeur stratégique de la ville “Tanger” en Méditerranée, une ville de libre-échange parmi de nombreuses villes du Maroc. Tanger était une ville très importante dans la Méditerranée et l’Afrique depuis l’Antiquité. En tenant compte de cette importance, nous mettons en exergue les politiques économiques d’État marocain en rapport avec l’Afrique et l’Europe, et également examinons les politiques économiques du gouvernement marocain visant à se propulser vers une ville globale en Méditerranée. De plus, il est très important d’observer cette valeur stratégique de Tanger dans la situation où les entreprises coréennes veulent entrer récemment. Mê̂me dans plusieurs perspectives optimistes, la ville de Tanger est la région qui pose le plus grand problème au Maroc. Par exemple, les gens du Nord comme les Rifains s’opposent à la politique du gouvernement. Pour l’instant, il est impossible de prévoir comment la politique économique actuelle entre en phare avec ce problème. Ce problème sera plus précisément abordé dans les recherches consécutives.

      • 대전 문화ㆍ예술 정책의 체계적인 수립을 위한 소고

        임기대(Lim, Gi-dae)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4 충청문화연구 Vol.12 No.-

        The cultural policy of Daejeon has changed significantly. With the newly elected mayor, many expect changes in cultural policies of Daejeon City for the better. However, with changes in policies, we are also afraid that cultural policies set before may disappear.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cultural policies of Daejeon City has been "the lack of a long-term road map as everything has been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economic revitalization. As a result, the cultural policy of Daejeon has not been able to maintain its continuity, but it has been nothing but a ephemeral ceremony.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ies of Daejeon in general and have noticed increase in cultural and art programs as well as the various cultural programs in daily life. Especially in this case festivals held in Daejeon, it has always posed the problem of not having an idenity of Daejeon although Daejeon is a city of science. Finally, we"d like to make a few suggestions in an effort to improve the cultural policies of Daej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