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교육에 있어서 직업교육

        임규정(Lim, Gyu-Jeong)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대학 평가에서 취업률이 주요 지표가 된 이후 대학은 인문학 계열 학과들을 통폐합하거나 폐지하고 있다. 정부 정책 또한 인문학 계열 학과의 정원을 줄이고 취업률이 높은 공학계열 학과의 정원을 늘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그 동안 철학계는 철학교육에 대해 많은 연구와 토론 및 논의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그것은 주로 철학교육의 외연 확장이나 커리큘럼을 수정하는데 집중되어 왔으며, 실질적인 교육의 내용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 때문에 사정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 실질적인 변화란 철학교육의 관점에서 직업교육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철학교육에서 어떤 형식으로 직업교육을 수용할 수 있을까?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인간에게 있어서 일과 직업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알아볼 것이다. 그 다음으로 철학과 직업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고 나서 이것을 뒷받침해 줄 동서양의 철학자들, 즉 아리스토텔레스, 공자, 칸트의 직업에 대한 생각을 알아볼 것이다. 이들의 직업에 대한 생각의 공통점은 직업의 필요성을 오직 생계의 관점에서만 주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관점에서든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직업이 꼭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토대로 철학교육에 있어서 직업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Since the employment rate became a main standard in the university evaluation, many universities have united or eliminated humanities departments. And the government enforces policie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engineering departments while decreasing the capacity of humanities departments. In preparation for this situation, a lot of study and discussion has been going on about ‘teaching philosophy’ in the field of philosophy. But the situation did not vary much. Becaus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philosophy have remained virtually unchanged. Therefore, now it is time for a substantive change. It is to accept critically the vocational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 philosophy. I will discuss this problem. First of all, I will elucidate the meaning that job and vocation have in a human life. And I will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philosophy and vocation. And then I will find out what th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ers think about the vocation. They are Aristoteles, Confucius, Immanuel Kant. They all assert that the most important goal that we must have a job is not sustenance.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a job in order to live like a decent human being. Building off of this, I will discuss the necessities and methods of vocational education in teaching philosophy.

      • KCI등재

        키르케고르의 실존론적 윤리학에 대한 고찰 1 - “심미적 실존의 상징들”을 중심으로 -

        임규정 ( Lim Gyu-je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2

        이 논문은 키르케고르의 실존론적 윤리학을 이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키르케고르의 실존론적 윤리학에서 인간 실존은 심미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실존의 세 단계 중 심미적 실존과 종교적 실존은 각각 두 단계의 하위유형으로 구분되고, 심미적 실존의 두 단계 하위 유형은 다시 각기 셋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키르케고르에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단계들 자체나 각 단계들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삶의 유형들이 아니라, 각각의 실존 단계를 거쳐서 마침내 종교성, 정확히 말하자면 기독교적 실존까지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어떻게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키르케고르의 실존론적 윤리학을 이해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그가 익명의 저자들을 통하여 각 실존 단계마다 대응시켜 놓은 허구적 혹은 역사적 인격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각 실존 단계를 이해하고, 각 단계에서 어떻게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지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는 보편에서 특수로 나아가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특수에서 보편으로 나아가는 방식이 될 것이다. 이것은 각 실존 단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일 뿐만 아니라 키르케고르의 인간학에 대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는 길이 될 것이다. 단, 양적인 제한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복잡하게 세분화된 키르케고르의 실존의 단계들 중에서 심미적 실존의 단계만을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a different method from the existing way of understanding of Kirkegaard's existential ethics. In Kirkegaard's existential ethics, human existence consists of three stages: aesthetic existence, ethical existence, and religious existence. Among the three stages of existence, aesthetic existence and religious existence are divided into two sub-types, and two sub-types of aesthetic existence are divided into three. By the way, what was important to Kirkegaard was not the various types of life embodied in these stages, but the process of reaching the stage of Christian existence through each stage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Kirkegaard's existential ethics is, we must understand how each stage moves to the next. In this regard, I intend to examine the fictional or historical personalities Kirkegaard has mapped to each stages of existence through his anonymous authors. And through this process, I try to understand each stages of existence and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each stag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way of moving from the universal to the specific. This is not only a new way to understand each stages of existence, but also a way for us to understand Kirkegaard's anthropology more clearly. However, due to quantative limitations, in this paper, only the stage of aesthetic existence will be discussed among Kirkegaard's complexly detailed stages of existence.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철학 교과의 토론 수업 방법에 대한 연구

        임규정 ( Lim Gyu-jeong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문화 Vol.0 No.13

        현재 철학 교과는 중등 교육 과정에서 그 존재 가치가 희박한 상황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철학 교과의 구체적인 교육 지침이 세워지지 않았다는 것에서도 크게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철학 교과는 학문으로서의 철학의 요구와 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요구를 적절히 융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필자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오늘날 철학 교과의 의의와 목적을 재정비하고, 철학 교과의 교육 대상으로서 텍스트 분석과 토론 지도의 중요성을 밝힌 바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필자는 그 후속 연구로서 철학 교과의 토론 수업 방법의 목표와 구체적인 지침을 제언하고자 한다. 토론 지도를 통해 달성해야 할 목표는 크게 네 가지이다. 학생들의 합리성을 함양하고, 전문 지식을 쌓는 일에 도움이 되도록 하며, 공동체를 이루는 합리적인 구성원이 되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민주사회의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한다. 요컨대, 철학 교과의 토론 지도는 학생들의 논증 실력을 함양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민주사회의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인교육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토론 지도와 관련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필자는 한 주제로 3단계의 토론을 구상하는 교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생소한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촉발하고, 그 관심을 현실적 문제와 연관시킨 이후, 그 문제의 근간에 있는 철학적 입장들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침을 고려한 토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토론에 대한 일상적인 선입견에서 벗어나, 논증을 적극적으로 구성하고 검토하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Today, the subject of philosophy education is given lesser weight in th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a. There should be various reasons for it, first of all, it is probably because the concrete guide of philosophy educa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short, the subject of philosophy education is under the situation not fusing the demand of the philosophy as a science and that in the field of secondary philosophy education. In this respect, I made clear that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the subject of philosophy education should be fixed immediately and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the text analysis and the instruction of the debate as on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philosophy. In this treatise, I will continue to suppose the purpose and the concrete guidance of the debate class of the philosophy education. There are four purposes to achieve by instructing the debate exercise. That is to cultivate the rationality of the students, to help to acquire the expert knowledge, to become a reasonable member of society, consequently to become a mature citizen of the democratic society. In short, the instruction of the debate in the class of the philosophy should accomplish the function of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beginning from developing the student's demonstrating ability and, consequently, helping to growing up as a healthy member of the democratic society. In order that, I think the concrete guidance about instructing the debate class. Accordingly, I propose the teaching plan of working out 3 step debate. That is, firstly, to touching off the students' interests about unfamiliar subjects, secondly, connect those interests to the practical issues, lastly, proceed to research the philosophical views basic to those issues. Through this debate class on the basis of these guidances, the students are supposed to get rid of the commonplace prejudices and having an ability to construct positively and examine the argu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