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경쟁 하 주변국의 대응전략

        임경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미·중의 전략 경쟁 속에서 태국, 필리핀, 일본 등 역내 미국의 동맹국들은 과연 어떤 시각으로 미·중의 경쟁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 전략을 추구하면서 주변 국가들에게 경제력을 통한 영향력을 강화함으로써 미국의 군사적인 동맹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미·중 전략 경쟁의 무대가 되는 아시아·태평양 주변국들 중 미국과 군사협력을 이어나가고 있는 동맹 및 안보우호국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계 강화를 통해 중국의 팽창적인 움직임을 견제하고자 한다. 이처럼 미·중은 직접적인 갈등에 더해 주변국들의 우호적인 지지를 획득하는 데 있어서도 경쟁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중의 전략 경쟁 속에서 태국과 필리핀은 경제적으로 중국과의 관계에서 국가이익을 극대화하면서, 미국과는 동맹국으로서의 관계를 고려한 군사협력을 잘 이어가고 있다. 어느 한 쪽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중국으로부터 투자를 이끌어내 국가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경제발전을 도모한다. 미국과의 연대를 통해 해양 영유권 확보 등 안보를 위한 군사협력 관계를 지속하려는 약소국의 유일한 선택지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한편 일본은 강력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이미 갖춘 상황에서 미국과의 전통적인 동맹 관계를 명확하게 최우선시하면서 중국과의 마찰을 줄이는 방향으로 경제·외교·군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strategies of Thailand, Philippines, and Japan towards the rivalry of China's One Belt One Road Strategy an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China seeks to promote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while increasing economic influence on neighbouring countries, which eventually is to weaken the Us' military alliance. On the other hand, the US aims to keep up reinforcing military ties with its all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the domain where the US-China competition mainly takes place, to check the expansionism of China. Likewise,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powers continues even in gaining friendly supports from the neighboring nations. In the midst of the US-China strategy competition,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Japan look forward to maximizing their national interests in the economic sector with China and in the military sector with the US through the alliance. The first two countries tend to avoid offending either side while still wishing to attract investment from China for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t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o maintain the military cooperation with the US in the security sector such as securing maritime sovereignty, which is the sole realistic option that weak states may choose. Meanwhile, Japan deals with its foreign affairs in diplomatic and economic fields with its own strong power and clarifies that it prioritize the traditional alliance with the US, while at the same time minimizing unnecessary friction with China.

      • KCI등재

        U.S. Indo-Pacific Strategy and New Southern Policy of South Korea - Based on Mutual Cooperation on the Maritime Security -

        임경한,조현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1 해양정책연구 Vol.36 No.2

        The leader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SEAN and share the mutual assistance of policies targeting ASEAN. Above all, both countries not onl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maritime cooperation but also agree to promote stable and peaceful Indian and Pacific Oceans. The Republic of Korea is implementing a New Southern Policy for long-term cooperation with ASEAN and India, which signifies an alignment with the U.S. Indo-Pacific Strategy on the stage of the Asia-Pacific waters. The New Southern Policy aims to present human-to-human exchange, win-win prosperity, and peace, the Republic of Korea could possibly boost ROK-U.S. alliance further by finding some areas that can be successfully linked to the U.S. Indo-Pacific Strategy. In the status quo of the twenty-first century, competition for maritime hegemony between or among the powers has been intensifing, which will now have an impact on creating an atmosphere of anxiety. Thus, in the perspec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enhancing a ROK-U.S. bilateral cooperation for maritime security in the sphere of ASEAN will be a cornerstone for promoting the future-oriented ROK-U.S. alliance.

      • KCI등재

        핵태세검토보고서(NPR)를 통해 본 미국의 핵전략 특징

        임경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4

        이 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는 미국이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추진해오고 있는 핵전략에 관한 내용이다. 미국의 핵전략 관련 움직임은 미국이 일반자료로 공개하는 핵태세검토보고서(NPR: Nuclear Posture Review)를 통해 일정 부문 확인할 수 있다. 최초의 NPR은 1994년에발표되었고, 이후 미국은 비정기적이지만 행정부 변화에 맞춰 총 4번의 NPR을 추가로 발표했다. 미국이 시기별로 발달시킨 핵전략을 바탕으로 적국 대비 압도적으로 우세한 핵전력을확보하여 적의 핵 공격을 억제하려는 시도는 상당 부분 성공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평가할 수있다. 미국이 추진해 온 핵전략과 핵전력 변화는 억제전략과 상쇄전략을 동시에 고려하여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적국에 대한 압도적인 핵전력을 확보함으로써 미국주도의 핵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미국이 목표로 하는 핵전략의 핵심이다. 다음으로는 미국의 핵전력 우위에 도전하려는 국가들과의 핵전력 경쟁의 심화 양상을 제한하고 회피하기 위해 도전국과 핵무기 감축 및 제한에 관한 협약을 적극적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대일로와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인도와 호주의 대응

        임경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4

        This article studies the strategies of India and Australia towards the rivalry of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the US Indo-Pacific Strategy. Many experts anticipate that India and Australia would benefit the most from the US-China economy and security rivalry. The two nations thoroughly investigate the strategy of the US and China, looking forward to maximizing their national interests while preparing themselves for the upcoming new international order. Both countries pursue to make economic benefits from China and to strengthen military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S. The two countries stay between the two great powers, but actively pursue their national interests. Their active hedging strategy as a middle power gives Korea implications of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how to set the foreign policy toward the US and China. 이 글을 통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경쟁 사이에 놓인 인도와 호주의 대응전략을 살펴보았다. 두 강대국인 중국과 미국이 경제 및 안보 분야에서 상호 치열하게 경쟁하는 가운데 가장 많은 혜택을 누리면서도 전략적 딜레마에 고민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인도와 호주가 자주 언급된다. 인도와 호주는 미국과 중국의 전략을 면밀하게 살피는 가운데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고, 미래의 새로운 국제질서를 맞이할 준비에 분주하다. 공통적으로 인도와 호주 양국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는 경제적인 이득을 우선적으로 추구하고, 미국과는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도와 호주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치열한 경쟁 상황 속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면서도 적극적으로 국가이익을 추구하고 있다. 중견 국가로서 인도와 호주가 보여주는 적극적인 헤징 전략은 중국과 미국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외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지정학 관점에서 본 림랜드 아세안(ASEAN)의 가치와 미․중 경쟁

        임경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0 東南亞硏究 Vol.30 No.2

        This article explains the US-China competition and Rimland ASEAN's value from a geopolit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the article focuses on realist theorists' pessimistic view in which they forecast an inevitable collision between the US, the maritime nation, and China, the nation who has been promoting maritime-centric policies when still being easily mistaken for a continental nation. The article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ASEAN's response to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giving a brief review on how to answer following questions : "How much value indeed does ASEAN imply?" and "How does ASEAN deal with the US-China competition?" Before such a hard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direction of ASEAN's strategic foreign policy is rather clearly classified. Despite relative difference among its member states, the ASEAN as a whole tends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S in military sector. Nevertheless it makes continuous and eager efforts to cooperate with the two nations in a balanced manner in both economic and military sectors. In other words the ASEAN has recognized its inherent value and is effectively carrying out pragmatic foreign policy in a selective manner.

      • KCI등재

        Same Bed, Different Dreams: US-Chinese Power Competition Over the East Asian Seas

        임경한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1

        This paper answers the causes of the security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East Asian Seas a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two great powers to achieve naval mastery in the region. This paper argues that economically and militarily, the incumbent global power, the US, and the challenging power regarding to economic and military power, China, are more likely to compete for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nd security and so forth. It is notable that the level of US-Chinese security competition over the East Asian Seas has been changing. Security dilemma is changing into power competition and the competition is expected to intensify more and more. Thus, the East Asian Seas will be a contested zone for a while between the US and China with naval forces playing significant roles. All in all, the US has been attempting to contain China while China has been attempting to expand its maritime activities to avoid such containment. This is a typical one bed, different dreams phenomenon.

      • KCI등재

        미얀마의 개혁 ‧ 개방과 미국의 對 미얀마 전략: 미얀마의 군부 주도 개혁 ‧ 개방을 중심으로

        임경한,문종화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5 No.2

        In March, 2016, Myanmar under civilian President has been expediting reforms and open market policy with leadership of Aung San Suu Kyi and this change has been attracting the world’s attention. Myanmar’s extensive reform movement has yielded successful model of democratization which will bring Myanmar back into international politics. The United States placed economic sanctions on Myanmar since 1988, however, due to recent reformation by the civilian government, sanctions are being removed. The year of 2016 announced the new start of Myanmar, and the US government is interested in achieving its strategic object: expanding regional influence in Asia by showing deep interest in economic development of Myanmar. The US government’s aim is to not only securing regional presence of the US in the region but also support Myanmar to check on China’s ambition to become regional power. The Obama administration’s “Rebalancing” policy requires holistic approaches in military, diplomatic, and economic effort. Also, the US government should support Myanmar more closely on human rights issue and democratization, so that it can ensure the success of “Myanmar Spring”, which can spread around the region. 2016년 3월 민간 출신의 대통령을 내세운 미얀마는 아웅산 수치 여사의 주도하에 개혁‧ 개방의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른바 미얀마의 봄이 시작된 것이 다. 미얀마의 움직임은 2011년부터 광범위하게 실시한 개혁‧ 개방과 민주화의 성공적인 모델로서 미얀마를 국제사회에 등장시킬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의 개혁‧ 개방 노력을 추적해보면 1988년부 터시작된것을알수있다. 미국은지난1988년이후지속해온미얀마에대한제재를걷어올리는 작업을 이미 진행해오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더욱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2016년 미얀마의 새 로운 시대가 시작되었고, 미국은 미얀마의 지속적인 경제적 발전과 번영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킴으 로써 아시아에서의 영향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미국이 대 미얀마 전략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목표는 중국을 견제하는 가운데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재균형(Rebalancing) 정책은 군사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외교적, 경제적 노력 등 전 방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또한 미국은 미얀마의 개혁‧개방 을 보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미얀마의 인권문제 해결 및 민주화를 지원하여 아시아 주변국으로 파 급시키는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Impacts of Russia-Ukraine War on East Asian Regional Order

        임경한,김재호 통일연구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31 No.2

        The outbreak of ‘the war in Ukraine’ in 2022 has had impacts well beyond Europe, spreading throughout international society. This study reviewed the structural impact of the war on the global order, as well as on the regional order in East Asia. As a result, the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igidity in the international system is increasing, and regional blocs are gaining strength. Second, the U.S., having previously maintained regional security in Europe and Asia separately, is now seeking strategic change as Russia and China working closely together. Third, the U.S. is courting cooperation with its allies and partners by cementing stronger than-ever economic and military ties in East Asia. Simultaneously, South Korea faces both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gainst this backdrop, South Korea needs to pursue a principled and integrated security strategy, along with a flexible strategy compartmentalized into sectors to promote its security. Above all, South Korea needs internal balancing—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its security capabilities —while pursuing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organizations. In external balancing, South Korea needs to make bold decisions and greater efforts by pursuing a global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with the U.S.

      • KCI등재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전략과 한국에의 함의: 미국 해양전략과 도전과제를 중심으로

        임경한 세종연구소 2021 국가전략 Vol.27 No.4

        The article focuses on the US maritime strategy, which the Biden administration would introduce implementing the Indo-Pacific strategy as part of the US diplomatic and security strategy. To illustrate, the Biden administration seeks to contain China’s expansive activities and build back better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 in the Indo-Pacific region. In doing so, the US would lead global politics and expand its influence over regional actors in every issue area, including economy, diplomacy, military affairs, health, and the like.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US and China would enter fierce security competition in the maritime domain. Biden administration’s diplomatic and security strategy is also significant for other states in the region, which are vulnerable to being drawn into the vortex of the US-China competition. For South Korea, the significance of the US strategy is especially greater because it maintains the closest relationship in terms of diplomacy, security, and the economy with both the US and China. Against this backdrop, the article suggests that maritime cooperation would become part of the core agenda for the ROK-US security cooperation. The article closely examines the status and issues of maritime cooperation, identifies future challenges. Finally, it suggests diplomatic and security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본 연구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전략 중 인도-태평양 전략을 추진하면서 채택하게 될 미국의 해양전략에 주목한다. 바이든 행정부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구축을 위해 중국의 확장적인 움직임을 견제하는 동시에 역내 국가들에 대해 경제・외교・군사・보건 등을 망라한 제반 분야에서 국제사회 주도국으로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미중 간 해양에서의 안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농후한 현실이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전략은 역내 주변 국가들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주변 국가들 모두 미중 간 경쟁의 소용돌이로 빠질 수 있는 취약성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 미중 모두와 외교・안보는 물론이며 경제적으로도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본 연구를 통해 한미 간 안보협력의 핵심 사안으로 부상하게 될 해양협력의 현황과 쟁점, 그리고 향후 풀어나가야 할 과제를 집중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양국의 군사동맹 강화를 위한 외교・안보 측면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