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旗人作家文康的《儿女英雄传》研究

        이흔 崇實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tudy on Manchrian writer Legend of herose LI,XIN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Novels in Ming and Qing dynasty is the top of Classical Chinese Fiction, but the novels in Qing dynasty had one more signification than the novels in Ming dynasty. Reflections of the basic historical facts or real life in Novels of Ming Dynasty is limited the scope of the Han ethnic, but there were some Manchu culture infused Ming Dynasty novel. Clearly, this is special cultural phenomenon in the Qing Dynasty novel. In this case, Legend of Heroes , which is written by Man writers – Kang Wen, has special value and effect. Therefore, the cultural and artistic of Legend of Heroes is not only ‘Manchu is the best talker, we got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first and then Legend of Heroes ’ (Shi, 1999, p357).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ttention was paid by this field for Legend of Heroes and this lends to people got nothing from this novel. Legend of Heroes will been as a example in this study essay and it will be found that after the middle of Qing Dynasty, even under the decline of the country, national consciousness is still stable relatively. Legend of Heroes is a long novel which was written by the late Qing Dynasty author – Kang Wen and finalized during Dao-guang period. From the comments of Legend of Heroes, whatever in the late Qing Dynasty, before and after the founding of China and even today, people can get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in an objective form from Legend of Heroes. Whereas, going through the Legend of Heroes in the overall analysis of Manchu culture but very few papers is for that.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penetrate each from history and literature, collecting description and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social historical records, from the reasons for the rise of the Qing Dynasty Manchu novels as a starting point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novel in Qing Dynasty and list Manchu Scholars novel preamble and commentary, by analyzing the cultural and recreational life of social background for Kang Wen, discusses his creative motivation, resolution, ideological significance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Legend of Heroes. Furthermore, Legend of Heroes as an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Manchu culture can be found and it will be a comprehensive material for the study of Manchu novels. The mid-Qing Dynasty is the top age of Man and Han novels. Manchu and Han fiction novel in literary tradition, writing forms, performance methods and the use of text is almost same. In these cases, what is the national identity? How to understand these features? This is the focus of this paper to study the issue. Base on the cases that we have mentioned above, this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and epilogue, this novel was divided into four parts described. Through the research of Legend of Heroes, main objective for this paper is analysing the middle of the Manchu Qing Dynasty mental state of scribe, summing up the lessons of history rise and fall of the Manchu, Manchu culture and literature of China's cultural history and discuss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旗人作家文康的《儿女英雄传》研究 중어중문 학과 이흔 指 導 敎 授 오순방 明清 시기의 장편소설은 중국고전소설이 최고 절정에 이던 작품군이다. 하지만 청대소설은 명대소설에 비해 더 한층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 명대 장편소설이 반영한 역사사실이나 현실생활은 대체로 漢族의 문화적 범주안에 국한되어 있으나 청대 장편소설은 명대 장편소설에 비하여 만주족의 문화를 많이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滿清시기에만 볼 수 있는 특수한 문화현상이다. 만주족 작가 文康의《兒女英雄傳》은 이러한 문화현상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滿·漢문화가 한데 어우러진《兒女英雄傳》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고 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이런 측면에 충분한 관심을 두지 않아 《兒女英雄傳》의 滿族문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滿族문화의 연구는 滿族 문학 유물의 일부분으로부터 전부에 이르기까지 개별적인 것과 총합적인 것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연구이다. 滿族 문학연구는 이미 많은 연구성과물이 있는데 滿族문화 전체에 대한 묘사, 혹은 어떤 문화에 대한 연구, 혹은 어떤 지역의 滿族 풍습의 개요, 혹은 어떤 제도에 대한 논술등 다양한 연구성과가 나왔다, 본문은《兒女英雄傳》을 중심으로 滿族의 가정에서 시작해서 滿族 전체의 문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은 대표적인 띤 滿族소설《兒女英雄傳》의 연구를 통하여 청대중엽 이후 비록 국세가 날로 쇠퇴하고 滿族 언어가 날로 미약해지는 상황에서도 滿族의 민족의식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안정되어있었고 滿族 소설중에서도《兒女英雄傳》은 독특한 민족심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논문은 清代滿族 소설《兒女英雄傳》을 저본으로 삼아 만족문화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한다. 《兒女英雄傳》은 청나라 말기, 滿族 작가 文康이 道光연간에 쓴 저명한 장편소설이다.《兒女英雄傳》에 대한 연구를 보면 청나라 말기나 중화민국 건국 전후를 막론하고 지금까지 평론과 고증 등의 순수 학술 논문에서는 모두《兒女英雄傳》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와 서술을 진행했다. 하지만《兒女英雄傳》을 통하여 滿族 문화 전체에 대한 분석과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논문은 사학과 문학을 상호 침투시켜 문학묘사나 역사에 남겨져 있는 자료로 청대 滿族소설 흥기의 원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부분을 통해 청대 滿族 소설의 발전을 계통적으로 논하면서 滿族선비들의 평가, 滿族 소설가 文康이 생활한 사회환경을 통해 그의 창작동기를 논술하고자 한다. 따라서《兒女英雄傳》이 가지는 사상의의나 예술 특색을 해석하면서 이것을 통해 滿族 문화의 특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청대중엽은 滿·漢소설창작의 흥성시기이다. 滿族 소설과 漢族 소설 모두 문학 전통측면이나 습작형식, 표현 방법과 문자사용상 거의 비슷하긴 하지만, 滿族 소설은 또 다른 민족적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또한 이러한 특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본 논문은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兒女英雄傳》의 연구를 통해 청대 중엽 滿族 선비들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滿族의 흥망성쇄의 역사교훈을 총결하여 滿族 문화와 문학이 중국문화사, 문학사에서 가지는 가치와 의의를 바탕으로 서론과 결말외 네부분을 나누어 논술 하고자 한다.

      • 신중국 수립 이후 경제발전 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한 대학의 역할 변화(1949-2015)

        이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 economy era, the role of universities in economic develop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gap in knowledge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esults in the gap in science and technology, further leading to the gap in economic development.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policies to foster more relevant and responsive universities to narrow these gaps. In advanced systems, efforts are made to strengthen universities' research and development functions. For example,  research-intensive university initiatives are promoted to gene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nhance the nation's competitiveness. These policies mainly focused on building microscopic links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industries. This approach primarily emphasizes the role of universities in a broad innovation system (national or regional). A basic form of coordin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industry is the model of university-industry (U-I) linkages. Developing countries benchmark these linkage models regardless of the different contexts and development levels. The success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its relevant coordination models requires a well-functioning market and adequate capacities of each sector(i.e., enterprise, university,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mediator organizations, etc.) in the system or models. However, most developing countries do not meet these conditions. In this case, will the existing coordination models work in developing countries? Its underlying question is whether the roles of universities in economic development are the same across systems. Are they playing different roles through different mission delivery at specific stages of economic growth?                    In the case of China, since the beginning of the CPP government's establishment in 1949, it has promoted a coordinated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y. In the early stage, China's economy grew extensively and inefficiently depending on natural resources. Later it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labor-intensive and export-oriented growth. The Chinese government has launched a new structural transformation toward the technology/innovation-based growth stage in recent years. During the past seven decades, the Chinese government has constantly planned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aligned with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At each stage, the government adjusted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promoted the coordination between universities' functions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s above through China's cas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coordinating universities' miss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e question of  'How did the Chinese government adjust and coordinate the universities' func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49?' It is separated into two research questions focusing on setting universities' roles (goals) and the strategies (means) in the government's strategies.                   First, what functions did the Chinese government plan for universities at each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Are they matched with national strategies for economic growth?                   Second, how did the Chinese government coordinate the changing roles of universities with economic development by stage? What strategies are adopted?                    This study is conducted based on historical documents. Both first- and second-hand material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ormer includes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Prime Minister's work report, education development plans, and influential speeches of critical persons from 1949 to 2015. The latter includes related literature, news, and commentaries.                   First, using NVIVO 12 Plus, changes in the direction of economic development and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were derived through keyword extraction and frequency analysis of China's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t each stage. Further, the process of adjusting universities' roles and the strategies for coordination between the roles (education, research, and the Third Mission) and economic development were analyzed through an intensiv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s.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Chinese universities have had three functions: education, research, and producing since the beginning of China's foundation. However, in the first stage (1949-1966), to develop the economy, universities mainly played the role of education in fostering professional talent. The university's research function was limited to basic research, and enhancing the academic capabilities of university professors was only an instrumental function for fostering talent. The primary purpose of the university's producing function was to nurture talent by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practice with research facilities. In the second stage, the scientific research role of the universities was further emphasized. As a member of the scientific research organization system belong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universities carried out the government-planned scientific research project. The research function of universities has also been expanded from basic research to applied research. However, even at this stage, the producing function of the university was still a place for training talent and producing research facilities. From the late second period (1978-1995), collaborations between some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re formed, and functions such as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gradually progressed. However, it was not a universal phenomenon, and there was no related policy support. In the third stage (1996-2015), more university-run factories experienced an expansion of functions from small-scale producing functions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This became an essential national project regarding higher education policy and a more extensive range of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during this period. Chinese universities also became the main body of knowledge creation in an enterprise-oriented national innovation system.                   In term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government promoted the linkage between the functions of universities and the direction of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estructuring higher education across the three stages. The restructuring of higher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three dimensions: universities, departments, and majors. It was promoted through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roles of universities for specific economic growth across stages. In the first stage (1949-1966), the Chinese government mainly link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univers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student quota system, the employment allocation system for graduates, and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In the second stage (1978-1995), the Chinese government gradually relaxed the control of employment allocation systems for graduates. In the third stage (1996-2015), the government linked universities'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to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capacity-building policies at university, college, and department levels, prioritizing the disciplines targeted for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as the research function of universities was emphasized from the second stage, new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or departmental key laboratories and technology research centers were uniformly established in the universities. These organizations were opened to society to connect directly with various economic sectors. In addition, initiatives that promote university-run ST companies at the second and third stages to commercialize their research results are one of the innovative strategies that are distinctive in China. This can be traced to the tradition of Chinese university-run factories in the 1950s.                   It can be seen that the adjustment of the role of Chinese univers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at each stage wa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economic growth and the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at that time. In addition, university-run factories have equipped Chinese universities with producing functions from the beginning, which could smoothly link the universities' functions to industry later in the 21st century.  지식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국가의 경제발전에서 대학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보유한 지식의 격차는 과학기술의 격차에 영향을 주고, 경제발전의 격차로 이어지며 그 간극이 더욱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각국 정부는 여러 정책을 시행하며 대학이 국가경제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선진국들이 기술혁신과 경제발전에 따른 국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는 방법으로 대학의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정책에서 정부는 대학과 지역 산업계 간의 미시적인 연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주로 기존의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연계 모형(예를 들면 국가혁신체제에 따른 산학협력 관련 모형) 에 따라 국가의 연구개발 시스템과 이 시스템의 한 주체인 대학의 역할을 강조한다. 개발도상국에서도 이러한 추세를 따라하여 대학과 산업계 간의 연계 모형과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연계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나 고등교육 기관의 역량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성숙한 시장 등 환견적 요인도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갖추지 못한 개발도상국에서 과연 기존 선진국의 연계 모형이나 경험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인가? 아울러 각 부문의 역량만 충분히 구축하여 선진국의 모형을 적용한다면 경제 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에 더욱 근본적인 질문을 해보자면,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은 세계적으로 보편화되어 있는가? 아니면 한 국가의 경제발전 수준과 단계, 경제구조와 성장 방식 등 나라별로 서로 다른 상황에서 경제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도 다를 것인가? 중국의 경우 정부 수립 초기부터 고등교육과 경제의 상호 협동적인 발전을 추진해 왔다. 초기 중국의 경제는 농업에 의존한 외연적인 방식으로 성장하여 노동집약적, 수출 중심적인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다. 이후 기술집약적 단계까지 성장하는 동안 중국 정부는 대학에 끊임없이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였고, 대학의 역할과 경제발전을 연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례를 통해 위에서 제시된 질문의 답을 찾아 개발도상국에서의 고등교육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핵심 주제를 ‘중국 정부 수립 이후 경제발전 단계에 따라 대학의 기능을 어떻게 조정하였는가?’에 두고, 이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아래에 두 가지 질문을 상정하였다. 첫째, 중국 정부는 각 경제발전 단계에서 대학에게 어떠한 기능을 계획했는가? 둘째, 중국 정부는 각 경제발전 단계에서 어떠한 전략 및 수단으로 대학의 기능을 경제발전 방향과 연계했는가? 여기에서 말하는 연계는 경제발전 단계별로 정부에서 대학에게 부여한 역할(목표)의 설정과 대학의 원활한 역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채택한 전략 및 정책(수단) 두 가지 차원을 모두 포함한다. 목표와 수단이라는 두 가지 차원의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 발전을 위한 대학의 기능과 사명, 지식 트라이앵글(Knowledge Triangle)을 포함한 고등교육과 경제발전의 연계 체제 등 이론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 틀을 구성한 후, 중국 정부가 1949년부터 2015년까지 수립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각 연도별 국무총리 업무보고, 교육발전 계획, 고등교육 관련 주요 개혁안과 정책 원문을 수집하고 해석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NVIVO 12 Plus를 이용하여 각 단계의 중국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각 연도의 국무총리 업무보고,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주제어 추출 및 빈도 계산 등을 통해 단계별 경제발전 방향과 고등교육 발전 방향의 변화를 도출하였다. 이후 텍스트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통해 본 연구의 두 가지 핵심 주제에 초점을 맞춰 단계별 ①대학의 역할 변천 과정과 ②중국 정부에서는 대학의 교육·연구·제3의 사명과 경제발전 사이의 연계를 어떻게 추진하였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중국 대학은 건국 초기부터 교육·연구·생산의 세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제1단계(1949-1966) 시기 경제발전을 위해 대학은 주로 전문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의 역할을 맡았다. 당시 대학의 연구 기능은 기초연구에 제한되어 있었고, 대학교수의 학술 역량을 제고하는 목적은 오직 인재 육성을 위한 도구적인 기능에 불과했다. 대학의 생산 기능도 인재를 육성하는데 필요한 연구 설비 등으로 학생에게 실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학의 과학연구 역할이 더욱 강조되며, 중앙정부의 과학연구 조직 체계에서 하나의 구성원으로서 정부가 계획한 과학연구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대학의 연구 기능도 기초연구에서부터 응용연구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대학의 생산 기능은 여전히 인재 육성을 위한 실습 장소와 연구를 위한 설비를 생산하는 장소였다. 제2단계(1978-1995) 후기부터 일부 대학과 기업의 협력 관계가 형성되어 기술 이전, 상용화 등의 기능이 점차 형성되었으나, 이는 보편적인 현상은 아니었으며 국가 차원에서 그와 관련한 정책적인 지원 또한 없었다. 제3단계(1996-2015) 이후에 더 많은 대학 부속 공장의 기능은 소규모 생산부터 기술 이전과 상용화까지 확장되었다. 이것은 이 시기의 고등교육 정책과 이의 상위 국가발전 전략 차원에서 중요한 국책사업이 되었다. 아울러 중국 대학은 기업 중심의 국가혁신체제에서 중요한 지식 창출의 주체가 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상술한 부분에서 중국 정부는 세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고등교육의 구조조정을 통한 대학의 기능과 경제발전 방향 간의 연계를 추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구조조정은 대학·학과·전공 등 세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단계에 따라 세부적으로 다르게 추진되었다. 아울러 매 단계에서의 경제발전을 위해 대학이 지니는 역할의 차이에 따라 정부의 연계 전략도 달랐다. 제1단계(1949-1966)에서 중국 정부는 주로 학생모집 정원과 졸업생 ‘취업배정제’ 및 대학의 구조조정 등을 통해 대학의 교육 기능과 경제발전을 연계하였다. 제2단계(1978-1995)에서 중국 정부는 졸업생 취업 배정에 대한 계획 및 통제를 점차 완화하였고, 제3단계(1996-2015)에 이르러 취업 배정에 대한 계획 및 통제를 전면 완화하고, 경제발전에 필요한 학과와 전공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을 통해 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경제발전과 연계하였다. 또한 중국 정부에서는 각 단계별로 대학이 지닌 기능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특히 제2단계부터 대학의 연구 기능이 강조되면서, 획일적으로 대학 내에 국가수준이나 중앙정부 부처수준의 중점 실험실과 기술연구센터 등의 새로운 조직이 설립되었다. 이 조직들이 사회에 개방되어 이후에 대학들과 다양한 사회 경제 부문 간의 직접적인 연계가 가능해졌다. 이 외에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대학들이 직접적으로 과학기술 기업을 운영하여 그 연구 및 개발의 산출물의 상용화를 추진하는 전략은 세계적으로 드문 예시로 이는 중국의 대학이 설립 초기부터 교내에 공장을 운영해온 전통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각 단계별로 경제발전을 위한 중국 대학의 역할에 대한 수정은 그 시기의 경제발전 방향과 대학의 역량 등과 일치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중국 대학은 초기부터 교내에서 공장을 운영하여 생산 기능을 가지고 있었기에 자연스럽게 산업 생산과의 연계로 이어질 수 있었다. 여기에 소련 모형과 사회주의적 대학 이념이 문화적 바탕을 만들어 과거 70여 년 동안 중국 대학과 산업계의 다양한 연계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공산당 행정조직의 특성으로 인해 고등교육 기관과 경제발전 간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했던 것이다.

      • 한·중 異形同義語의 대비 연구 : 생활 용어를 중심으로

        이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휘는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매우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들은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한글학회 『큰 사전』(1957)에 나오는 어휘는 고유어 45.46%, 한자어 52.11%, 외래어 2.43%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이희승 편 『국어대사전』(1961)에 등재되어 있는 양국 어휘의 비율을 보면 고유어 24.4%, 한자어 69.32%, 외래어 6.28%이고 『우리말 큰 사전』의 분류에 의하면 81,326어로 한자어와 비한자어의 비율이 53% 대 47%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근거로 하여 한자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가 자주 있다. 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한자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로서도 한자어 학습방안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중사전』,『全面改訂 中韓詞典』,『韓中 異意語 辭典』등을 일차적인 자료로 활용하여 한중 양국에 현재 사용되는 생활 용어 한자어를 중심으로 양국에서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어휘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수집된 자료를 통해서 한·중 양국의 한자어 이형동의어의 형태적 유형을 분류하고, 그 용례를 제시하면서 비교한 것이었다. 중국어 사전에 나타난 어휘의 뜻과 한국어 사전에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뜻을 비교하며 한자어의 형태소와 형태소의 배열 위치가 모양이 다르면서 의미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이형동의어'로 분류했다. 본 논문의 연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시행하는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한국어 한자어의 형성 배경, 한자어의 특징, 한자어의 분류 및 한·중 양국 한자어의 특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 3장에서는 중국어 사전과 한국어 사전을 통하여 비교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중국어 사전에 수록된 어휘의 의미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사전에 수록된 한자어 어휘를 대비하여 그 뜻과 예문을 제시하고 한·중 양국 이 음절 명사 이형동의어를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에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한·중 한자 이 음절 이형동의어의 자료를 정리하고 마무리하였다. The word is the basic unit of sentence construction. In the performance of emotional, verbal communication and so on, word plays an important role. Inherent word in Korean Society 『大辞典』(1957) appeared accounted for 45.46% appearing, Chinese word representing 52.11%, accounting for 2.43 percent of foreign words. 이희승edited 『国语大辞典』(1961) describes the word ratio was 24.4% inherent in the word, the Chinese word representing 69.32%, accounting for 6.28 percent of foreign words. According to 『韩语大辞典』 analysis, there are a total of 81,326 Chinese Words. Chinese Words and non- Chinese Words are each 53% and 47% of all words .In Korean education, Chinese Word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education. And we often see a variety of case studies on education of Chinese Words. Recently, Chinese Words in Korean education is growing proportion of education. This paper will be based on 『韩中词典』,『中韓辭典』,『韓中 異意語 辭典』Such information, analyzing South Korea and China on Chinese characters commonly used words.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collecting Alien synonymous Chinese Words of South Korea and China. We analyze the form on the collection of Chinese Words and sense of comparison, and illustrate the meaning of the word. By analyzing the Chinese dictionary and Korean dictionaries, the two countries' prime Chinese Words were arranged in the analysis. The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s were statements. In the second chapter the South Korea's Chinese Words forming the background Seoul, Chinese Words characteristics, Chinese Words classification and Korean and Chines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hinese words were analyzed. In the third chapter, on the Chinese dictionary and Korean dictionary are includ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Words.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d has been illustrated. In the fourth chapter,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three chapters are summarized and generalized.

      • 중국 수출입 제조기업과 제3자 물류기업 간의파트너십이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market economy develops and changes, competition between supply chains rather than competition among companies has already become a major form of market competition.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hippers are focusing on core areas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Third-party logistic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activities as part of the supply cha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artnership between third-party logistics firms and import-export manufacturing firms affects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paper presen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use third-party logistics servic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import-export manufacturing company using third-party logistics services in Beijing, Shanghai, and Guangzhou, China.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2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nership between Chinese shippers and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is based on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logistics services. Positive effect on quality. Manufacturing and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have operational collaboration, strategic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llowing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to fully know information such as market demands, operational processes, and strategic objectiv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Logistics outsourcing method can meet the customer's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of logistics service of logistics compan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 such as information quality, operation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Second,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f third-party logistics firms provide good logistics service quality by focusing on operational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This will help to improv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partner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 mance. Partnership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use third-party logistics through operational collaboration, strategic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addition, the specialized logistics services provided by third-party logistics firms are positive for corporat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ecause they reduce lead time, improve supply chain efficiency and flexibility,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import and export manufacturers and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established information sharing platforms by sharing information such as high-level information exchange, core technology sharing, market demand and inventory planning. We believe that the quality of logistics services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operational and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decision-making and joint problem-solving, and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achieve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strategic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improved relations among firms. 시장경제가 발전하고 변화함에 각 기업의 경쟁보다는 각 공급체인 간의 경쟁은 이미 주요한 시장경쟁 형태로 되였고, 기업간의 관계는 경쟁관계로부터 협력관계로 바뀌어 고객의 요구가 끊임없이 변화하여 증가하였다. 이러한 치열한 경영 환경의 변화를 대응하기 위하여 화주기업들은 경쟁우위를 갖고 있는 핵심영역에 집중하고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기업의 원가 절감 및 이윤 최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제3자 물류기업과의 파트너십에 대한 제조기업의 관심을 촉발시켰다. 제3자 물류는 공급체인의 일부분으로서 물류활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제3자 물류 기업과 수출입 제조기업 간의 파트너십이 물류 서비스 품질과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물류서비스품질 개선을 통하여 파트너십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3자 물류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제조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중국 베이징, 상해, 광주지역에서 제3자 물류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출입 제조기업이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적으로 202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화주기업과 제3자 물류기업 간의 파트너십이 물류서비스품질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운영적 협업, 전략적 협업, 정보공유 등 파트너십요인이 제3자 물류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제조기업과 제3자 물류기업은 운영적 협업, 전략적 협업 및 정보공유를 통하여 제3자 물류기업은 제조기업의 시장수요, 운영 프로세스, 전략적 목표 등과 같은 정보를 충분히 알 수 있다.이러한 파트너십을 맺는 물류아웃소싱 방식은 물류업체의 물류서비스를 고객의 요구 사항과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고 정보품질, 운영품질, 상호작용품질 등 물류서비스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제3자물류 서비스 품질은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즉 제3자 물류기업들이 운영품질, 정보품질, 상호작용품질을 중시하여 좋은 물류 서비스품질을 제공하면 화주기업들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의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셋째, 파트너십은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파트너십은 운영적 협업, 전략적 협업, 정보공유 등을 통해 제3자 물류를 이용하고 있는 제조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기업 간 장기적인 파트너십 유지를 통하여 기업의 물류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또한 제3자 물류기업이 제공하는 물류 전문서비스는 기업의 리드타임을 줄이고 공급체인 효율성과 유연성을 제고하고 고객만족도를 향상하기 때문에 기업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수출입 제조기업과 제3자 물류기업은 높은 수준의 정보교환, 핵심기술공유, 시장 수요 및 재고 계획 등의 정보공유로 정보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협업계획, 운영 프로세스 개선, 공동의사결정, 공동 문제해결 등을 통하여 서로의 운영적 협업 및 전략적 협업 실현과 기업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물류서비스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파트너십을 통하여 단기적 원가절감의 성과를 추구하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기업 간의 관계개선을 통하여 공급체인 통합과 전략적 경쟁우위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 문화거리의 특성분석과 조성방안 연구 : 수원시 창룡로 8번길 환경개선 제안을 사례로

        이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문화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논의는 이어지고 있으며, 문화를 앞세운 목표와 비전을 통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인정하고, 지역마다 문화를 알리고 그에 따른 경제적·사회적 발전을 통한 파급효과를 위하여 여러 가지 수단을 통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도시, 문화중심 도시재생, 문화거리, 문화축제 등은 도시에 대한 ‘정체성 확립’, ‘도약의 기회’라는 점에서 문화에 대한 패러다임(Paradigm)을 반영하고 있고, 지역민들에게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지역문화를 표출하는 수단으로서 문화거리(Culture Street)는 집약적인 공간에서 대규모 공간으로의 효과의 확산을 발휘한다는 점과 동시에 보행환경의 개선이라는 점을 모두 수반함에 있어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공공디자인의 한 분야이다. 문화거리는 지역의 이미지를 정립하고 소통과 활동의 영역으로서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공공은 지역만의 특색 있는 문화거리를 조성하고 있으나, 문화거리 수요에 대한 공급은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다. 특히, 지역인구와 국내외 방문객의 수에 대비해 다양한 문화요소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거리의 조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도시의 약점과 이를 개선하여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문화거리 조성을 통하여 보행환경의 개선과 문화요소의 연결 매개체로서의 역할과 파급효과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연구의 배경과 방법을 제시하고, 문화거리의 이론적 연구 및 사례연구의 성찰을 통한 문화거리 조성에 제시되어야 할 준거와 사례대상지를 설계를 통하여 제시된 준거의 적실성을 확인함으로서, 문화거리의 조성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Through culture-oriented goals and vis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ccept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culture and make efforts for ripple effect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with regions' introducing their cultures through various means. In this context, discussions on recognizing importance of culture streets have continued. It is of significance that culture streets establish a region's images and play a role as a field of communication and activities. Though the public sector designs culture streets with a region's uniqueness, supply of those streets is no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demand. Through research on cases of cities where there are various cultural elements compared to a local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omestic and foreign visitors but culture streets are not yet designed, it is expected them to improve pedestrian environment, to work as medium connecting cultural elements and to have ripple effects by finding weaknesses of those cities and by designing culture streets which are able to be the basis on local development with overcoming existing weaknes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backgrounds and methodologies and, with examining theoretical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culture streets and by setting criteria which are subject to be proposed in designing culture streets and designing example cities, the study identifies validity of the suggested criteria. It also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ultimate goal of designing culture streets.

      • 중국기업의 대한국 직접 투자 현황 및 분석

        이흔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Chin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and partnerships,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developed rapidly. However, the economic and trade relationship center on bilateral trade and mutual direct investment presents some new changes recently. The overseas investment of Chinese enterprises developed speedily these years, but there is a decreasing trend on direct investment of Chinese enterprises to ROK. In order to achieve the common development of the two country and the prosperity of the whole Northeast Asia, it is needful to explore new projects which can deepen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and promote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Korea to a higher and deeper level. The surprising investment pace appears in China in recent years in South Korean enterprises which is mainly because the steady, favorable investment environment and cheap labor cost in China have formed enormous attraction to Korean enterprises. In addition, being intimate on geography and complementarity of industrial structure is another two important factors which urges South Korean's enterprises, especiall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invest in China. In a word, as a result of South Korea's direct investment company in China mostly purchase its domestic mechanical equipment, raw materials, intermediate goods, thus as the upsurge of South Korea to Chinese direct investment, therefore this part of trade has played the vital role to the deficit expansion of China to South Korea's trade. The Chinese direct investment to South Korea has created the new development opportunity for South Korean's foreign trade.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Chinese direct investment to South Korea has expanded the opening markets of the two countries, has strengthen the mutual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m, and has created more development opportunity for South Korean's foreign trade.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will promote the enlargement of the trade scale. Most foreigners give quite a high appraisal to the potential market,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ical foundation in South Korea, moreover, they give the affirmation to the investment encouragement policy of South Korean government. So in the minds of a lot of foreign investors, South Korea is " one of the countries suitable for investment " however, it still remain to improve on some respects. The complicated examination-approval system and strict foreign exchange control system of Chinese government is unfavorable to the direct investment of Chinese enterprise to South Korea. The examination-approval procedures are complicated, and take a long time which cause some projects suffering the loss because of delaying the best investment timing; The foreign exchange control system, which is not flexible enough is unfavorable to expand the production scale and reinvest for enterprises. Therefore, China should relax the outside border invest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local detailed conditions of this country. 전통적인 투자이론을 고찰하면 투자와 무역은 항상 반비례 관계이다. 즉 양국 간에 무역 증가↔투자 감소; 무역 감소↔투자 증가. 그런데 지금 한국과 중국의 상황은 전통이론과 일치하지 않다. 2004년 현재까지 중국과 한국의 무역 규모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양국 간의 투자액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기업이 중국에 투자할 때 항상 가공무역형식으로 투자하기 때문이다. 한국기업들이 한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고 중국에서 완제품을 만든다. 이것은 한, 중 무역을 촉진하는 하나의 유형이다. 세계적 흐름에 따라 중국 국내시장 역시 곧 완전 개방이 될 것이다. 그때가 되면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들은 한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되면 한중 무역투자관계는 다시 '투자가 증가하면 양국 간의 무역액이 하락추세'를 나타낸다는 전통이론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중국 기업들의 활발한 대한국 투자 분위기는 장차 완전 개방된 중국시장에서의 한국기업의 입지를 넓히는데 좋은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기업의 입장에서는 한창 장려되고 있는 중국기업의 대한국 투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지금 란싱 그룹이 쌍용 자동차를 인수하였으나 쌍용 자동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부속품은 대부분 한국산이다. 후에 중국 시장이 완전히 개방된다면 중국에서 부속품을 조달 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단기적으로 보면 양국 간 기술제휴를 주요목적으로 하여 투자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대한국 투자가 중국 수출, 특히 기술 반제품의 수출확대를 위하여 투자하게 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현재 중국은 투자를 통하여 수출지향형 공업화를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도 중국투자를 이용하여 중국의 무한한 내륙시장을 개척하고 더 밀접한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과 한국은 서로 경쟁적 위치에 있지만, 많은 부분에 있어서 경제 구조적으로 상호 보완적 성격이 짙다. 따라서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까운 두 나라 간의 활발한 교역과 협력이 이루어 질 경우 양국 모두 서로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크다. 전 세계가 하나의 시장을 이루어 경쟁하는 시장 상황에서 두 나라가 협력적 보완관계로 미래를 준비한다면 두 나라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 분명하다.

      • 온라인 쇼핑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모바일 쇼핑과 인터넷 쇼핑의 비교

        이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the values such as hedonic shopping value, utilitarian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biquity would impact on the shopping customer satisfaction or not when online shopping users shopping through mobile phone or computer, furthermore, analyze the shopping satisfaction between mobile phone shopping and computer shopping groups and the effects to intention of continued us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shopping on mobile phone, except that utilitarian shopping value has a negative effect, the rest of values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when shopping by computer, all valu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except ubiqu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mobile phone shopping and computer shopping under the same factors. As a result, online shopping operators will pertinence service for online guest.

      • 온라인 사용후기 방향성과 신뢰도에 따른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이흔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인터넷 보급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의 소비생활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쇼핑에서 온라인 쇼핑으로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보편적인 소비채널로 자리 잡으면서 소비자들은 구매 전에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 공간의 정보를 탐색한다(박은아, 2007). 그 과정에서 사용후기는 소비자행동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구매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구태희, 2009). 사용후기는 방향성에 따라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이하며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소비자가 해당 사용후기를 얼마나 신뢰하느냐에 따라서도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성영신, 유형열, 장인숙, 2001). 따라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사용후기의 방향성과 신뢰도에 따라 태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사용후기 방향성과 신뢰도에 따라 태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즉 사용후기 방향성을 긍정/중립/부정으로 분류 한 뒤, 사용후기 방향성와 신뢰도에 따라 관광객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조사와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도출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한국에 방문할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7월에서 8월까지 중국대련국제공항에서 중국관광객을 사용후기의 방향성에 따라 세 집단(긍정/중립/부정)으로 나누고 각 집단을 120명씩 조사하여 총 36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41부를 제외한 총 319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측정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요인에 대한 관계와 효과성의 차이를 t-검정 및 분산분석(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온라인 사용후기 방향성과 신뢰도는 관광객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용후기 방향성이 긍정적일수록 관광객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 사용후기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사용후기를 통해 관광객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이해하고 유도 할 수 있으며 사용후기를 면밀히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을 시사해 준다. 또한 사용후기에 대해 더욱 신뢰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설명과 사진 등을 유도하여 사용후기의 품질을 향상시켜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사용후기 방향성 중 부정적 방향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부정적 사용후기에 대한 중점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review direction, credibility, and chinese tourists' attitude and behavior. The survey was undertaken for two months period during July and August, 2016 in China. Three hundred nineteen Chinese tourist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procedures. Results from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ourists' attitude and buying behavior based on online review direction and credibility.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online review direction and tourists' attitude and buying behavior. Finally, online review credibility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ourists' attitude and buying behavior.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y implemented into a professional practice in the following way. Tourism marketers or planners need to consider the enhancement of online review quality and credibility through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nd materials with potential tourists. Tourism managers are necessary to deal with negative messages of online review regarding the website. Future research may need to focus on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ourists' online attitude and behavior Key words: online review direction, credibility, Chinese tourist attitude, buying behavior

      • 한·중 북춤 비교연구

        이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rum is one of the most ancient and diverse musical instruments. All down the ages, the drum has been broad utilized which has meanings of sacred colors and supernatural power. Therefore, the drum has been an essential ingredient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n turn, influences the shape of the culture in all aspects. There is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drum and ancient dancing art in China. The drum is not only the component of ancient music but also the prop to the dance. In ancient times, the primitive residence use the drum to offer a sacrifice to heaven and pray for rain. The ‘drum’has been given the names and classified in the ancient book "Yue Li"during ChunqiuZhanguo period of late Zhou dynasty. The drum has formed its own culture through the history and fashions many artistic forms, including the music and dance, in the contemporary era. Consequently, the drum dance becomes an indispensable part in the dance art. This article stars with the introduction of drum dance. Based on Chinese and Korean drum dances, w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culture and origin of this dance art. The extant drum dance from ancient days has been sorted out and the typical dance movements in the dance of both countrie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Although Chinese and Korean drum dances have common ground, for example they all delivery the art in terms of the drum, they have differences in their cultural origin, historical thread, orchestic characteristic and creations. As a result, they mold individual dance images without losing the general character and manifest attractive charm as well as the colorful aesthetic perception. Regardless of the drum dance show or teaching, the skills in dancing have been developed quickly. On the one h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re from the traditional drum dance. On the other hand, the creation techniques and the body language of modern dance inspire the work of drum dance which emphasizes on the rhythmicity, the artistry and the dramaticism. At present days, more and more dancing directors and actors are interested in drum dance which possesses the representative difference of culture connotation between the western and eastern dancing cul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