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이후희 ( Hoo-hee Lee ),황순영 ( Soon-young Hw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총 356명으로부터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t검증을 통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모두 ‘수평적 의사소통’을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공동체의 핵심적인 구성원 중 하나인 특수교사가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육공동체를 실제 구축하는데 유용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a suggestion on how to form an education community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n the feedb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orm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To achieve this, a total of 356 teacher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eachers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on both the critical factors to achieve a warm education community and also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Method: First through a t-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critical factor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verified. Second, the priority rank of the factors was establish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equation. Third,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tors of requirements were proposed using a 2D coordinate graph. Fourth, the results of the models above were summarized to deduce the primary priority factors and the secondary priority factors. Results: The common factor was that all members for each of the school types perceived “non-hierarch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be improved on to become a warm education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et of pract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for how to implement a warm education community at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requiremen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a core member group of the education community, regard to be critical in forming warm education communities.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성 탐색

        이후희 ( Lee Hoo-hee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자연적 발화를 통하여 발화 속에서 나타나는 ADHD 아동의 또래관계 특징이 어떠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 5명의 ADHD 아동들의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발화하는 것을 녹음하고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ADHD 아동과 또래와의 발화 횟수 및 발화 소통 방향을 분석하고 시각화 그림을 통해 발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의 발화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를 살펴보면, 노드들의 방향성에서 눈에 띄는 점은 ADHD 아동과 또래들의 발화 네트워크가 양방향이 아닌 한 방향으로 나타난 노드들이 많이 나타난 것이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ADHD 아동의 학교적응 나아가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pathy patterns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five ADHD children in third to sixth grade were recorded and observed during the breaks at school. Based on the data selection procedure, the major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 attributes and centrality of the entire network we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ADHD we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node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peers were not bidirectional, and there were many nodes in one direc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meaningful that the suggestion of the practical program and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hildren with ADHD to make a positive change in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relation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따뜻한 특수학교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음악교과 운영의 개선방향 탐색: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실태를 중심으로

        황순영 ( Soon Young Hwang ),이나리 ( Na Ri Lee ),이후희 ( Hoo Hee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따뜻한 학교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주지교과 중심이 아닌 정신지체 학생의 예능교과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 음악교과 운영에 대한 실태, 교육 내용, 교수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ㆍ울산ㆍ경남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음악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34명이었고, 이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실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서 향후 음악교과 운영의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담당 교사가 음악 전공자가 절반 수준으로 그렇지 않은 교사의 비율과 비슷하여 앞으로 정신지체 학생의 음악에 대한 다양성 제공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전공자 교사들이 배치될 수 있기를 제안하였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등부의 주당 음악 시수는 2시간이었고,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여 음악을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뜻한 특수학교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정신지체 학생들이 주지교과 대비 음악교과의 시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전공교사의 배치 역시 고려되어야할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음악교과의 교수방법이 주로 교과서에 의존하는 실정이어서, 정신지체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ongoing music class in many special schools and looks into how well the music curriculum is operated. 34 teachers who now serve in special school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eungnam, joined the studies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it addresses the issue of the operating music curriculum. Second, it talks about the content of music teaching. Third, it deals with the teach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ginning with running the music courses, less than half of the music teachers majored in music and singing and playi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music class. On top of that, many of the teachers had hard time to educate musical creation and music theory as it is too tough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Many teachers hoped to have more diverse and colorful activity or technique in textbooks. Lastly for the teaching approach, the biggest challenge they faced as a music teacher in special school came from the character of the students. The followings difficulties were that they did not have time to prepare clas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eaching training must be presented to teachers and are widely available for anyone who wants it. Not to mention, music teachers specializing in special education are in high demand. The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eaching music in special class must be done by the teachers majoring in music and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music teaching in special schools. Second, teaching training needs to be administered imminently for improving the general quality of music class. Third, multiple techniques and diverse activities should be presented to teachers and set an environment where teachers have enough time and resources to study for students and make the class better.

      • KCI등재

        건강한 학교에 대한 청소년의 암묵적 지식탐색

        황순영 ( Soon Young Hwang ),이상수 ( Sang Soo Lee ),김대현 ( Dae Hyun Kim ),이유나 ( Yu Na Kim ),이후희 ( Hoo Hee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건강한 학교란 어떤 학교인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살펴보면서 건강한 학교 생태계에 필요한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단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부산·경남지역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같은 지역의 중·고등학생 1,01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항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성분 분석을 통해 건강한 학교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은 건강한 학교는 ‘활기’, ‘친밀감’, ‘열정’, ‘안전’, ‘상호존중’, ‘자율성’ 등의 총 6개 요인이 포함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 환경 모습과 비교해가면서, 청소년들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건강한 학교 생태계 조성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icit knowledge of healthy school in adolescents. For the study, self-reports data were collected from 1295 students for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organization.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treat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among student`s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organiz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as shown b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tudent`s resilience is the variable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Therefore, it suggests to establish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가정 내 장애학생 성교육 실태 및 부모의 인식 분석

        황순영 ( Hwang Soon-young ),정수영 ( Jeong Su-yeong ),이후희 ( Lee Hoo-h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본 연구는 장애학생 가정에서의 성교육 실태 및 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및 학교 성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성교육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편의 군집 표집을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18부의 설문지 전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장애학생 가정에서의 성교육 실태 및 부모의 인식에 대한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의 가정에서 성교육 실태는 대체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문제행동 중재 중심의 소극적인 형태의 성교육이 많았다. 둘째, 장애학생 가정에서의 성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올바른 성지식을 습득하여 바람직한 성문화 및 가치관을 확립하기 위해 성교육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set research problems as the current states of sexuality education in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awareness of parents on sexuality education in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o research these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350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who are enroll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special school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used total 218 copies on the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gender, arrangement type, and grade level of children were established for variabl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nd discussion on the current states of sexuality education and awareness of parents in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s as follows. First, for current states of sexuality education in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they were conducting sexuality education in general but they were mainly passive sexuality education centered around intervention for problem behaviors. Secondly, for awareness of parents on sexuality education at home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hey considered that sexuality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m to establish healthy sex culture and value by acquiring correct knowledge of sexual matters.

      • KCI등재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분석

        황순영 ( Hwanng Soon-young ),박미나 ( Park Mi-na ),이후희 ( Lee Hoo-h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된 진로·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부모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214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설문문항은 총 16문항으로 기초배경 6문항,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인식 10문항이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교 급별로 X2(Chi-Square)검정과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의 인식은 대부분의 학부모가 진로·직업교육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진로·직업교육 실시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진로·직업교육은 특수교사가 주체가 되어야한다 응답이 많았으며, 진로·직업교육 시작시기와 교육 장소에서 학교 급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은 과거에 비해 높아져 가정과 학교의 연계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가정과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학생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irection for interrelat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by investigating awareness of parents concern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on 214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Results: For awareness of parent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pecial-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ost parents knew about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onclusion: Awareness of parents abou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s believed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of linking home and school increases than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