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재판과 공적 참여

        이황희(Hwanghee Lee)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9

        공적 참여라는 말은 전통적으로 정치영역에 대한 참여를 의미하였다. 대의민주주의에서 시민은 자신이 원하는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투표권을 행사하거나, 선출된 대표들을 주축으로 한 입법과정에 적극적인 의사를 개진하여 대표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 자신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법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헌법소송을 제기하고 헌법재판관들을 설득하는 행위 역시 법률의 개폐에 관여하는 행위로 볼 수 있는 만큼, 이는 새로운 의미의 공적 참여로 평가될 잠재력을 가진다. 헌법재판도 재판작용의 일종이므로 그 정치적 역할에 있어서는 여러 한계가 있을 수 있겠으나, 헌법재판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헌법재판은 시민의 공적 참여에 우호적인 측면들을 가지게 된다. 국민주권주의 하에서 헌법은 국민의 근본적인 정치적 의사를 집약해 놓은 문서이므로, 헌법을 실현하는 것은 그 자체로 민주적 함의를 가진다. 특히 대의제에서 시민의 정치적 참여는 한계를 가지므로, 입법에 영향을 끼치고자 하는 시민의 정치적 열망이 헌법소송을 통해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 시민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어떤 법률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때 이 법률을 폐지하기 위해 의회에게 호소하는 것과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자신의 주장이 더 진지하게 다루어지는 후자를 선택할 이유가 충분한 까닭이다. 그렇다면 헌법소송이 증가하는 오늘날 현실은, 대의민주주의가 참여를 제약한 상황에서 헌법재판을 통해 법률의 개폐를 도모해 보려는 시도가 시민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어가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헌법재판의 활성화 현상의 원인을 사회갈등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는 정치영역의 무력함으로부터 찾는 입장도 있으나, 헌법재판이 시민의 참여에 우호적인 성격을 갖는 한 정치영역의 무력함이 해소된다 해도 위헌법률의 문제를 헌법소송으로 해결하려는 시민들의 태도는 유지될 것으로 생각한다. Public participation has traditionally referred to participating in the political process. Citizens in democratic nations exercise their right to vote to elect their own representatives, or exert influence over their representatives by setting forth actively their opinions in the legislative process. It could be regarded as a new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legislation to bring constitutional litigations and persuade constitutional judges to change or nullify the laws that they believe are unconstitutional. Since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s a kind of trial, its political role might be limited. However, in that adjudication, we can find some aspects favorable for participation. Under popular sovereignty the constitution is the essence of the fundamental political will of the people, so there is a deep democratic implication in the fulfillment of the constitution. In particular, sinc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limited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 possibility can be given that the political aspirations of citizens who want to exercise their influence on legislation can be realized with the constitutional litigations. An individual injured by some statues and trying to invalidate the statues could choose either to appeal to parliament or to file a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him/her the latter would be a more attractive choice since his/her argument would be taken more seriously in the Court. One of the causes of increasing constitutional litigations may be that the attempt to change or nullify unconstitutional law through constitutional adjudications has been well-received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not favorable for citizen’s participation. Some scholars present an argument that increasing constitutional litigations is due to the powerlessness of politics, which makes politics not be able to resolve social conflicts appropriately. However, as long as constitutional adjudication has favorable features for participation, I think many citizens will keep trying to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the judicial procedur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헌법연구관제도의 모델

        이황희(Hwanghee Lee)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4

        헌법재판소는 소수의 재판관으로 구성되지만, 사건의 특성상 심도 깊은 연구와 검토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각국의 헌법재판소는 사건의 조사와 연구를 위해 헌법연구관으로 하여금 재판관을 보좌하도록 한다. 헌법연구관의 일정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아직까지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헌법연구관의 제도적 모델을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헌법연구관제도를 단기근무 모델과 장기근무 모델, 재판관 보좌 모델과 재판부 보좌 모델, 강한 종속 모델과 약한 종속 모델로 분류했다. 단기근무 모델은 재판실무를 통해 얻은 헌법재판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헌법재판소 외부로 퍼뜨리는 데 유리하다. 장기근무 모델은 헌법재판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헌법재판소 내부에 축적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에 장점이 있다. 재판관 보좌 모델은 재판관과 헌법연구관 간에 깊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반면, 재판부 보좌 모델은 재판관이 현존하는 헌법연구관들의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활용할 수 있고, 헌법연구관 간에 전문성에 따른 분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강한 종속 모델에서는 재판관이 애초에 스스로 판단한 내용이 그대로 관철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약한 종속 모델은 재판관의 주도권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키지만, 이는 재판관이 자신의 생각을 더욱 숙고된 형태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모델 중 어느 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해 본질적으로 우월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해당 국가의 법과 제도, 정치적 상황, 사회적·문화적 조건 등에 따라 그 곳에 더 적합한 모델만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우리 헌법연구관제도를 장기근무 모델로, 재판관 보좌 모델과 재판부 보좌 모델의 혼합으로, 상대적으로 약한 종속 모델로 분류했다. Generally, constitutional courts consist of a small number of judges, but their cases require in-depth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refore, constitutional courts in many countries employ judicial assistants to assist the judges for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cases. Despite the importance of judicial assistants at constitutional courts, solid research on them is still rare. This paper tried to categorize the institutional models of judicial assistants at constitutional courts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is paper has showed that the judicial assistant system could be divided into a short-term and a long-term model, a judge’s assistant and a bench’s assistant model, and a strong and a weak subordination model. The short-term model is advantageous for spreading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gained in the constitutional court to the places where judicial assistants work after the court. However, the long-term model has an advantage in accumula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inside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reinforcing its expertise. The judge"s assistant model is advantageous for establishing a deep trust relationship between judges and judicial assistants. On the other hand, the bench"s assistant model has the advantage that it would be easy for judges to use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viewpoints from judicial assistants and their roles could be divided based on judicial assistants’ expertise. In the strong subordination model, it is highly feasible that the judges" original judgments would be carried out. To the contrary, in the weak model the judges" initiative would relatively be weakened, but this model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judges" thoughts in a more deliberated form.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model is inherently best. There are only models that are more suitable or less, depending on the laws, institutions, political situation, social condi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own country where the court is established. This paper classified the current judicial assistant system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s the long-term model, the mixture of the judge"s assistant model and the bench"s assistant model, and the relatively weak subordination model.

      • KCI등재

        법원의 재판을 대상으로 한 권한쟁의심판

        이황희(Hwanghee Lee)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3

        권한쟁의심판과 법원의 재판 간에 발생하는 관할경합 문제는 그간 권한쟁의심판의 영역에서 오래도록 논의되어 온 난제였다. 본고는 법문의 해석에 따라 법원의 재판을 권한쟁의심판의 대상으로 삼는다면 이 문제가 보다 체계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우리 헌법재판소법은 법원의 재판을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지만, 권한쟁의심판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 법원은 권한쟁의심판의 피청구인이 되고 법원의 재판은 권한쟁의 심판의 대상이 되는 처분에 해당하므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법원의 재판이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과는 달리, 다른 기관의 권한을 침해하는 법원의 재판은 권한쟁의심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고의 전반부는 법원의 재판이 권한쟁의심판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반론을 검토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법원의 재판을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조항을 권한쟁의심판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 법원의 재판이 가지는 소극적·반응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 권한쟁의심판에서 헌법소원심판과 같은 재판배제조항을 두지 않은 것을 입법적 흠결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의 논리적 취약성을 점검해 본다. 후반부는 이러한 검토내용을 바탕으로, 그간 지적되어 온 권한쟁의심판과 법원의 재판 간의 관할경합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한다. 법원과 해당 기관 간에 권한분쟁이 발생한 것으로 본다면, 법원을 피청구인으로, 그 재판을 대상으로 하는 권한쟁의심판방식을 활용할 여지가 생긴다. Potential conflicts that would arise between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and judgment of the courts have been a difficult problem. They have been addressed in many constitutional law literatures for a long time.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is problem could be solved still more systematically if we assume that judgment of the courts be the object to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Constitutional Court Act prohibits judgment of the courts from being contested with constitutional complaint, but that is not the case in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Considering that ordinary courts can be a respondent, and judgment of the courts falls under a disposition that should be the object to that adjudication, this paper is in a position that judgment of the courts infringing on other agencies’ competence can be contested with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The main content of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oretical possibilities that judgment of the courts be the object to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and to review some objections, that the provision prohibiting constitutional complaint on judgment of the courts should also be applied to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that the negative and reactive characteristics of judgment of the court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and that non-existence of the provision prohibiting adjudication on competence dispute on judgment of the courts should be viewed as a legislative fault. We come to an conclusion that they all have their logical weakness. In the second half, based on these reviews, I attemp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otential conflicts. If a conflict could be viewed to occur between ordinary court and relevant agencies, there would be room for making use of adjudication on the competence dispute, where the court being treated as the respondent, judgement as the subject matter thereof.

      • KCI등재

        대통령 탄핵심판제도상의 딜레마

        이황희(Hwanghee Lee)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4

        탄핵대상자 중 유일하게 국민으로부터 선출되는 대통령은 직접적인 민주적 정당성을 보유하고 헌법에 의해 안정적인 임기가 보장된다. 반면, 탄핵심판은 이러한 대통령을 그 직에서 물러나게 하는 제도이다. 본고는 이 두 측면 간의 길항적인 관계가 대통령 탄핵심판의 전반에 걸쳐 여러 딜레마를 초래한다고 본다. 대통령 탄핵심판은 뜨거운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진행되므로 원래부터 어려운 재판이지만, 이 같은 딜레마들이 이 소송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본고에서는 이 딜레마들의 원인과 구체적 내용, 그리고 해결방안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절차상의 딜레마로, 절차진행의 신속성과 신중성 간의 충돌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는 신속성의 상대적 우위 속에서 신중성 또한 최대로 발휘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실체적 판단에 관한 딜레마로, 헌법재판소가 형사법위반 여부를 판단할 때 겪게 되는 문제를 짚어보았다. 이 문제는 원칙과 예외를 구분해 접근하고자 했다. 원칙적으로 헌법재판소는 청구인이 제시한 탄핵사유에 대하여 모두 판단하는 것이 옳지만, 예외적으로 형사법위반 문제에 대한 판단유보가 허용될 수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정상의 딜레마로는, 재판부에서 6인 이상의 인용의견이 형성되었지만 아직 의견을 정하지 못했거나 다른 의견(각하 혹은 기각)을 가진 재판관이 있을 때, 재판부가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탄핵결정의 권위와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설령 탄핵사유가 축소되더라도 인용 측 재판관의 수를 강화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The president has direct democratic legitimacy in that it is the only figure who is elected directly by the people among the high ranking officials subject to impeachment. In addition, the president has a stable term of offic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the impeachment is the means by which the president is removed from office against his or her will.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spects leads to some dilemmas through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adjudication. There are some challenges in this adjudication from the beginning as it proceeds in a heated, complicated political situation, but the dilemmas as mentioned below add to the difficulty on this adjudication.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causes, specific contents, and solutions of these dilemmas. First of all, as a dilemma on procedural matter, we focus on the conflict between the principle of quickness and prudence in proceedings. This paper takes the position that it is reasonable to pursue the principle of prudence to the maximum under the guidance of th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principle of quickness. As a dilemma regarding substantive judgment, we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faces when judging whether he or she violated criminal laws. On this matter, this paper attempts to distinguish between principles and exceptions. In principle,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make judgment on all the grounds for impeachment presented by the impeachment prosecutor, but there would be some exceptions where it is possible to reserve judgment on the issue of criminal law violations. Finally, the decision-making dilemma arises when more than 6 justices think the request for impeachment could be upheld, while the others have not yet decided. This paper defends the perspective that in order to make stronger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impeachment decis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maximize the number of justices on the court opinion, even if the impeachment grounds might be reduced.

      • KCI우수등재

        헌법문언에 반하는 헌법해석

        李煌熙 ( Hwanghee Lee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헌법해석은 법문언을 기초로 하므로, 문언에 반하는 헌법해석은 모순적으로 들린다. 그러나 드물기는 하지만 이 해석기법은 재판에 활용되고 학설로도 주장된다. 본고에서는 왜 이러한 현상이 생겨나는지, 그러한 해석사례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고 또 이것이 실제로 존재하는 해석이라면 과연 어떤 조건하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외의 사례들과 우리 학계에서의 주장들 중에는 문언에 반하는 헌법해석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이 있다. 그 중에서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에 관한 우리 헌법재판소의 해석, 그와 관련된 일부 학설들, 헌법개정의 위헌여부 심사권에 관한 여러 해외 헌법재판소들의 해석, 그리고 현행헌법 제8조 제4항과 유신헌법 제53조 제4항에 관한 일부 학설들의 해석을 짚어 보았다. 형식적으로는 정당하지만 내용적으로는 부당한 법의 문제는 헌법을 최고규범으로 하는 규범서열과 헌법에 의한 국가권력의 구속과 제한을 추구하는 제한정부 관념, 그리고 이를 관철할 수 있는 위헌법률심사 제도를 통해 성공적으로 해결되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헌법은 그보다 더 우월한 규범이 없기 때문에, 헌법의 차원에서는 이 문제가 여전히 잠재되어 있다. 문언에 반하는 헌법해석은 이 예외적인 상황에 대한 해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헌법의 개별 규정이 늘 옳고 정의로운 것은 아니지만, 헌법에 부당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해서 문언에 반하는 헌법해석이 언제나 정당화되는 것도 아니다. 그 조항이 헌법의 기본원칙과 이념을 심각하게 훼손해 헌법의 문언에서 벗어나는 해석만이 헌법의 기본원칙과 이념을 보호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 그러한 해석이 예외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그 조항으로 인한 문제가 조속한 개헌을 통해 혹은 조화적 해석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있을 때 이러한 해석은 자제되어야 한다. Since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text,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gainst the constitutional text may sound like a contradiction. However, this interpretation, though rarely, is applied to the constitutional cases and claimed as a doctrine.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why this phenomenon occurs, what cases and arguments can be found in terms of this interpretation, and under which conditions this interpretation can be justified. Among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nstitutional Courts and arguments in our academic society, there are those that can be regarded as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gainst the constitutional text.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whether foreigners can be the subject of basic rights, some scholars’ claims related with it, the interpretation of many foreign constitutional courts on the jurisdiction to review constitutional amendments, and some of the interpretations on the Article 8 of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on the Article 53 paragraph 4 of the 1972 Constitution can be explain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the legal norm which is legitimate formally, but illegitimate materially is generally said to be resolved with the notion of the hierachy of norms with the limited government, and the constitutional review that fulfills the supremacy of the Constitution. However, since the Constitution doesn’t have norms superior to it, this problem is still latent at the level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gainst the constitutional text is considered as a solution to this exceptional problem. The specific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are not always right and just. However, such provisions don’t always justify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gainst it. This kind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a situation where the basic principle and philosophy of the Constitution are seriously undermined when the constitutional text is applied as written. When the problem caused by it may be resolved by a rapid constitutional amendment or by harmonious interpretation, namely practical concordance, it is desirable that this interpretation be restrained.

      • KCI등재

        벨기에의 헌법재판제도

        이황희(Lee, Hwanghee)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2

        19세기 초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해 탄생한 벨기에는 오랜 기간 동안 입법에 대한 사법심사를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진행된 헌정개혁을 통해 연방국가로 전환되면서 복수의 입법기관이 만든 입법들간의 충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법에 대한 사법심사 제도를 도입했다. 이 심사는 1984년 설치된 중재재판소가 담당했다. 처음에는 권한분장 문제에서 출발했지만, 그 후 입법이 헌법상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에 대한 심사권이 인정되었다. 중재재판소는 2007년 헌법재판소로 이름을 변경했다. 여러 복합적인 언어적․문화적 배경을 가지는 벨기에는 헌법재판제도 속에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모로 노력하고 있다. 벨기에 헌법재판소는 12인의 재판관으로 구성되는데, 출신 어권 간, 법률가 출신과 정치인 출신 간, 남녀성별 간의 다양성과 균형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두고 있다. 네덜란드어권 출신과 불어권 출신 재판관을 반반씩 임명하고, 법률가 출신과 전직 의원 출신 재판관도 동수로 유지한다. 법률가 출신 재판관을 선출할 때에도 판사, 헌법연구관, 대학교수와 같은 여러 직역으로부터 고르게 충원되도록 한다. 또 남녀 재판관이 각각 1/3 이상 임명되도록 정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판소의 구성뿐만 아니라 권한과 결정절차, 그리고 결정의 효력 등을 살펴봄으로써 벨기에 헌법재판제도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려고 했다. 벨기에 헌법재판제도에는 복합적이고 이질적인 문화적 맥락에 놓여 있는 국가가 어떻게 이 제도를 디자인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벨기에인들의 숙고가 담겨 있다. 다양성의 제도적 보장이 이 숙고의 핵심이다. 벨기에는 다양성을 포용하는 제도를 모색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참조가 될 것이다. Belgium, which was born independent of the Netherlands in the early 19th century, has not granted constitutional review of legislation for a long time. However, as a result of the constitutional reforms in a row since the 1970s, Belgiu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ederal state and introduced constitutional review of legislation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laws, decrees and ordinances made by each government established by the new Constitutions. At first, the constitutional review was implemented by the Court of Arbitration that was founded in 1984. The Court, initially designed for dealing with constitutional competence problems, was given another important jurisdiction to review whether legislations violate constitutional rights and changed its name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after. Belgium, lying in many complicated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showed various institutional efforts to realize diversities in the constitutional justic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Belgium(hereinafter referred to as “CCB”) consists of twelve judges, and has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diversity and balance between linguistic groups, between lawyers and former politicians and between each gender. Half the judges should be Dutch-speaking and the other half French-speaking. Half the judges should be from lawyers and the other half from former politicians. Even when appointing Constitutional Court judges from lawyers, Belgians pursue diversities by selecting them from various legal fields such as ordinary judges, legal secretaries at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law professors. Belgian laws provide that the CCB should consist of at least one third judges of each gender.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entire CCB system by examining their powers,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effect of its decisions. The CCB reflects the belief of the Belgian on the question of how people should design its system in a complex and heterogeneous cultural context.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f diversities is at the core of their deliberation. Belgium is a good reference for those seeking a constitutional justice system that reflects diversities in society.

      • KCI등재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이황희(Hwanghee Blaise Lee),배석(Suk Bai),진종언(Jong-Eon C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유전자 발현 조절 수준에서 멜라닌 색소 생합성 억제물질을 탐색하고자 지치 뿌리로부터 유용성 물질을 추출ㆍ분획하여 tyrosinase 프로모터를 지닌 B16 mouse melanoma cell에 처리한 결과 그 메탄올 추출물은 10 ㎍/mL의 농도에서 약 33% 이상의 tyrosinase 프로모터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활성능이 100 ㎍/mL의 농도에서 약 108%로 매우 안전하였다. 그리고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yl alcohol, 물 등의 용매 분획물들도 농도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100 ㎍/mL 또는 500 ㎍/mL의 고농도에서 tyrosinase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지치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3일 동안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색소의 생성능은 10 ㎍/mL와 100 ㎍/mL의 농도에서 대조군 세포에 비해 각각 약 11%와 24%로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To estimate the inhibitory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on melanin biosynthesis, we tested its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promoter in B16 mouse melanoma cells.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had inhibitory effect above 33% on tyrosinase promoter at 10 ㎍/mL and exhibited no cytotoxicity under 100 ㎍/mL. Also, melanin biosynthesis decreased approximately 11% and 24% at 10 ㎍/mL and 100 ㎍/ mL, respectively. Therefore,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would be considered very effective regulator of tyrosinase promoter and melanin biosynthesis.

      • KCI등재후보

        뇌하수체 세포인 GH3세포에서 non-genomic action을 통한 Nonylphenol의 nitric oxide 증진효과

        이경진(Kyung-Jin Lee),최철웅(Chul-Yung Choi),손현정(Hyun-Jung Sohn),정백진(Back-Jin Jeong),문소희(So-Hee Moon),이황희(Hwanghee Blaise Lee),이종빈(Jong-Bin Lee) 환경독성보건학회 2003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환경호르몬(endocrine disruptors)으로 분류되었으며,에스트로젠 화합물의 특성을 지닌 4-Nonylphenol(NP)이 설치류 pituitary 세포 중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GH3 세포의 Nitric oxide (NO)을 증가시키는 작용기전을 규명코자 수행되었다. 먼저 GH3세포에 NP처리 농도에 따른 NO의 생성을 측정한결과 NP처리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NO의 증가가 genomic action인지를 확인하기 위해GH3 세포의 NO를 증가시키는 효소인 neuronal oxide synthase의 단백질량을 측정한 결과 CH3 세포에서NP에 의한 nNOS의 단백질의 변화는 없었다. 에스트로젠 화합물인 NP가 에스트로젠 리셉터 (ER)와의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ER억제제(ICI 168,780)를 처리한 경우 NP에 의해 증가한 NO가 감소하였다. 또한유전자 전사억제제인 actlnomycin D 및 단백질 발현 억제제인 cycloheximide을 처리한 경우는 NP에 의한NO 증가억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GH3 세포에서 NP는 ER을 매개한 non-genomicaction에 의해 NO를 증가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