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닭의장풀에 Cd2+ 처리시 Cd2+ 흡수와 생장에 미치는 Ca2+ 의 영향

        이황구(Hwang Goo Lee),이준상(Joon Sang Lee)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1

        N/A Three-week old Commelina was treasferred to and grown in Hoagland solution(±100μM Cd^2+, 100μM Cd^2++100μM Ca^2+, 100μM Cd^2++200μM EGTA) for two weeks and then the effect of Ca^2+ on the accumulation of Cd^2+ and growth of Cd^2+-treated Commelina was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 of EGTA, Cd^2+ transport into the plant was not affected, but Cd^2+-induced toxicity such as biomass and growth of Commelina. was reduced. In the treatment of 100μM Cd^2++100μM Ca^2+, Cd^2+ transport was markedly affected by Ca^2+. The Ca^2+ also reduced about 37% and 48% of the concentration of Cd^2+ in root and stem for a week respectively. Ca^2+ treatment also induced the change of the growth pattern of Commelina leading to inhibition of about 37%, 48% and 68% of the growth of stem and root and the fresh weight for a week. When Cd^2+ was treated with Ca^2+ for two weeks, the plant was dead, therefore the growth and ion contribution could not be measured.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Ca^2+ did not reduce the toxicity of Cd^2+, but enhanced Cd^2+-induced toxicity and EGTA showed a decrease of Cd^2+-induced toxicity.

      • KCI등재

        횡성호 일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생태적 특성 분석

        이황구 ( Hwang Goo Lee ),정상우 ( Sang Woo Jung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에서 갑천군 수백리 일대의 횡성호와 횡성호 상·하류지역을 선정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분포, 생물학적 수질을 평가하였다. 조사지역은 횡성호 상류 2개지점(St. 1∼2), 횡성호 2개지점(St. 3∼4), 횡성호 하류 2개지점(St. 5∼6)의 총 6개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총 3회에 걸쳐 계류형 정량채집망(Surber sampler 30㎝×30㎝, 망목 0.2㎜)을 사용하여 정량채집 하였고, 조사지점별 정확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조사지점에서 미소서식처에 따른 정성채집을 병행하였다. 조사결과 총 5문 8강 17목 43과 83종이 출현하였으며,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하루살이-강도래-날도래군(EPT-group)이 50종(60.24%)을 차지하였고, 파리목(Diptera)을 더하면 61종(73.49%)으로 전체 출현종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정량분석시 횡성호 상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4강 11목 28과 54종 2,399개체, 횡성호에서 총 3문 4강 7목 12과 16종 510개체, 횡성호 하류지역에서 총 4문 6강 13목 33과 62종 626개체가 출현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0.82∼0.93(0.87±0.05)으로 횡성호에서 높게 분석되었고, 다양도지수는 3.04∼3.16(3.10±0.06), 균등도지수는 0.79∼0.85(0.82±0.03), 풍부도지수는 7.27∼8.52(7.90±0.63)로 횡성호 하류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은 collector-gatherers와 collector-filterers가 높았으며, 횡성호에서는 predators가 상대적으로 풍부하였다. 서식기능군은 swimmers, burrowers, cling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DCA 서열법과 유사도 분석 결과 횡성호와 횡성호 상·하류지역의 두 개의 그룹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별 종조성을 MRPP로 분석한 결과, 횡성호와 횡성호 상·하류지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나타내는 ESB 지수는 횡성호에서 매우불량한 최우선개선수역으로 평가되었다. 조사지역별 지표종은 횡성호 상류지역에서 두점 하루살이, 부채하루살이, 꼬마줄날도래 등 3종, 횡성호에서 징거미새우, 꼬마물벌레 등 2종, 횡성호 하류지역에서 곳체 다슬기, 강하루살이, 긴다리여울벌레류 등 3종이 유의한 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nvestigated in Hoeongseong Lake region from March to October 2010, Korea.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omposition of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habitiat oriented groups and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were assessed above and below Hoeongseong Dam in the lake region. Six sites, two (St.1∼2) above the lake, two (St. 3∼4) into the lake, and two (St. 5∼6) below the dam,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Surber sampler 30㎝×30㎝, mesh size 0.2 ㎜) and qualitative (Hand net) sampling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 result, a total of 83 species belonging to 43 families, 17 orders, 8 classes, and 5 phyla were recognized. The EPT-group (50 spp. : 60.24%) that is major taxa or EPT-group plus Diptera (61 spp. : 73.49%) occupied most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Based on quantitative sampling, the number of benthic maroinvertebrates above the lake was 2,399 individuals including 54 species, 28 families, 11 orders, 4 classes, and 4 phyla, whereas 510 individuals including 16 species, 12 families, 7 orders, 4 classes, and 3 phyla in the lake and 626 individuals including 62 species, 33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and 4 phyla below the dam were collected respectively.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with 0.82-0.93 (0.87 ± 0.05) in Hoeongseong lake (St. 3-4), diversity index was 3.04-3.16 (3.10 ± 0.06), evenness index was 0.79-0.85 (0.82 ± 0.03), and richness index was 7.27-8.52 (7.90 ± 0.63), which were relatively higher below the dam sites. In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collector-gatherers and collector-filterers were the highest in the whole sites, and predators (Micronecta sedula) was appeared highly in the lake. Moreover, swimmers, burrowers, and clingers were considerably occupied in all collecting sites. The result of the DCA, similarity analysis, and MRPP were well reflective of the composition of lake and stream macroinvertebrates. ESB indicate that the lake sites were evaluated heavily polluted under priority improvement waters. Also, Semisulcospira gottschei, Ecdyonurus kibunensis, Epeorus pellucidus, Rhoenanthus coreanus, Stenelmis sp., and Cheumatopsyche brevilineata are considered as an indicator species above and below Hoeongseong Lake, whereas Macrobrachium nipponense and Micronecta sedula are indicated in the lake.

      • KCI등재

        횡성호 일대에 분포하는 피라미(Zacco platypus)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 분석

        이황구 ( Hwang Goo Lee ),신현선 ( Hyun Seon Shin ),김성원 ( Sung Won Kim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횡성호 및 횡성호 상·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 4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피라미(Zacco platypus) 개체군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피라미 개체군의 지역별 동태를 비교한 결과 상류지역에서 1,707개체 (78.70%)로 가장 큰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체중 상관도 분석 결과 횡성호 일대에 분포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회귀계수 b값은 3.28로 비교적 안정적인 서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상류지역 3.28, 횡성호 3.10, 하류지역 3.09로 상류지역에서 가장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비만도 지수는 slope가 0.003으로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류지역 0.003, 횡성호와 하류지역이 0.001로 상류지역에서 가장 양호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피라미 개체군을 대상으로 전장크기를 비교한 전장빈도 분포 결과 상류지역은 30~50㎜, 70~90㎜사이의 개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횡성호에서는 60~80㎜의 개체, 횡성호 하류지역은 70~100㎜의 개체가 비교적 풍부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횡성호 일대 피라미 개체군은 상류지역에서 가장 안정된 생육상태를 나타냈으며, 서식조건이 충족될 경우 유수역 및 정수역 모두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Zacco platypus population in Lake Hoengseong region, including the up-and downstream in Lake,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to November, 2010. The results compared with regional dynamics of Z. platypus population showed a dominant population among the other fish population, and also upstream has relatively high as 1,707 (78.70%) individuals than those of other sites.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in relation to length-weight on Z. platypus population were 3.28 which appeared relatively a stabilized habitat condition in Lake Hoengseong region and 3.28 at the upstream and 3.10 in Lake Hoengseong and 3.09 at the downstream. Condition factor on Z. platypus population in Lake Hoengseong region showed stabilized population as 0.003 value, and especially the condition factors at the upstream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at the downstream and Lake Hoengseong, indicate that Z. platypus population at the upstream displayed to be maintained as the most good condition in relation to trophic states. As a results of compared with body size on Z. platypus population, was investgated as highly distribute between 30~50㎜and 70~90㎜at upstream; 60~80㎜in Lake Heongseong; 70~100㎜at downstream, respectively. As a results, Z. platypus population at the upstream among Lake Hoengseong region displayed the most stabilized growth condition, and Z. platypus population were inhabitable in lotic and lentic environments based on good habitat condition.

      • KCI등재

        복원에 따른 양재천 어류 군집의 특성

        이황구 ( Hwang Goo Lee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6

        201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양재천의 어류상과 복원 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5과 18종 1,503개체가 확인되었다. 하천복원 이후 양재천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 조사결과 피라미(Zacco platyp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개체군이 높게 나타났다. 양재천에 서식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빈도 분포 결과 총 4단계의 연령대가 추정되었으며, 27∼63㎜ (Age 0+)가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3.27, 비만도지수 slope는 양의 값으로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내성도와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하류로 내려갈수록 민감종과 충식종은 개체수 풍부성이 감소하고, 내성종과 잡식종은 증가하였다. 군집지수와 IBI지수를 활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시기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1차와 2차조사시 특정단일종 개체군의 영향이 높고, 3차조사시 다양한 어류의 개체수가 균등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he ichthyofauna and post-restoration properties of Yangjae stream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503 fish of 2 forms, 16 species and 5 families were studied during the survey period.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inhabiting Yangjae stream after restoration of the stream showed large populations of Zacco platypus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From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for the Zacco platypus population inhabiting Yangjae stream, it was estimated that there are 4 distinct age groups, with an abundance of the 27-63 ㎜ (Age 0+) category accounting for 51.3% of the popula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for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Zacco platypus was 3.27, while the slope of the condition factor was positive, demonstrating that stable growth conditions are being maintained. Analysis of tolerance and trophic guilds showed a decrease in the numbers of sensitive species and insectivore species further downstream, and an increase in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 spec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community indices and indices of biotic integrity (IBI)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rvey time: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showed major changes on certain single species populations while during the third survey, it was analyzed that the populations of various types of fish had established balance.

      • KCI등재

        홍천강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

        이황구 ( Hwang Goo Lee ),장창렬 ( Chang Ryeol Jang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2

        2008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홍천강의 8개 미소서식처 유형에 따른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6과 21종 1,033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Acheilognathus signifer,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Coreoperca herzi, Odontobuitis interrupta, O. platycephala 등 총 13종(61.9%)으로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Z. koreanus, 아우점종은 Z. platypus로 조사되었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은 샛강, 낙차형 웅덩이, 급여울에서 Z. platypus, 개방형 하도습지, 평여울, 사행형 웅덩이, 거석형 웅덩이에서 Z. koreanus, 댐형 웅덩이에서 Microphysogobio yaluensis,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우점하였다. Z. platypus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이 3.27의 값으로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결과 홍천강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홍천강의 서식처 유형별 유사도 분석 결과 개방형 하도습지와 사행형 웅덩이가 66.2%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샛강과 폐쇄형 하도습지가 32.1%로 가장 대조적으로 분석되었다. The fish fauna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Zacco platypus at the 9 habitat types in the Hongcheon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2009 to April, 2010. The collected species during the surveyed period were 21 species belong to 6 families. Korea endemic species were Acheilognathus signifer,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Coreoperca herzi, Odontobuitis interrupta, and Odontobuitis platycephala which showed 61.9% ratio of total species. Dominant species was Z. koreanu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Z. platypus.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habitat types were Z. platypus(in side channel, substrate type pool, and riffle), Z. koreanus(channel connected pool, run, meander type pool, and rock type pool), M. yaluensis( dam type pool )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channel unconnected pool).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population of Z. platypus was 3.27 in regression coefficient(b).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lassified as 2 groups. Bray-curtis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hannel connected pool and meander type pool showed the most similar values(66.2%), whereas side channel and channel unconnected pool exhibited the most distance values(32.1%).

      • 수서곤충의 모기 조절 기능 평가

        이황구 ( Hwang Goo Lee ),김동건 ( Dong Gu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정운경 ( Un Kyung Jung ),이동진 ( Dong Jin Lee ),오우석 ( Woo Su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본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열대성매개 질병인 말라리아, 댕기열 등과 같은 모기 매개 질병확산방제 차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에 위치하고 있는 내륙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모기 조절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내륙습지 관련 자료는 전국단위 평가를 위해 다각적인 문헌조사를 병행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전국내륙습지조사 등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나 전국자연환경조사는 대부분 유수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전국내륙습지조사는 식생 위주의 조사 결과가 보고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문헌별 조사방법이 상이하며, 정량조사가 수행되지 않아 조절서비스의 비교·평가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진에 의해 과거부터 축적된 기존 습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하였으며, 공주시와 서천군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데이터를 보충하였다. 기존 습지조사 자료는 진관내동 습지, 둔촌동 습지, 덕소 습지, 무의도 습지, 문경 습지, 우포 습지 등 6개 지역단위 습지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현지조사 대상지역은 공주시와 서천군에 위치한 생물다양성이 높은 자연습지, 영구습지 및 생물다양성이 낮은 인공습지 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은 조사지점의 유량과 물리적인 환경 및 계절별, 우화시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습지의 정량조사 채집도구인 dredge sampler (40x20 cm, meshsize 500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1지점 당 3개의 point를 선정하여 1m 간격으로 동일 지점을 2회 긁어 채집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과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도, 다양도, 풍부도, HOC (노린재목-잠자리목-딱정벌레목)지수, 모기의 비율을 산출하여 습지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습지 분석 결과 문경습지에서 39종으로 가장 많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덕소습지 35종, 진관내동습지 33종, 공주시습지 32종, 우포습지 30종, 무의도습지27종, 둔촌동습지 26종, 서천군습지 12종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지역은 덕소습지로 752.81/㎡이 나타났으며, 문경습지 733.23/㎡, 우포습지 579.75/㎡, 진관내동습지 503.33/㎡, 무의도습지489.79/㎡, 공주시습지 169.08/㎡, 둔촌동습지 132.60/㎡, 서천군습지 101.67/㎡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공주시 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2문 3강 9목 32종으로 조사되었다. HOC 지수와 모기류 비율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기류-개체수 비율이 높으면 HOC-개체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모기류-종수 비율이 낮으면, HOC-종수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천군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2문 2강 8목 12종으로 조사되었다. HOC 지수와 모기류 비율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기류-개체수와 종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HOC-개체수와 종수 비율이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모기류의 개체수와 종수 비율과 HOC의 개체수와 종수 비율은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덕소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2강 9목 35종으로 조사되었다. 덕소습지의 경우 전체 조사지점에서 가장 높은 개체수 현존량을 나타냈으나, HOC-개체수 비율의 경우 12.7%로 가장 낮은 HOC-개체수 현존량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모기류의 종수비율 및 개체수 비율이 각각 5.7% 및 19.8%로 다소 높은 현존량을 나타냈으며, 결과적으로 아우점종이 모기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의도 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4강 10목 27종으로 조사되었다. HOC-종수 및 개체수비율은 40.7%, 및 18.7%로 나타났으며, 모기류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3.7% 및 0.4%로 나타나 모기류 개체수 비율이 전체 조사지점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경 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4강 10목 39종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조사지역 중에 가장 높은 HOC-종수(66.7%) 및 개체수 (69.3%) 현존량을 나타냈으며, 이에 따라 가장 낮은 모기류 종수 비율 (2.6%)을 나타냈다. 우포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5강 11목 30종으로 조사되었다. HOC-종수 비율이 33.3%로 가장 낮은 현존량을 나타냈으며, 모기류의 개체수 비율의 경우 32.2%로 가장높게 나타났다. 진관내동 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3강 10목 33종으로 조사되었다. HOC-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각각 60.6%, 15.0%로 나타났으며, 모기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12.1% 및 5.6%로 나타났다. 둔촌동 습지에서 출현한 저서무척추동물은 3문 3강 9목 26종으로 조사되었다. HOC-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각각 61.5% 및 32.5%로 나타났으며, 모기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3.8% 및 0.9%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과 모기 군집의 상관성분석은 총 7개의 항목에 대하여, 모기 군집의 종수 비율 및 개체수 비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점도지수와 모기류종수 및 개체수 비율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양도지수와 모기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풍부도지수의 경우 다양도지수와 마찬가지로 모기 종수 및 개체수의 비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수와 모기 종수 및 개체수의 비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OC-종수 비율과 모기 개체군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모기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습지별 군집지수와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우점도지수를 제외한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HOC-종수, 개체수 비율 등은 모두 모기류의 종수 및 개체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습지별 출현종의 다양성 및 풍부성, HOC의 종 및 개체수의 풍부성은 모기류를 생태적으로 조절하고 있는것으로 판단된다. 습지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과 모기 군집의 상관성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상관성 분석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이 모기류를 조절하는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 KCI등재

        토지피복도 분류체계와 연계한 모기 서식지와 적용가능 방제법 검토

        김정은,이황구,김동건,Kim, Jeong-Eun,Lee, Hwang-Goo,Kim, Dong-Gun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모기는 감염병을 매개하는 생물종으로서 인간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며, 교통 및 운송수단 등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질병 도입 및 질병 매개체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와 연계하여 모기가 발생 가능한 서식지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서식지 유형 특성에 따라 출현 가능한 모기 종류를 함께 구분하였다. 또한 모기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식지 유형별로 최적의 방제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심지역은 위생 해충의 발생원이 다양한 서식지가 분포하는 지역으로, 최소 환경 조건만 갖춰진다면 모기가 대량 발생하기 적합한 환경일 것으로 보인다. 발생원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유충과 성충 방제를 같이 수행하며, 시민들을 대상으로 방제 교육이나 홍보물을 배부하여 적극적인 방제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지역의 경우, 저수지나 늪지, 논 등의 정수역에서 모기 유충의 서식밀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천적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이용하면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산림지역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의 주요 서식지로서 무분별한 산림벌채를 최소화하고 인근 거주민을 대상으로 물리적 방제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타지역은 수생태계를 중심으로 발생 가능한 모기 유충을 방제하기 위해 생물학적 방제와 Bti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식지를 크게 4가지(도심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기타지역)로 분류하여 모기에게 적합한 서식지를 고찰하였으며, 모기 서식지별로 적합한 방제법을 제시하였다. 모기의 개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하절기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Mosquitos serve as vectors for diseases, causing inconvenience as well as a threat to human life and health. Concern about mosquitos introducing and spreading new diseases has been intensifying. We observed a variety of mosquito habitats based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from Korea'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osquito species that could appear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ach habitat type. Finally, we suggested the best control methods for each type of habitat considering habitat characteristics and the ecological traits of mosquitos. Urban areas harbor various habitats for pest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mosquito habitats. Control must be performed regarding larva and adults because various sources for habitats exist. Public mosquito control programs such as educational training, as well as information brochures can be effective in managing mosquito populations and public health. Agricultural areas show high densities of mosquito larva to lentic zones such as reservoirs, wetlands, paddy fields. So, biological control using natural predators may be effective in controlling mosquito populations. Forests are major habitats for Aedes albopctus, so physical controls should be deployed for residents living nearby, and excessive deforestation should be minimized. Other areas including aquatic ecosystems should be adopted regarding biological control using Bti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and chemical control for eradicating mosquitos. We classified habitats into four types of land cover patterns considering ecological traits and habitat preference, and suggest adequate control methods for each habitat type. Our suggestion can be used to positively contribute toward effective managing mosquito's density and reducing the damage to public health.

      • KCI등재

        계방천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개체군 특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과의 상관관계

        고민섭,최준길,이황구,Ko, Min Seop,Choi, Jun Kil,Lee, Hwang G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홍천군 명개리 열목어 서식지인 계방천의 어류 군집과 열목어 개체군 특성 및 서식지 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7월, 9월, 10월 총 3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6과 13종 882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금강모치, 아우점종은 참갈겨니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어류 중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열목어와 가는돌고기가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 제259호인 어름치가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총 10종으로 76.92%의 매우 높은 고유종 빈도로 나타났다. 계방천에서 열목어 추가조사를 포함하여 3회 조사 동안 총 99개체의 열목어가 채집되었다. 열목어 개체군의 생육상태와 생식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장-체중 상관관계 분석 및 비만도 지수(k)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목어의 회귀계수 b값은 3.1272, 비만도 지수(k)는 0.0006으로 분석되어 조사지역의 열목어 개체군은 비교적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비교적 낮은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장빈도분포 분석 결과 당년생 60~130mm, 1년생 140~200 mm, 2년생 이상의 개체는 200 mm로 추정되었다. QHEI는 130.0 (±2.0)~159.0 (±1.0)의 범위인 '양호~최적' 등급으로 분석되었다. HSI를 분석한 결과 최적의 수심은 0.45~0.55 m와 1.0 m 이상, 최적의 유속은 0.55~0.65m s<sup>-1</sup>, 하상은 Boulder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별 인근 토지이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 66.26~96.31%, 농업지역 0.00~23.79%, 도시지역 0.00~4.19%, 기타지역 3.69~8.87%로 분석되어 대부분의 지점에서 산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농업지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점별 출현한 열목어 개체수와 다양한 항목 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QHEI와 산림지역과는 양의 상관성(p<0.05), 농업지역과 도시지역과는 음의 상관성(p<0.05, p<0.01)으로 분석되어 서식지 주변의 토지이용 유형 및 변화 정도에 따라 열목어 개체군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열목어 개체군 보호 및 관리를 위해는 서식지 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ecological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churian trout habita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growth status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CA) betwee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and the use of the land around Gyebangcheon stream. Sampling was conducted twice in July, September, and October 2018. During the July and September surveys, 882 individuals belonging to 13 species from six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The total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collected was 99. The results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were analyz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b value of 3.1272 and a condition factor (k) value of 0.0006. Therefore, the growth condition of B. lenok tsinlingensis was regarded as fairly good. The QHEI(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habitat was 119.5(±0.5)-153.5(±0.5), indicating optimal-suboptim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HIS (Habitat suitability index)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habitat for B. lenok tsinlingensis was 0.45-0.55m and >1 m in water depth, 0.55-0.65 m s<sup>-1</sup> in water velocity, and boulder in the substrate. The ratio of the land use in this study site was analyzed as 66.26-96.31% for forest and grassland areas, 0.00-23.79% for agricultural areas, 0.00-4.19% for urbanized areas, and 3.69-8.87% for other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and various factor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QHEI and forest and grassland areas, agricultural areas, and urbanized areas.

      • KCI등재

        달서천에 서식하는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개체군 특성

        왕주현,최준길,이황구,Wang, Ju Hyoun,Choi, Jun Kil,Lee, Hwang G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대구시 달서천을 대상으로 나일틸라피아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서식환경분석 결과 낮은 수심과 자갈, 모래/진흙의 비율이 높은 하상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서식환경 분석 결과 달서천의 전기전도도(EC)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온 및 수온 분석 결과 달서천은 연중 10℃ 이상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호강은 3월부터 10℃ 이상의 수온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상 조사결과 총 8과 20종 4,247개체가 출현하였다. 상대풍부도 분석 결과 나일틸라피아가 1,306개체(30.75%)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별 나일틸라피아 개체수 분석 결과 6월 30일 조사 시 급격한 개체수 증가를 보였다.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길이-무게 분석 결과 회귀계수 b값은 3.1496으로 나타났으며, 비만도지수(k) 기울기는 0.0025로 양의 기울기로 분석되었다. 조사시기별 달서천의 수온과 나일틸라피아 전장을 비교·분석한 결과 22℃ 이상의 수온을 유지하는 5월 29일 조사시 당년생 개체가 출현하였다. 전장빈도 분포 분석 결과 당년생은 0~110 mm, 1년생~2년생은 120~210 mm, 2년생 이상의 개체는 >210 mm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나일틸라피아 개체군 생식소중량지수(GSI) 분석 결과 수컷과 암컷 모두 3월 11일 조사시 중앙값이 가장 높았으며, 3월 이후 중앙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틸라피아의 개체 무게(BW), 생식소중량(GS),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의 상관 분석 결과 개체 무게가 유사더라도 암컷 개체의 생식소중량과 생식소중량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달서천에 서식하고 있는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은 온배수로 인해 겨울철에도 생존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생활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온이 10℃ 이상으로 상승하는 3월 이후부터는 달서천에서 금호강으로 서식처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금호강을 중심으로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서식 분포 파악을 통해 나일틸라피아 개체군 관리 및 담수어류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하천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thermal effluent stream (Dalseo Stream) from January to November 2019. The collected fish were identified as 4,247 individuals of 20 species from a total of eight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as O. niloticus with 1,306 individuals and a high relative abundance (30.75%). The water temperature of Dalseo Stream was maintained above 10℃ throughout the year, which means that O. niloticus could inhabit it even in winter. The length-weight analysis showed a regression coefficient b of 3.1496, and a condition factor (k) of 0.0025 with a positive slope. Comparing the water temperature of Dalseo Stream and the total length of O. niloticus per investigation period, the 0-age individuals appeared May 29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bove 22℃. In conclusion, the thermal effluent of Dalseo Stream allowed O. niloticus to survive in winter and maintain stable growth conditions and life cy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form ecological information on O. niloticus, which suggests that river management efforts should consider the management of O. niloticus popul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fish species diversity.

      • 원주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이동과 기온과의 관계

        박영욱 ( Yung Wook Park ),이황구 ( Hwang Goo Lee ),왕주현 ( Ju Hyun Wang ),최준길 ( Jun G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본 조사는 2015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매주 1회씩총23회에 걸쳐 원주천에 도래하는 조류의 이동을 조사하여 조류의 개체수의 증감과 기온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원주시는 동쪽으로 치악산(1,282 m), 남쪽으로 백운산(1,086 m)이 있어 1,000 m 이상의 산을 동남쪽으로 두고있는 도시이며, 원주천은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에 위치한 치악산에서 발원하여 영량천, 흥양천, 단계천, 화천, 신천등의 소하천이 합류되어 호저면 옥산리에서 섬강으로 유입되는 도시하천이다. 조사구간은 관설동 대평교에서 호저면주산교에 이르는 13.5 km 구간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원주천에서 관찰된 수조류는 36종 3,207개체였으며, 이 중 기러기목 오리과에서 15종 3,053개체로 가장 우세하게 차지하고 있었다. 원주천에 도래하는 수조류중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쇠오리(Anas crecca),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저74.4% (10차)에서 최고 92.6% (12차)에 이르며, 오리과 중에서는 최저 96.1% (20차)에서 최고 100% (3차, 7차, 9차)까지 이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가장 높은 개체수가 관찰된16차 조사에서 우점종인 흰뺨검둥오리는 1,739개체로 우점도는 최저 52.4%(17차), 최고 80.3%(1차)를 기록하였다. 조류의 개체수와 기온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일을 포함한 이전 7일의 기온을 사용하였다. 이전 7일기온 중 평균기온(7D/AT), 최고기온(7D/HT), 최저기온(7D/LT)을 비롯하여, 7일 최고기온의 상위3일의 평균기온(7D/H3A), 최저기온의 하위3일의 평균기온(7D/L3A), 조사일의 평균, 최고, 최저기온과 조류의 개체수를 비교하였다. 조류는 개체수가 많은 우점종과 아우점종으로 나타난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청둥오리 3종을 표본으로 하였다. 기온은 조사시기별 서서히 감소하다 16차조사시에 최저기온(-18℃)을 기록하였고, 같은 날 조류는 3,207개체로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하였다. 우점종과 아우점종인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청둥오리를 대상으로 상관관계분석(Pearson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P<0.0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상관계수는 r=-0.901, r=-0.861,r=-0.807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흰뺨검둥오리는 7D/AT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7D/H3A의 상관성이 높았다. 쇠오리는 7D/AT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7D/L3A의 상관성이 높았다. 청둥오리는 7D/AT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7D/L3A의 상관성이 높았다. 조사일로부터 서서히 기온이 하강하여 16차조사시의 최저기온을 기록할 때까지의 기온과 개체수의 추이를 분석한결과(1차∼16차), 흰뺨검둥오리가 기온과의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흰뺨검둥오리는 7D/H3A에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7D/HT의 상관성이 높았다. 쇠오리는 7D/AT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7D/H3A의 상관성이 높았다. 청둥오리는 7D/L3A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7D/AT의 상관성이 높았다. 따라서 기온의 하강과 도래하는 개체수의 상관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청둥오리는 기온의 하강에 따라 서서히 개체수가 증가한 쇠오리와 흰뺨검둥오리의 이동형태와는 달리 평균 기온이0℃ 이하로 내려간 12차조사에서 급격한 개체수의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 기온이 0℃에 가까운 18차조사(-0.7℃)시에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청둥오리 등 겨울철새들의 이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종들의 월동지로 이동하는 시기는 기온의 변화에 민감하지만 가능한 북쪽에 머물러 있으려는 성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둥오리는 평균 기온 0℃를 기준으로 급격한 도래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먹이원과 휴식처의 결빙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