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기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늑막하 병변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예비 보고

        이호준,이형식,허원주,이기남,최필조,Lee, Ho-Jun,Lee, Hyung-Sik,Hur, Won-Joo,Lee, Ki-Nam,Choi, Pill-J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4

        Purpose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mpact of subpleural lesions of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on the patterns of failure to support selection of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Methods and Materials : The study included 9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from Dec 1990 to Sep 1996. Twent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ostoperative mortality (four patients, 4.4$\%$) and stage III (21 patients). Of 66 patients, 22 patients were subpleural lesions (15 patients in stage I, and seven patients in stage II).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was given to seven patients with T2Nl disease.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9.5 months (range; 8-84 months). Results :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69.5$\%$ at 3 years. For all patients who presented with (22 patients) and without (44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5.5$\%$ and 84.6$\%$, respectively (p=0.0017). For stage 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5 patients) and without (29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3.1$\%$ and 92.3$\%$, respectively (p=0.001). For stage II patients who presented with (7 patients) and without (15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53.3$\%$ and 45.7$\%$, respectively (p=0.911). For patients with T2N0 disease (34 patients) who presented with (11 patients) and without (23 patients) subpleural lesions,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27.3$\%$ and 90.3$\%$, respectively (p=0.009). Conclusion :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subpleural les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rognostic factor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Especially for T2N0 disease, patients with subpleural les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out that. 목적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치료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 치료후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치료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2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동아대학병원에서 절제가능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 91명중 제 I병기와 제 II병기환자 6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66명중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22명이었으며, 제 I병기(T1N0, T2N0)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15명/44명(34.1$\%$)이었으며, 제 II병기(T1N1, T2Nl, T3No)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는 7명/22명(31.8$\%$)이었다. 수술후 보조요법으로서 전신 항암요법은 시행되지 않았고, 방사선치료는 7명에서 시행되었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8개월이며 최대추적관찰기간은 84개월이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33.2개월(중앙값; 29.5개월)이었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분석하였고, 서로간의 성적비교는 log-l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69.5$\%$였다. 전체환자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5.5$\%$와 84.6$\%$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7). 제 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33.1$\%$와 92.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제 II병기에서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53.3$\%$와 45.7$\%$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p=0.911). 제 I병기환자 44명중 원발종양의 크기가 3cm이상인 경우(T2, 34명)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3년 생존율은 각각 27.3$\%$와 90.3$\%$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9). 국소재발은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2명/15명(1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재발하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4명/29명(13.8$\%$), 제 II병기에서 2명/14명(14.3$\%$)에서 국소재발을 보였다. 원격전이는 늑막하병변이 있는 경우에는 제 I병기에서 5명/15명(33.3$\%$), 제 II병기에서 2명/7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고,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는 제 1병기에서 2명/29명(6.9$\%$), 제 II병기에서 4명/14명(28.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결론 : 초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늑막하병변의 유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임파선 전이가 없는 72병기의 경우 늑막하병변이 있으면 늑막하병변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생존율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 SCOPUSKCI등재

        한국 남성 불임환자에서 Y 염색체상의 AZF Gene에 대한 분석 및 DAZ Gene의 발현 양상

        이호준,이형송,송견지,변혜경,서주태,김종현,이유식,Lee, Ho-Joon,Lee, Hyoung-Song,Song, Gyun-Jee,Byun, Hye-Kyung,Seo, Ju-Tae,Kim, Jong-Hyun,Lee, You-Sik 대한생식의학회 199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4 No.1

        Cytogenetic observations of loss of the distal portion of the Y chromosome long arm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isrupted spermatogenesis. The existence of a gen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permatogenesis, the azoospermia factor (AZF), was postulated. In this study, we screened the AZF region including DAZ and DAZH genes and observed the expression pattern of DAZ and DAZH transcript in infertile men with azoospermia and oligospermia by using a sequence-tagged site (STS)-based PCR method. PCR primers were synthesized for 11 STSs that span Yq interval 6, SRY, DAZ, and DAZH, functional DAZ homologue on chromosome 3. Microdeletions were detected in 4/32 (12.5%) azoospermic men and 1/11 (9%) severe oligospermic men. Only 2 of 5 patients had microdeletions of Yq that contained the DAZ gene, whereas the other 3 patients had deletions extending from intervals 5L-6F proximal to the DAZ gene on Yq. Testis biopsies of the azoospermic patients revealed a variety from Sertoli cell-only syndrome to testicular maturation arrest. Of 4 men with clinical data available, average testis size was R: 13.8 cc, L: 13.8 cc, serum T was $4.0{\pm}1.25$ ng/ml, LH was $3.63{\pm}1.90$ mIU/ml, and FSH was $8.85{\pm}5.13$ mIU/ml. These 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remainder of the patients tested. We could not observed the DAZ transcript in 2 patients, who have no mature spermatozoa. In 11.6% of patients microdeletions of the AZF could be detected. These deletions in the AZF region seem to be involved causing spermatogenic failure. But the frequency of microdeletions proximal to DAZ suggests that DAZ is not the only gene associated with spermatogenic failure.

      • SCOPUSKCI등재

        Miscanthus sinensis 와 타 식물과의 친근성에 관한 연구

        정일구(Il Koo Lee),이호준(Ho Joon Lee),이경순(Kyung Soon Lee) 한국식물학회 1970 Journal of Plant Biology Vol.13 No.4

        Althought allelopathy has been cleary established for Pinus densiflora by Lee-Monsi, the auther suspected that Miscanthus sinensis which grows vigrously in such Korean pine forests might also exhibit the phenomenon. A total of 33 species having an affinity in the Miscanthus group were recorded in the field. Out of these, five species; Patrinia scabiosaefolia, Lespedeza crytobotrya. Oenothera odorata, Raphanus sativus var. acanthiformis, and Zoysia japonica were considered the A group. Five other species which have no affinity to Miscanthus sinensis, Amaranthus patulus, Solanum nigrum, Capsella bursa-pastorris var. triangularis, Chem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Alopeculus amurensis were considered the B group. Extracts of Miscanthus sinensis were applied to determine relative germination and growth. It was found the growth in the B group was promoted by a cold water extract of Miscanthus stems and leaves, but inhibited remarkably by an extract obtained by passing cold water through Miscanthus root. As expected, growth in the A group was promoted by both experimental treatments.

      • KCI등재
      • KCI등재

        다엽제한기 소조사면의 6 MV 광자선 출력선량계수

        이호준,최태진,오영기,전경수,이용희,김진희,김옥배,오세안,김성규,예지원,Lee, Ho Joon,Choi, Tae-Jin,Oh, Young Kee,Jeun, Kyung Soo,Lee, Yong Hee,Kim, Jin Hee,Kim, Ok Bae,Oh, Se An,Kim, Sung Kyu,Ye, Ji Woon 한국의학물리학회 2014 의학물리 Vol.25 No.1

        종양부위의 입체적이고 선택적인 치료가 가능해 임상표적부피(clinical target vlume, CTV)에 높은 선량으로 집중조사하고 부작용을 현저히 줄이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는 치료예후를 향상시키고 있다. 방사선세기조절 치료는 MLC의 개방면적과 개방시간으로 조사면내 플루언스를 조정하므로 소형조사면의 선량이 누적되어 원하는 선량이 조사하게 된다. 따라서 소형조사면과 계층형 조사면의 출력선량계수의 정확성은 곧 Portal MU 결정에 정확성을 더할 수 있고, 종양에 조사되는 선량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이 연구는 Clinac Ex (Varian) $3{\times}3cm^2$에서 $0.5{\times}0.5cm^2$까지 조사면을 선정하였고 방사선은 6 MVX선의 소형조사면의 출력선량계수를 평가하였다. 조사면은 다엽제한기를 $40{\times}40cm^2$로 개방하고 Collimator jaw를 이용한 것과 Collimator를 $10{\times}10cm^2$로 고정하고 다엽제한기에 의한 조사면으로 구분하여 출력선량계수가 결정되었다. 검출기는 유효체적이 $0.01cm^3$이고 내경 2 mm인 CC01 (Scanditronix-Wellope)이온전리함과 SFD 다이오드 검출기(0.6 mmØ, $500{\mu}m$ 두께, Scanditronix-Wellope)와 다이아몬드 검출기(T60003, PTW)와 X-Omat film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엽제한기 조사면의 출력선량계수는 $3{\times}3cm^2$에서 $0.899{\pm}0.0106$, $2{\times}2cm^2$에서 $0.855{\pm}0.0106$, $1{\times}1cm^2$에서 $0.764{\pm}0.0082$, $0.5{\times}0.5cm^2$에서 $0.602{\pm}0.0399$를 얻었다. Jaw를 $10{\times}10cm^2$로 고정하고 다엽제한기의 조사면의 출력계수는 MLC를 $40{\times}40cm^2$에 jaw에 의한 소형조사면의 것보다 최대 3.8%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세기조절방사선치료 TPS에는 collimator jaw 보다 다엽제한기 조사면 크기의 출력선량계수가 설정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The IMRT is proper implement to get high dose deliver to tumor as its shape and selective approach in radiation therapy. Since the IMRT is performed as modulated the radiation fluence by the MLC created the open shapes and its irradiation time, the dose of segment of radiation field effects on the cumulated portal dose. The accurate output factor of small and step shape of segmen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determination of deliver tumor dose as i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dose. This experiment performed with the 6 MV photon beam of Clinac Ex(Varian) from $3{\times}3cm^2$ to $0.5{\times}0.5cm^2$ small field size for collimator jaw in MLC free and/or for MLC open field in fixed collimator jaw $10{\times}10cm^2$ using the CC01 ion chamber, SFD diode, diamond detector and X-Omat film dosimetry. As results of normalized to the reference field of $10{\times}10cm^2$ of MLC, the output factor of $3{\times}3cm^2$ showed $0.899{\pm}0.0106$, $0.855{\pm}0.0106$ for $2{\times}2cm^2$, $0.764{\pm}0.0082$ for $1{\times}1cm^2$ and $0.602{\pm}0.0399$ for $0.5{\times}0.5cm^2$. The output factor of MLC open field has shown a maximum 3.8% higher than that of the collimator jaw open field.

      • KCI등재

        수전해용 Nd<sub>1.5</sub>Ba<sub>1.5</sub>CoFeMnO<sub>x</sub> 전기촉매 특성 분석

        이호준,조경원,류정호,Lee, Ho Jun,Cho, Kyungwon,Ryu, Jeong Ho 한국결정성장학회 2020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30 No.1

        고성능의 산소생성반응(OER)과 수소생성반응(HER) 전기촉매 개발은 수전해 시스템의 상용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HER에 비하여 OER이 상대적으로 높은 과전압을 가지기 때문에, OER의 과전압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triple perovskite 구조의 Nd<sub>1.5</sub>Ba<sub>1.5</sub>CoFeMnO<sub>x</sub> 전기촉매를 합성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Nd<sub>1.5</sub>Ba<sub>1.5</sub>CoFeMnO<sub>x</sub>는 OER 뿐만 아니라 HER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높은 결정성을 가지는 triple perovskite 구조가 간단한 연소 합성법(combustion synthetic method)을 통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알칼리 전해질 하에서 매우 우수한 촉매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높은 OER, HER 특성을 보이는 Nd<sub>1.5</sub>Ba<sub>1.5</sub>CoFeMnO<sub>x</sub> triple perovskite 촉매는 수전해 시스템의 상용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ing effective and earth-abundant electrocatalyst for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and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ER) is critical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 water splitting system. In particular, the overpotential of the O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R, and thus, it is considered that one of the important method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catalyst is to reduce the overpotential of the OER. In this work, we present a simple synthetic route for triple perovskite Nd<sub>1.5</sub>Ba<sub>1.5</sub>CoFeMnO<sub>x</sub> with high performance OER and HER activity. This triple perovskite structure which shows high crystallinity through combustion method shows superior bifunctional catalytic performance in alkaline media. We believe that the prepared triple provskite with high performance OER and HER activity can give further feasibilit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 water splitt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