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로잉 구동방식 응용 레저용 소형 패들보트 디자인

        이명진 ( Myungjin Lee ),이호숭 ( Hosoong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4

        육상에서의 이동과 달리 수상레저 시설이 들어선 입지적 환경은 교통약자의 입장에서 더욱 접근하기 어려운 조건이 대부분이다. 신체적 장애가 있거나 이동보조기기를 사용하는 교통약자들의 이동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시설환경과 적절한 수상레저 수단도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동기능능력의 제약 상 수상레저 활동의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통약자도 일반인과 함께 이용 가능한 레저용 소형 패들보트를 제안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대중적 수상레저수단인 오리배의 사용정황 관찰조사와 해외의 유관 상품에 대해 규격, 구동원리, 편의성 등을 조사하여, 선체의 기본제원 설정에 참조하였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입각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로잉보트의 추진원리를 적용한 독창적 구동전달 장치를 개발하였다. 구동전달 장치의 특징은 앞좌석 승원이 손과 발을 이용한 추진동작 실행에 있어서 신체적 처지와 편의에 따라 어느 한쪽만으로도 구동이 가능한 점이다. 또한 후방공간에 탑승하는 휠체어이용자도 앞좌석 승원과 함께 손과 팔 동작만으로도 보트 구동에 참여하는 즐거움을 부여하였다. Unlike overland travel facilities, water leisure facility location environment conditions mostly are inaccessible and unfavorable for mobility-impaired people. This is because leisure facility environments and appropriate water leisure facilities are not established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ity-impaired people, who are either physically disabled or use mobility aid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mall leisure paddle boat for mobility-impaired people who can hardly participate in water leisure activities. To that end, this study observed and surveyed the use situations of the existing popular water leisure mode, "duck boat"(pedal-driven duck-shaped boat), and surveyed similar overseas products to identity their standards, driving principles, convenience, etc. Thus the survey results were referred to in the basic specifications of the proposed boat body. Further,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an original power train was developed using the propelling principle of rowing boats. For its characteristics, the driving train can be driven only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ider's physical position and convenience when the front passenger performs propelling action, using his or her hands and feet. In addition, the wheel-chaired passenger in the rear space of the boat can have the pleasure of participating in driving the boat, using his or her hands and arms alone, together with the front passenger.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디자인을 위한 휴대전화기의 버튼 배열 표준화 제안 : 국내 3사(삼성 엘지 팬택) 휴대전화기 사례분석

        김미영(Kim Miyoung),이호숭(Lee Hosoong),정홍인(Cheng Ho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1

        휴대전화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전화의 사용자층은 다양해지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화기의 성능도 매우 발전하였다. 다양한 기능이 휴대전화기에 적용되면서 사용자가 익혀야할 기능들은 더욱 늘어났고 이로 인해 휴대전화기의 UI는 휴대전화기의 시장성에 있어서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디자인 측면뿐 만 아니라 실제로 시장에서의 판매를 위해서도 휴대전화기의 다양한 사용자층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현실은 제조사와 모델 별로 일관성 없이 디자인되는 휴대전화기 UI로 인해 사용자들은 기종을 변경할 때마다 새로운 전화기의 사용방법을 새롭게 익혀야만 하였으며 모바일 콘텐츠 개발사들은 기종별로 컨텐츠를 재가공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기 하드웨어 UI 디자인의 표준화를 제안하여 버튼 배열을 일관화 시키고 나아가서 버튼의 배열 표준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1)표준과 UI의 사용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2)휴대전화기 제조 3사(삼성 엘지 팬택)에서 출시된 3*4키(전화기의 기본 숫자 버튼과 * # 버튼) 인터페이스를 가진 사례를 추출하여 주요 기능버튼을 중심으로 버튼 레이아웃을 비교·분석하고 3)페이퍼 목업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실시하여 버튼 배열 관례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실험 결과는 휴대전화기의 버튼 배열의 표준안 제시를 위한 근거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버튼의 배치 방법은 버튼 배열 방법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휴대전화기의 표준화를 위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diverse and new high-performance mobile phones are rapidly introduced to the market and more various people are using the mobile phones. The latest mobile phones offer more functions which causes users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using their mobile phones and even learning the usage. Therefore user interface(UI) of the mobile phone is believed as a significant factor to succeed in the market. Universal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usability of the interface for the diverse users. The inconsistency in UIs among the devices make users learn the usage of their new mobile phones whenever they change the device and content providers develop several different programs for a single content. A direction for standardization of arrangement of mobile phone button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or the study 1)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tandardization and usability for mobile phone were reviewed 2)representative mobile phones with 3x4 (numbers * and #) button layout from three manufacturers (Samsung LG Pantech) were compared and 3)users selected proper positions of buttons by using paper mock-up prototype. A standard button layout of mobile phone is consequently suggested in the study and the proposed layout can be used as a guideline or reference for further studies and future standardization.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서의 지역정체성구축을 위한 지역자원분류체계개발에 관한 연구

        김미영(Kim, Miyoung),이호숭(Lee, Hosoo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3

        연구배경: 지역공공디자인 개발의 첫 단계인 지역정체성구축은 지역적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대표자원을 소재로 하기 때문에 지역자원을 정확히 분석 평가하여 대표적인 지역자원을 추출해야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에서 지역정체성 구축 시 지역자원을 체계적 종합적인 관점에서 조사할 수 있는 내용의 지표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자원 분류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자원분류체계의 기본구조 및 방향성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적 사례에 적용하여 분류체계의 객관성과 체계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지역자원 분류체계 시안을 전문가 평가를 통해 검증단계를 거쳐 최종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연구 사례분석으로 지역자원의 대분류군은 ‘역사, 예술 문화, 자연 환경, 산업 경제, 생활’ 5개로 도출되었다. 둘째, 실증적 사례연구로 대 중 소 세부의 4단계 분류방식을 채택하였다. 셋째, 전문가평가를 통한 지역자원 분류체계의 적합성 결과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자원분류체계는 지역자원의 실태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에서 지역정체성 구축을 위한 계획 수립 시 지역자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또한 다양한 전략 모색 및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Developing local space should efficiently utilize the original natural resources of local rather not rely on the huge capital investment. The building of local identity which is the first step of developing the local public design heavily depends on the representative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of local; hence the accurate analyzation and evaluation of the first local resources should be preceded. Moreover, systematic, comprehensive and rational classification method and criterion for right design are not adequately convey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ocal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n actively use for building the local identity for district’s public design and systematic comprehensive analyzation of local resource. Method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rimary system and direction of local resource classifica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applied the research outcome into practical cases and confirmed the systematic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earch methodology. Also, the research suggested the ultimate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expert evaluation of the regime of the local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 First, the researcher deducted from the case analysis the five hierarchical classifications of local resource as history, art&culture, natural&environment, and industry&economy, and living. Second, the researcher took the four level of the ranking method as, big class level, medium classification level, subclass, and subsection. Third, the compatibilit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ocal resources through the evaluation of experts of results, all classification turned out to the proper level. Conclusion: The researcher provided the local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utilize fo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nalyzation of local resources. This project provided the analytical basis that can actively u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identity design; It is highly expectable that the research outcome can utilize at the exploration of various design strateg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local resources.

      • 지하철역 방독면보관함 디자인 문제점에 관한 연구

        박성신(Park, Sungshin),이호숭(Lee, hoso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본 연구는 화재 시 인간의 피난행동특성에 근거한 피난자 행동 가상 시나리오를 통하여 현재 부산도시철도의 8개 환승구역에 대한 방독면보관함 설치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에 비중을 두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8개의 환승역을 호선별로 구분하여 각 승강장의 방독면보관함 위치를 평면도로 나타내 보았다. 방독면보관함은 거의 벽면에 밀착되어져있었으며 자판기, 벤치 등의 시설물과 근접된 곳도 많았다. 이는 주변설치환경으로 인해 비상시 방독면 사용의 방해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지하의 큰 기둥이나 돌출된 벽, 기타 광고물에 의해서 방독면보관함이 가려진 곳도 있었다. 향후 방독면보관함 설치가 예정된 지하역사와 설치가 완료된 지하역사에서는 방독면보관함 디자인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방독면보관함의 문구가 연기로 인한 시계혼탁이나 정전 시에 비상전기 공급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고 보관함을 벽면에 설치시키되 가려지기 쉬운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천정과 가까운 높이에 방독면보관함 사인보드를 부착할 것. 일반인뿐만이 아닌, 재해약자를 배려한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높이를 고려할 것. 가로 폭이 긴 1단구조의 벽걸이형이라면 피난시 이동과 동시에 방독면을 취득할 수 있음. 좁은 공간에서의 원활한 접근을 위해 보관함의 윗면이 사각형태가 아닌 이등변삼각형태로 하여 가장 긴 부분을 벽 쪽에 밀착시키면 방독면 획득 시 양쪽의 사선방향에서 접근이 가능. 승강장이 하나로 된 섬식 승강장의 경우에 두 대를 맞대면 4면 모두 방독면을 획득할 수 있는 사각형의 구조가 됨.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stallation status and problems of gasmask storage cabinets in transfer areas on Busan’s Metropolitan Railway Lines based on a virtual evacuation scenario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in case of fire and propose improvements to the storage cabinets. Most of the storage cabinets were placed close against the wall and there were passenger amenities such as vending machines and benches near them. Those installation conditions can be a major obstacle to using gasmasks in an emergency. Moreover, some places had gasmask storage cabinets obscured by large pillars, protruding walls or advertising sign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asmask cabinets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indicator words on them stick out even in the event of blurred vision due to smoke or of a power outage. With gasmask cabinets placed against the wall, the gasmask signboards should be attached close to the ceiling can be readily viewed from any direction even in obstructed conditions. The masks can be easily reached and worn by handicapped passengers in their wheelchair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People can evacuate and reach masks at the same time, if they are wall mounted types in a single layer with long width. If the top of the cabinet is not a square but a shape of an isosceles triangle, masks are obtained by pushing the largest part of the cabinet against the wall. Also, it can be possible to reach diagonally from both sides. In the case of island platforms, mask cabinets can be shaped to tetrahedral structure by pressing two cabinets together. Accordingly, masks can be reached easily on every side.

      • KCI등재후보

        생활가전제품 디자인을 위한 온라인 리뷰 분석의 효용성 연구 : 온라인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분석 활용

        최민영(Choi Minyoung),장혜진(Jang Kilseo),이호숭(Lee Hosoong),최민영(Choi Mi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인터넷의 활성화로 인한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소비자의 정보 탐색을 더욱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온라인상에서는 상품의 판매와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소비자들은 구매 상품에 대한 리뷰 작성을 통해 기업과 다른 소비자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구매자가 많아질수록 작성된 리뷰의 수는 증가할 것이며 고객 리뷰는 제품에 대한 정보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상의 리뷰를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한 후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하고 PPP에 적용하여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구매자의 경험이 반영된 고객 리뷰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판매율이 높은 8가지 생활가전제품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고객 리뷰를 분석하여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정의하였으며 객관적인 방법론으로서의 효율성을 고찰하였다. 온라인 고객 리뷰 분석은 제품의 사용성 환경 안전 인지 청결 오류 등 다수의 항목에서 유용하였으며 체계적인 디자인 분석방법으로서 연구가 예측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aused by internet vitalization becomes an opportunity to change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to be more active and aggressive. At present sale and purchase of products are active online and consumers make a strong effect on companies and other consumers by writing reviews for the products they purchased. The more purchasers are online the more the number of reviews written will be. And customer reviews can be classified by typ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product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reviews of online through the opinion mining draw needs of users and suggest design guideline by applying to PPP. In other words it intends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8 home electronics whose rate of sales is high online through the customer reviews reflected by purchasers' experiences and compensate the defects by grasping users' tendency. This study defined design guideline systematically by analyzing customer review provided by online shopping mall and intends to consider its utility as an objective methodology. Online Customer Review Analysis is valid as an effective method for various deign factors of usability environment cognition cleaning safe and error and is expected to study as systematical design-analysis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