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一般論文 : 새만금 지역에서 艮齋田愚의 국혼고취와 도덕적 본성 강조

        이형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5 No.-

        한 인물이 한 세상을 어떻게 살아왔는지 면밀하게 살펴보기는 그리 쉽지 않다.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까지 활약한 간재(艮齋) 전우(田愚) 역시 그러하다. 전우는 낙론(洛論) 계열의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 나아가 유학사상을 익히며, 중국 송나라의 주희(朱熹)의 학문, 그리고 이이(李珥)와 송시열(宋時烈)의 학문을 탐구하였다. 특히 전우는 스승이 가는 곳이라면 반드시 그곳으로 옮겨 학문을 탐구하였다. 본 글은 새만금에 대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소스를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 이 지역에서 15년 동안 민족정신과 항일운동을 전개한 전우의 삶과 강학활동을 간략히 기술한 것이다. 전우는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의 국권침탈을 목도한 뒤로는 육지에서의 활약이 무의미함을 알고서해의 고도(孤島)로 들어가 15년 동안 후학들에게 유학의 도를 전하며 국혼을 불러일으켰다. 그가 왕래하였던 섬은 왕등도(旺嶝島)·고군산(古群山)의 신시도(新時島)·계화도(界火島) 등이다. 전우는 계화도로 옮긴이후, 그곳에서 줄곧 후학을 양성하고 국혼을 고취시키며 성리학에 관한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성리학의 재연을 도모하면서 선배 학자들의심(心)을 중시하는 성리사상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비판하며 성을 중시하는 사상을 전개하였다. 본 글은 전우가 처음 해도로 들어가는 과정과 그 해도에서의 국혼고취를 살펴보고, 그 다음 해도에서 성리설을 강학하며 ‘심(心)을 리(理)로 여기는 학설’을 비판한 측면, 즉 성과 심의 관계에서 ‘심은 성에 근본한다’, ‘성은 스승이고 심은 제자이다’, ‘성은 높고 심은 낮다’는 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주장은 도덕적 본성을 구심점으로 하여 심과 감정의 유기적 관계를 체계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결론에서는 왕등도로 들어가는 일화, 그리고 제자들의 학문적 열의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田愚於新萬金地域展開了十五年間的民族精神和抗日運動?對後學進行了儒學的道的講學. 本論文, 針對新萬金的口話(Storytelling), 對田愚於新萬金地域所進行的活動進行了考察.田愚於洛論系的任憲晦之門學習了儒學思想, ?探究了宋朱熹以及朝鮮李珥和宋時烈學問. 于壹九零五年, 他目睹了日本對國權的侵奪之後, 認識到在陸地上的活動已無意義, 與此同時便入西海的孤島, 十五年間, 他往來于旺嶝島·古群山的新時島·界火島等. 向後學傳授了儒學的道?鼓動了國魂. 他最終到達了界火島, 在那裏對後學也繼續進行了民族意識的鼓動, ?完成了大量的關於性理學的著述. 特別是他對性理學的再演, 更是緻密地分析和批判了先輩學者重視心的性理思想, 從而展開了自身重視性的性理思想.本論文首先考察了田愚初入海島的過程以及在海島上對國魂的鼓動, 其次考察了其敍述的性理說講學和認心爲理的批判學說. 針對性和心之間的關系,繼而考察了他主張的‘心本性’·``性師心弟’·``性尊心卑’之說. 通過這洋的主張讓我們認知到以道德的本性爲求心點從而形成的心和情的體系化. 結論中間略地紹介了田愚入旺嶝島時的逸話以及弟子們對學問的熱情.

      • KCI등재

        修養論的 側面에서 寒洲思想의 心 考察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본 논문은 경북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하여 조선 6대가 또는 근대 3대가로 일컬어진 이진상(李震相)의 성리철학 가운데 심(心)의 수양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심은 성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 그것은 성(性)정(情)과 연관관계를 맺으면서도 리(理)와 기(氣)의 기본개념을 통해 철학적으로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대상이다. 이진상은 성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심을 理와 氣로 논의할 때 논쟁의 여지가 있기에 심의 의미를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본체(本體)’‘형체(形體)’‘묘용(妙用)’‘객용(客用)’으로 분류한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형체에서 객용으로 나아가는 심의 감각적 작용은 마음의 본체와 묘용이라는 본래성을 잃어버리게 한다. 그리하여 그는 ‘경(敬)’과 ‘직(直)’을 통해 심의 주재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심에서 ‘경’ 공부는 존양(存養)과 성찰(省察)을 통해 구축하고자 한다. 존양은 마음의 미발상태에서 본성을 전일하게 하는 내면적 수양이고, 성찰은 마음의 이발상태에서 감정이 본성대로 발현하도록 하는 외면적 수양이라 할 수 있다. 경을 가지고 한 마음의 미발상태와 이발상태를 주재하게 되면 자연히 심에서 사욕(邪欲)이 제거되고 천리가 분명하게 된다. 경과 심의 상응적 주재성은 한 몸이 감각적 욕망으로 빠지는 것을 통제하여, 인간의 본성이 온전히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이진상에 의하면 ‘경’을 통해 심이 리와 일치할 때, 심은 그 내직성(內直性)을 드러낸다. 직(直)에는 내적 직심(直心)과 외적 직도(直道)가 있는 바, 직심은 내면에 사사로움이 없는 상태이고 직도는 사사로움이 없는 직심이 밖으로 그대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직심이 직도로 표출하도록 하는 방법은 학문을 좋아하여 그 폐단을 제거하고 예를 밝혀 중도(中道)에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직도는 고원한 것에서 찾는 것이 아니고, 일상 생활에서 진리를 구하는 것이다. ‘경(敬)’‘예(禮)’‘학(學)’의 유기적 연관을 통하여 직도가 확립되는 것이다. 내면적 직심을 통해 외면적 직도의 발현은 인간의 실존적 존재가 될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즉 그의 심의 주재적 수양은 형체에서 드러나는 객기적(客氣的) 작용을 ‘경’으로 조절시켜 몸이 감각적 욕망으로 빠지지 않도록 통제하고 나아가 ‘직’을 통해 인간의 순수한 본성이 구현하도록 하는데 있었을 것이다. A Study on Cultivation of Sim in Neo-Confucian Philosophy of Lee, Jin-sang / Lee, Hyung­Sung

      • KCI등재

        16세기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 및 논변 고찰 ― 金麟厚⋅李恒⋅盧守愼과 교류한 奇大升의 학문을 중심으로 ―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Before and after the 16th century, the Sahrim in Honam opened to the practical moral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and welcomed the heyday of their scholarship. Especially the newly appointed Jeolla-province governors or the exile of scholars who had a moral influence even boosted the spirit of Confucianism. Daeseung Ki succeeded to the family-run scholarship, studied Neo-Confucianism and prepared for the state examination. His passion for Neo-Confucianism later became the beginning of completing 『Jujamunrok』(朱子文錄: a series of books he compiled by excerpting from 『Jujadaejeon』, a collection of works of Zhu Xi, a Song Dynasty Confucian scholar). Based on this, he academically interchanged and debated with Hang Yi, Inhu Kim, Hwang Yi, Sushin Noh, etc. and established his own system of Yikishimsungron(理氣心性論: a theory that philosophically explains about the mind of people linked with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changes and arguments that Daeseung Ki had with Inhu Kim, Hang Yi, Sushin Noh, etc. He made a few visits with Inhu Kim and Hang Yi, yet, with Taegeuk Argument, his academic exchange and argument began. Though he was arguing about the ‘relation between taegeuk and yin and yang’ with Hang Yi for the first time, the debate became intensified through the academic exchange with Inhu Kim. Moreover, Daeseung Ki informed Hwang Yi who was discussing over Sahdanchiljung(四端七情: four Confucian human nature and seven human emotions) of this argument and tried to clarify the point of it. Later, he, with Sushin Noh, argued about Inshimdohshim(人心道心: a theory about the ambilaterality of the mind) which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Hang Yi and Sushin Noh’s debate earlier. Daeseung Ki’s such successive academic exchanges and arguments were a profound philosophical reflection toward Confucianism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enhance it in the Joseon Dynasty. Daeseung Ki’s theories were handed down to the younger scholars. His literary men, facing the national crisis, strived to overcome the situation and promote the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e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by raising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descendants, as well, succeeded to his scholarship and started ‘Wijungchuksa Movement’ and showed such heroic spirit as they were facing their nation in crisis. His scholarship and spirit, in particular, went beyond the regional boundary but were succeeded as an academic range called Kihohak(畿湖學) and helped the younger scholars to move toward the world view of Neo-Confucianism. 16세기 전후로 조선은 사화가 일어나 정치적으로 불안하였다. 사화로 인하여 향촌사회로 귀향한 호남의 사림은 도학을 실천하고 성리사상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학문을 발전시켰다. 특히 전라도관찰사들의 부임, 또는 덕망있는 학자들의 유배는 유학의 정신을 더 고양시켰다. 기대승은 과거를 준비하면서 주자학을 탐구하였다. 그의 주자학에 대한 열정은 『朱子文錄』을 완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기초로 李恒⋅金麟厚⋅李滉⋅盧守愼 등과 학문적으로 교류하고 논변하면서 자신의 理氣心性論에 대한 체계를 확립하였다. 본 글은 기대승이 김인후⋅이항⋅노수신 등과 교류하고 논변한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대승은 김인후⋅이항과 찾아간 적이 있었으나 태극논쟁을 시작으로 학문 교류 및 논변이 본격화되었다. 그가 처음으로 이항과 ‘태극⋅음양의 관계’를 논쟁하면서도 김인후와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그 논변이 심화되었다. 더욱이 기대승은 이 논쟁을 당시 四端七情에 대해 논변하던 이황에게도 알려 그 논지를 명확하게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후 기대승은 노수신과 人心道心에 대해 논쟁하였는데 이 논쟁은 일찍이 김인후⋅이항이 노수신과 논쟁하던 것을 계속한 것이다. 기대승의 이러한 일련의 학문교류와 논쟁은 성리학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반성이자 조선 성리학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기대승의 이론은 후학들에게 계승되었다. 그의 문인들은 국난을 당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의병을 일으켜 輔國安民하고자 하였고, 조선말기 그의 후손들도 그의 학문을 계승하면서 국가가 위기를 당하자 이를 극복하고자 위청척사운동을 일으키고 義烈精神을 발휘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과 정신은 호남이라는 지역성을 벗어나 畿湖學이라는 학맥으로 계승되고 나아가 후학들이 주자학적 세계관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조선전기 전주지역 向義的 歷史意識 啓導와 節義精神 一攷— 檜軒 柳義孫과 遺逸齋 柳坋을 중심으로 —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Joseon Dynasty established policy of Neo-Confucianism at an early age. Sejong and scholar of Neo-Confucianism opened to realize the practical moral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They especially wished to injung(仁政) as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This paper is investigated into Hyangeuijek(向義的) academic attitude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Lyueuison, and Gangmyungeuili(講明義理) and Jikdo(直道) of Lyuboon. Lyueuison had a special feature to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studies. Sejong recognized his learning, and maked him write a preface to books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cal studies. If we analyzed his sentence structure, he expressed Hyangeuijek academic attitude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Such consciousness is that he just exposed his moral obligation and principle, realized social justice, and wished to set up national foundation. Lyuboon, Seaingjulsin(生節臣), pursued learning of Sugi(修己: cultivating his moral character) and chiin(治人: administering people). Forcibly expelled, he left Seoul to retire to Junju. He, while his whole life, aimed at spirit of ‘yooilbulil(遺逸不怨: being expelled and not doing have grudge against anything)’. Ever since, he did not take the state examination, did not get into recommended government offical, and devotedly adhered to his principle. On brushing up study of Confucianism in Yooiljae(遺逸齋), he educated disciples and adhered to his principle in Hyehaklu(惠學樓). His representative disciples were Lee Gyungdong(李瓊仝), Lee Gyemaeng(李繼孟), Lee Mok(李穆) and Na Anse(羅安世). 유학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학문의 목적으로 삼는다. 이는 내성외왕(內聖外王)을 지향하는 것이니, 향내적으로 도덕적 인격을 닦고(修己) 그 도덕성이 향외적으로 백성들을 점차 안정되게 다스리는(治人) 것이다. 조선은 일찍이 유학사상에 의한 정책을 전개하였다. 세종과 유신(儒臣)들은 성리학(性理學)에 기초하여 조선의 정치적 제반제도와 학술문화를 구축하여 유학의 정치적 이념인 ‘인정(仁政)’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조선전기 세종 때 활약한 류의손(柳義孫)의 관료적 삶과 저작을 통해 향의적(向義的) 학문자세와 역사의식을 다루고, 그의 제자 류분(柳坋)의 강명의리(講明義理)와 직도(直道)의 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류의손은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에 특장이 있어 세종은 그의 학문을 인정하여 역사서의 서문, 지도의 지문, 그리고 기타의 글을 짓도록 하였다. 그의 글을 살펴보면, 향의적 역사의식를 표출하였으니, 그것은 바로 도덕적 절의명분을 피력하여 선(善)을 권장하고 악(惡)을 징계하면서 사회정의를 실현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류분은 류의손의 향의적 학문과 역사의식을 철두철미하게 수지(守持)하다가, 수양대군의 계유정란을 목도한 이후에는 전주로 낙향하여 평생 ‘유일불원(遺逸不怨)’의 정신을 일관하며 오로지 절의를 지키고 직도(直道)를 지향하였다. 그는 유일재(遺逸齋)에서 학문을 연마하면서 혜학루(惠學樓)를 지어 후학양성에 전념하고 한 번도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그는 도량과 의기가 의연한 대장부의 기상으로 ‘수시적(隨時的) 직도(直道)’의 정신 즉 도학정신을 추구하였다. 전주지역 유생들은 그의 춘추의리적 정신을 기려 생절신(生節臣)으로 추앙하였다. 류의손과 류분에 대한 발굴 연구는 한국유학 도맥(道脈)의 또다른 연원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6세기 후반 朝鮮과 中國 지식인의 국제적 經學 論爭 탐구 – 『大學講語』에 나타난 經學 論爭을 중심으로 –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8 No.-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its succession in th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in the international debate amo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over Confucian classics study unfolded in the 16th century. There was a nationwide movement in Joseon to make sure that Neo-Confucianism would take firm root across the society and culture. Scholars who studied Confucian classics until 15th to mid-16th century made efforts to introduce and spread Confucian classics from a Neo-Confucianism perspective. Such efforts, as Neo-Confucianism evolved philosophically, led to a tendency of excluding other offshoots of studies. This explains why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was not accepted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the Imjin War, intellectuals from each Joseon and China preached Zhu Xi’s Daehakjanggu from different academic points of view. This fueled interests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Chines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clude Song Yingchang (philosopher of Wang Yangming and general); Korean intellectuals include Hwang Shin, You Mongin, and Lee Junggu. They were engaged in this preach for almost seven months, which left a book titled Daehakkangeo. Song facilitated academic diversity by discussing Daehak based o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justifying his move by mentioning that he intended to teach the philosophies of Chu Tzu amid national crisis. On the other hand, Joseon’s intellectuals advocated the philosophies of Chu Tzu from Chu Tzu’s perspective, and by doing so, they cemented grounds for Daehakjanggu. This international debate over Confucian classics study among intellectuals from Joseon and China is expected to be useful not only in tracing back to Neo-Confucian succession and philosophical transition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contributing to proper perspective, viewpoint, and balanced study of 16th century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classics study.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여 사회와 문화의 모든 분야에 뿌리내리도록 하였다. 많은 학자들은 유교 경전이 성리학의 관점에서 정착하도록 노력하였다. 학자들의 노력은 성리학이 철학적으로 심화되면서 타학문이 수용되지 않는 경향으로 나아갔다. 16세기 초 왕수인(王守仁)의 학문이 전래되었으나, 이황(李滉)의 비판으로 그 학문은 수용되지 못하였다. 임진왜란 때 구원병을 이끌고 온 중국 명나라 장수 송응창(宋應昌)이 조선의 학자들과 도학(道學)을 강론하고자 하였다. 조선은 당시 황신(黃愼)⋅유몽인(柳夢寅⋅이정구(李廷龜) 등을 파견하여 강론하도록 하였다. 두 나라의 지식인들은 주희의 『대학장구』를 서로 다른 학문적 관점에서 강론하였다. 이들이 강론한 기간은 7개월 정도인데, 당시의 자료가 『대학강어(大學講語)』이다. 송응창은 국난 중에 도학을 강론한다는 명분으로 『대학』을 양명학의 관점에서 논하며 학문의 다양성을 획책하였다. 하지만 조선의 지식인은 주자학의 관점에서 도학을 내세우며 『대학장구』 체제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16세기 조선과 중국 지식인이 경학(經學)에 대한 국제적 논쟁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과 중국 지식인의 국제적 경학 논쟁에 대한 연구는 조선의 성리학적 계승과 철학적 변화 양상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16세기 성리학과 경학에 대한 올바른 관점과 시각, 그리고 균형적 연구 토대를 마련하도록 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奇正鎭의 고창지역 門人과 遺物遺蹟에 대한 一攷

        이형성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79

        Gi Jeong-jin(奇正鎭) devoted himself to studies in Jangseong, Jeolla Province in late Joseon and fostered younger scholars. He spent the summer at Namam(Buddhist hermitage), Munsusa Temple in Gochang(高敞) bordering Jangseong, practicing his studies and going sightseeing at Seonunsa Temple as well. At the age of 46, he drafted Napryangsaeui(納凉私議) at Namam and also made it into a poem, ruminating over Neo-Confucianism of former scholars. Scholars in Gochang region wer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spired by his studies and sought learning under him. According to a research to inspect disciples in Gochang region, their number was as many as 121 disciples. Among them, 28 were to train younger students, write books or explore antiquities and relics, etc. Academically affected by their master, they tried to pursue studies while intellectually interacting in their regional community in order for actively responding to influences of the West and of the Japanese. In the pursuit of his study, Gi Jeong-jin visited historic sites and pavilions in Gochang region, writing poetry and documentary literatures. His viewpoint of munyijaedo(文以載道, which means literature is a means to deliver the truth) to seek the truth is within his poetry. In conclusion, Napryangsaeui written in Gochang served as a foundation to make Gi Jeongjin praised as the last Neo-Confucian master of Joseon. His Neo-Confucian idea did not remain a theory but did observe loyalty of Chunqiu spirit(春秋義理) at times of crisis, which left not a few scholars behind. The scholars in Gochang region accepted their teacher’s ideas and pursued anti-Japanese movement for which Gochang is currently called home of righteousness(義鄕).

      • KCI등재

        한국유학 변천에서 보이는 선비의 현실 대응 양상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Accepting Chinese characters, we have been using them as words with proper meaning for our language. After Hangeul, Korean alphabet, was invented, pronunciation and meaning(音訓) of Chinese character came to be written with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 has reached to generalization. The word ‘Seonbi (Confucian scholar)’ we use is presented with Chinese characters of ‘士’⋅‘儒’⋅‘彦.’ As the meaning of these Chinese characters has been passed down from ancient times, Hangeul would be written as ‘선비(Seonbi)’. Looking into words related to these three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nfucian scholars. Seonbi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generally tended to be well versed in scriptures based on manners of Confucian scholar in Chinese Tang Dynasty; well acquainted with history and; aspire after their high honors through poetry or writing. As Chengzhu Neo-Confucianism(程朱性理學) was accepted in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the word Seonbi did not merely mean one who sought one's success but one regarded as existence with the primacy of the country. When Neo-Confucianism became universal, Seonbi was a main agent who guided public opinion and fulfilled one’s duties with thoroughness to Neo-Confucianist ideology. Especially when the country was in difficulty, Seonbi was categoriz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ir responses to reality to overcome the difficulty. However, they all similarly exhibited true Seonbi spirit through Neo-Confucianist Theory of Justice(義理論). Presenting various types of Seonbi active in different times, this study is to help to recognize the cultural identity and spiritual values of the nation and their sense of reality. 우리는 한자를 받아들이면서 우리 언어와 그 의미에 알맞은 어휘로 한자를 사용하며 글을 지었다. 처음에는 중국과 문화적 교류를 위해 사용하다가, 차츰 일상생활 속에서 각종 문서를 작성하고 역사를 기록하였으며 문학작품도 창작하였다. 이러한 일을 담당한 사람을 보통 선비라고 한다. 선비의 낱글자를 거론하면, ‘士’⋅‘儒’⋅‘彦’ 등이다. 본 글은 유학의 수용과 변천과정에서 선비의 역할 즉 현실 대응을 고찰한 것이다. 삼국과 고려시대의 ‘선비’는 중국의 당나라 선비풍에 따라 ‘경전에 통달하고 역사에 밝을 것[通經明史]’을, 또 한편으로는 ‘시나 문장에 능할 것[詞章]’을 기대하며 자기의 영달을 꾀하는 경향이 많았다. 여말선초 정주성리학이 수용된 이래, 선비의 의미는 단순히 출세를 위한 선비가 아니라 바로 나라의 으뜸이 되는 존재로 거듭났다. 더욱이 조선 시대 성리학이 보편화되었을 때에는 성리학적 유학 이념에 철저하면서도 공론(公論)을 이끌며 자신의 소임을 다하는 주체였다. 특히 국난을 당하였을 때, 선비들이 그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현실적 대응의 면에서는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어 선비의 유형이 달라졌다. 하지만 모두 의리를 통해 참다운 선비정신을 발휘한 점은 유사하였다. 본 논문은 ‘유학 이념에 뿌리한 선비관 구축’, ‘성리학 정초와 수립에서의 선비상’, ‘선비의 국난극복과 이용후생적(利用厚生的) 삶 도모’, ‘왜양세력(倭洋勢力)에 대한 선비의 대응 양상’ 등이다. 이러한 내용 전개는 선비들의 유형을 통해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과 정신적 가치, 그리고 그들의 현실의식을 엿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Hwang Yoon Seok enjoyed his days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He succeeded Nak-Hak to form his Neo-Confucianism. In his Theory of Ri-Gi (理氣: Principle and Energy), he added Jil (質: Nature and Quality) to look for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m. He tended to focus more on studying So-Yi-Yeon (所以然: Principle of the Nature) in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Ri and Gi. He, however, argued that such Ri could not be expressed without Gi. Accepting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formed by Kim Chang Heup, the great master of Nak-Hak, into his Theory of Ri-Gi, he sought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Seeking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he supported the Theory of Homogeneity argued by Nak-Hak: 'Great men are as same as ordinary people in genuine mind' and 'Men are as same as animals in nature'. Based on such argument of Smart Nature that great men and ordinary people should be same in genuine mind, he tried to study the basis and essence of things, which pointed straightly to Gyeok-Mul-Chi-Ji (格物致知: To be clearly enlightened of knowledge and get more knowledgeabl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things). Studying Gyeok-Mul-Chi-Ji by Smart Nature of mind is to be toward subjective sense of purpose and with the spirit of erudition. His spirit of erudition went to the learning tendency of studying new Chinese learning and culture and furthermore the western learning. 조선의 영⋅정조 시대는 사회⋅경제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문예도 발전하였다. 학계는 만물의 본성과 성범(聖凡)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심층 분석도 있었고, 또한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학문과 문물 그리고 서학(西學)이 들어오면서 실질적 학문을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은 낙하(洛學)을 계승하며 성리학을 구축하였다. 그는 리기론에서 ‘리(理)’와 ‘기(氣)’에 다시 ‘질(質)’을 더하면서 상호 유기적 관계를 모색하였다. ‘질’은 ‘기’에 포함되지만, 사물의 구체성을 설명할 때 원용하곤 하였다. 리기 유기적 관계 속에서 ‘소이연의 리’를 탐구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그 ‘리’는 항상 ‘기’를 타고 발현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리기론에서 낙학의 거목 김창흡(金昌翕)의 성리설을 많이 수용하면서 리의 본연적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황윤석은 리의 본연적 동일성 추구를 통해 심성론에서 ‘성인이나 범인의 본심은 같다[聖凡本心同]’와 ‘사람과 동물의 본성은 같다[人物性同]’는 낙학의 동론을 지지하였다. 다만 범인은 인욕이나 기품에 의해 그 명덕이 엄폐되었으나 기질변화를 통해 그 본심의 영명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성인과 같다는 것이다. 특히 본심의 영명성은 사물의 근거와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로 연결된다. 그의 격물치지는 도덕적 당위성으로써의 윤리도 내포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학문에서 우리의 실생활에 유용한 것을 추구하려는 박학(博學)을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심의 영명성에 의한 격물치지 공부는 주체적 목적의식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면서도 박학정신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