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광수의 『사랑의 다각형』 재고(再考)-신문연재본과 단행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행미 ( Lee Haeng-m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이 글은 이광수의 『군상』 3부작 중 2부인 『사랑의 다각형』을 대개 통속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던 기존 연구의 관점과는 다른 각도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의 출발점은 이 소설의 단행본이 작가가 1930년 연재했던 당시의 신문연재본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비롯되었다. 신문연재본과 단행본을 비교해 본 결과, 식민지 검열의 영향으로 텍스트의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제 말기 출간된 단행본은 어휘와 문장 수준의 변형을 넘어 내용이 대폭 누락됨으로써 이 작품을 다른 각도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당 부분 사라지게 한다. 단행본에 누락되어 있는 신문연재본의 내용에는 안창호와 그의 사상을 상기하거나 그에 공명하는 작자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는 1930년 이광수가 가지고 있던 조선 독립운동의 방향을 살펴보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랑의 다각형』은 이후 창작된 『흙』과 연결하여 그 의미를 들여다볼 수 있다. 신문연재본을 통해 확인된 이러한 부분은 『사랑의 다각형』에 제시된 애정 서사를 다른 방향으로 좀 더 풍부하게 해석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텍스트의 비교 검토를 통해 식민지 시기 텍스트를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판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하느냐는 문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Lee’s Polygon of Love, which is part of the The Group(群像[gun-sang]) of Lee’s novel,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mostly examined the popularity. The starting point of this problem consciousness came from affirming that the book of this novel is quite different from the newspaper series of the author’s series in 1930. As a result of comparing newspaper serial and book, it is confirmed that the text is modified and trans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ensorship. In particular, the book published in last-stage of Japanese Colonial Era is largely missing the content beyond the vocabulary and sentence level, so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novel from a different angle disappears considerably. The contents of the newspaper series, which are missing from the book, clearly show the author who reminds or supports Ahn Chang-ho and his ideas. This allows us to look into the direction of Lee Kwang-su’s independence movement in 1930, and connects Polygon of Love with The Soil to look into its meaning. This give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e love narrative presented in Polygon of Love in a different direction. In addition, the comparative review of these texts confirmed that the issue of which edition should be targeted for proper understanding of colonial texts was important.

      • KCI등재

        부활과 혁명의 문학으로서의 ‘시’의 힘-최인훈의 연작소설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이행미 ( Lee Haeng-m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이 논문은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 하여 최인훈 문학에 나타나는 ‘시’와 ‘시인’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과정에서 문학에서 현실을 재현하는 문제에 대한 작가 인식을 규명할 것이다. 최인훈은 방법론적 ‘환상’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문학적 해결을 시도했던 작가이다. 작가의 상상력을 매개로 현실에서 일어나진 않았으나 가능할 수 있는 바람직한 ‘무엇’을 재현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더 나은 세계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학에 대한 이해의 기저에는 근대 이전에 존재했던 예술의 시원(始原)이라 할 수 있는 ‘시’에 대한 탐구가 자리한다. 고대 문학에 속하는 ‘시’는 공동체를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끔 하는 구성원 집단의 삶에 대한 갈망을 재현해 낸다. 이러한 집단화된 정서의 표현은 현실의 변화를 이끄는 행동과 연결되며, 그런 점에서 말과 힘이 분리되지 않는 문학의 형태이다. 최인훈은 이러한 ‘시’의 속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환기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에도 현실을 변혁시키고자 하는 열망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다. 이처럼 공동체를 더 나은 삶으로 바뀌어 나가게끔 하는 ‘시’의 속성은 최인훈 문학의 본질적인 면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 문학에 대한 탐구를 통해 정초된 최인훈의 문학 세계는 동시대 한국 문학의 환경 속에서 배태된 것이기도 하다. 최인훈은 서구에서 유입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변용을 거치지 않고서 한국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여기는 당대 문단의 흐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였다. 한국적 풍속에 뿌리내리지 못한 관념은 그에게 있어 ‘풍문’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러한 성찰 아래 최인훈은 감각적 현실을 ‘자기’의 시각을 통해 살펴보고, 시대가 요구하는 ‘실재(實在)’를 그려내는 것이야말로 작가의 역할이며, 진정한 리얼리즘의 창작 태도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런데 작가의 상상력이 재구성되는 차원 따라 현실을 재현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최인훈의 문학은 현실과 유사한 세계를 그려야 한다는 부담에서 벗어나 점차 상상력의 무한한 확장을 통해 주어진 세계와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문학적 재현을 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 ‘차이’는 현실을 초월한 시대적 진실을 관념적 차원에서 제시하며, 현실을 바람직한 모습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제안으로 요청된 것이다. 최인훈 문학의 형식적 실험은 보편적 가치가 구현된 세계를 형상화하려는 작가의 의지와 맞물려 나타났다. 이와 같은 최인훈의 문학에 대한 이해는 ‘시’문학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전개되었고, 연작소설 「총독의 소리」는 이를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이라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oi In-Hun’s recognition of ‘Poetry’ and ‘Poet(Dichter)’ shown in the series of Chong-Dok-Ye-So-Ri(The Voice of a Governor).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his paper examines Choi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Choi tried literary representation about the problem of reality through fantasy. Choi makes a reproduction of a better world by the media of imagination. This world is impossible here, however, it is the most universal and ideal world. In background of Choi’s view, there is seeking for the ‘Poetry’ which is the origins of art existed in pre-modern. In this respect, ‘Poetry’ is an expression of the desire to lead the community in a better way by reproducing the collective emotions. In this literature, ‘a word’ and ‘a power’ are not separate. Furthermore, a lot of people have shared values about the community, and they have faith in potential possibility into the world through the imagination. That is what Choi seeks the power of poetry. On the one hand, Choi In-hun’s literature also is forme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Choi criticized for strict application of the rules of socialist realism on Korea literature. Choi puts in more value on the role of the author to reveal the ‘Reality(實在)’ by observing the perceptible world. Choi think that this is a real sense of realism. In this respect, the vision of author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representation. Choi had a burden of representation similar to the reality. Here, it is increasingly accepted ‘difference’ that appears the representation of the given world through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The difference’ is obtained a universal truth by presenting the transcends verity in contemporary at conceptual level. Thus Choi In-hun’s recognition of ‘Poetry’ and ‘Poet(Dichter)’ have a decisive effect on Choi’s 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코로나 이후의 소설과 혐오의 임계

        이행미(Lee, Haeng-mi)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2

        이 글은 동시대 한국소설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혐오가 한국 사회에서 어떠한 양상과 의미로 나타났는지를 묘파하면서 이를 문제적으로 재현하고자 했던 면모를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는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던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의 의미를 다시 확인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나타난 혐오의 특수한 지점들을 좀 더 섬세하게 들여다보는 시도이기도 하다. 너스바움의 혐오(disgust) 개념을 참고하여, 코로나 시대에 부각된 혐오 문제가 가장 극적으로 표출되었던 2020년 초의 시간에 제기된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 소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코로나19와 관련된 혐오 문제는 주로 여성혐오와 퀴어혐오 문제로 형상화되었다. 이들에 대한 혐오는 코로나19로 인해 균질화된 공간과 미래를 상상할 수 없는 정체된 시간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는 타자화된 존재가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질문을 공통적으로 하면서도, 사회 속에서 이들에게 부여되는 정체성과 그에 따라 기대되는 역할, 그것과 실제 정체성의 간극 등이 상이하게 나타남에 따라 혐오 양상과 그 의미는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 사회의 혐오 문제의 해결에 대한 모색이 나타나는 소설도 함께 다루었다. 혐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취약한 존재임을 인정하고, 공감과 연민을 넘어 타인을 마주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소설들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시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삶의 가치와 의미들을 고찰해 본다는 점에서 현실에 대한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재현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temporary Korean novels that attempted to reproduce this problematicly while debunking the aspects and meanings of disgust caused by Corona 19 in Korean society. This does not stop at reconfirming the meaning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that have existed historically, but is also an attempt to take a more delicate look at the special points of disgust caused by the COVID-19 crisis. Referring to Nursbaum"s concept of disgust, we focused on novels dealing with issues raised in early 2020, when the issue of hate highlighted in the Corona era was most dramatically expressed. This article focused on novels dealing with issues raised in early 2020, when the issue of disgust highlighted in the Corona era was most dramatically expressed, referring to Nursbaum"s concept of disgust. The disgust issue that emerged as a result of Corona 19 in Korean society was mainly embodied as misogyny and disgust about que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homogenized space and stagnant time in which the future cannot be imagined due to COVID-19. While the common question about the space where otherized beings who are not guaranteed security can stand, the identity given to them in society, their expected role, and the gap between it and their actual identity appear different. The pattern of disgust and its meaning were different. It also deals with novels that show the search for solutions to the hate problem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disgust, we were able to acknowledge that we are all vulnerable and examine the problem awareness that we need a way to face others beyond empathy and compassion. These novels show an aspect of political and ethical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that they examine the values and meanings of life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Corona era that is still continuing.

      • KCI등재

        이광수의 『재생』에 나타난 식민지 가족법의 모순과 이상적 가정의 모색

        이행미(Lee, Haeng-mi)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0

        이 논문은 이광수의 『재생』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에 정착된 가족법의 구속에서 ‘이상적 가정’은 어떠한 형태로 가능할지 비판적으로 검토했던 작가의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0년대 초중반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이 소설은, 이 무렵 개정된 가족 관계를 다루는 민법 조항의 개정으로 생겨난 사회 문제들을 핍진하게 다루고 있다. 이 시기 가정 개혁의 문제는 일부일처제가 법적으로 정당화되면서 ‘첩’의 존재로 그 시선이 모아졌는데, 『재생』의 주동인물인 김순영은 첩이라는 사회적 낙인이 찍힌 삶의 굴곡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의 비참한 삶의 국면들은 남성의 축첩을 사회적으로 용인하고 양산하는 법률의 모순적 조항과 연계되어 그려진다. 이와 같은 형상화는 이상적 가정을 깨뜨리는 주범을 첩 개인의 문제로 수렴했던 당대 담론의 주된 경향과 대조적으로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직접적으로 명시되고 있진 않지만 이와 같은 법률을 조선 사회에 뿌리내리게 한 일본 제국을 향한 문제제기를 함축한다고 할 수 있다. 이광수에게 있어 전통적인 가족 및 혼인제도의 개혁은 근대사회로 진입하는데 있어 중요한 과제였다. 그에게 있어 가족은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집단으로, 반드시 문명적인 방향으로 개조되어야 했다. 하지만 근대적 가족을 이루는 필수적인 조건으로 여겨진 법적 승인의 문제는 식민지 조선의 현실에서 파행적으로 나타났다. 합리적인 근대 문명의 상징과 같은 법률의 이면에는 가부장제와 여성 억압을 조장하는 모순적인 조문들이 존재했고, 권력과 지식을 소유한 남성지식인들에 의해 악용되기도 했다. 『재생』은 혼인과 이혼의 문제가 환기하는 부당한 법률의 문제를 여러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그려낸다. 나아가 사회적 법망을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구상했던 작가의 사유를 담아내고 있다. 그 가족은 혼인에 기초한 부부관계로 시작되지 않으며, 신념과 생활을 나누는 일종의 생활공동체의 모습을 띤다. 법적 제도에 의해 왜곡될 수밖에 없는 근대적 가족 개념의 대안으로 모색된 것이다. 그러나 ‘첩’이었던 순영이 새로운 가족의 구성원이 될 수 없다는 결말은 그를 구속하는 실정법의 위력을 강조하는 동시에 남성작가로서의 이광수의 무의식이 반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Yi Kwang-su’s recognition of "ideal home" shown in Yi Kwang-su’s Jaesaeng. Yi was critically review how the family can be the ideal form of family law as it existed in the confines of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society. Jaesaengg is deals with the social issues that arise from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on family relations in the 1920s. At that time, the issue of domestic reform led to the denial of "concubine" as legally justified by monogamy. Kim Soon-young, the main character of Jaesaengg, shows the tough life marked with social stigma of concubine. This shows that the main reason for breaking the ideal home is not in the concubine. The fundamental cause is the contradictory provision of the law that accepts concubinage. Although not directly mentioned, it implies a criticism of the Japanese empire that led to such laws being rooted in Joseon society. Yi was thought to play a major role in reforming of traditional family and marriage system in order to proceed to a modern society. However, the approval of the law that are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the modern family was not carried out in the colonial Korea. Thus, Yi seeks to create a different type of ‘ideal home’ from ‘western modern family’. It does not derived from the conjugal relations based on marriage, it’s the kind of community life appears to share the faith and life. Jaesaeng show his views, so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is text Yi’s entire literary world. However, the heroine Soon-young can not leave the public stigma of concubine. Also she is not accepted as a member of the new alternative family. Such a conclusion seems to reflect the male writer’s subconscious while emphasizing the power of the law to oppress women living in the colonial Korea.

      • 컴퓨터교과교육 : 컴퓨터활용교육I ; 창의성 방과후 교육프로그램 : 고고보드를 이용한 로봇예술[초등부 대상]

        이행미 ( Haeng Mi Lee ),유성용 ( Seong Yong Yoo ),김세아 ( Se Ha Kim ),전영국 ( Young Guk Jeo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에서 고고보드를 이용한 로봇예술 토요일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을 정리한 것이다. 초등학교를 대상으로한 이 프로그램은 창의성 증진에 목적을 두고 운영하였다. 컴퓨터와 로봇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부터 시작하여, 좀 더 유연한 창의성 증진을 하도록 했다. 그리고 각 학교에서 진행되었던 중심이 되었던 주제들에 대한 운영과, 운영을 하면서 학습자들이 느꼈던 점들이나, 앞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보완됐으면 하는 점들에 대하여 중점을 두어서 기술하였다.

      • KCI등재

        전혜린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회상`의 글쓰기

        이행미(Lee, Haeng-mi)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은 전혜린 문학을 특별하고 신비로운 한 개인의 정신적 소산으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그의 문학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통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간의 연구와 달리 전혜린이 실제로 발표했던 원문을 찾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전혜린의 글에서 강한 애착을 보이는 장소로 나타났던 신의주, 부산, 뮌헨의 슈바빙에 주목하였다. 이 세 장소는 각각 유년기,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 독일 유학 시기 전혜린의 인식세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곳이다. 또한 일제 말기의 국경 지대, 한국전쟁기 임시 수도, 전후 한국사회와 대비되는 서구 사회라는 사회적 차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공간적 맥락과 지형을 고려하여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장소에 대한 인식의 변모 양상을 추적하였다. 지금까지 이 세 장소는 ‘정신의 고향’이라는 이상화된 장소로서 동일한 의미를 띤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의미화는 독일 유학 이후 한국에 귀국한 후 쓴 글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 그 이전의 글에서 세 장소는 각각의 구체적인 경험을 지닌 곳으로 재현된다. 신의주는 친구와 국경을 넘어 ‘다른 장소’로 갈 수 있는 경계이자, 압도적인 자연 앞에서 유한한 인간으로서의 삶의 의지를 다지는 장소이다. 신의주는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현실을 통해 영원히 갈 수 없는 ‘미지의 세계’가 된다. 부산은 전후 실존주의 수용의 현장이었고, 전혜린은 그곳에서 문학과 철학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해갔다. 그런 점에서 부산은 실질적으로 갈 수 있는 새로운 ‘미지의 세계’인 독일로 떠날 수 있게 하는 계기적 장소라는 의미가 있다. 유학 시절 뮌헨을 재현하고 알리는 글에서는 상식과 규범을 벗어나 다양한 생활방식이 인정되는 장소임을 보여주는 여러 일화가 다채롭게 소개된다. 그러나 귀국 후 전혜린에게 이 세 장소는 모두 돌아갈 수 없는 ‘먼 곳에 대한 그리움’이 투사된 공간으로 변모된다. 자기정체성의 분열을 겪지 않은 관념적 차원의 공간, 참된 자기를 찾으려는 여정이 현실에 부딪쳐 좌초되기 전의 공간의 의미로 추상화된다. 이는 현실 세계와 내면의 간극이 더욱 심하게 벌어짐에 따라 회상 행위를 통해 이상화된 공간으로 재구축하고자 했던 작가의 (무)의식의 투사된 것이다. 그러나 그의 고향회귀에 대한 염원은 애초에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알면서 이루어지는 회상 행위이며, 이는 그의 관념적 지향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eon Hye-rin"s literary world from a diachronic view. This is a departure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Jeon Hye-rin Literature as a mental product of a special and mysterious person. For this purpose, I found the original text by Jeon Hye-rin. In particular, she paid attention to Sinuiju, Busan, and Schwäbingh, which appeared to be a place of strong attachment in Jeon Hye-rin"s writings. These three plac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Jeon Hye-rin during their childhood, high school and college years, studying abroad in Germany. It is also a place that contains the social dimension of the clos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mporary capital of the Korean War, and the western society as opposed to the postwar Korean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of places found in Jeon Hye-rin"s writings. These three places have been regard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idealized place of "the home of spirit". However, this is a characteristic found in the article written after returning to Korea after studying in Germany. In the previous article, three places are reproduced to each specific experience. Shinuiju is a place to go beyond a border with friends and to go to another place, and is a place to grow the will of life as a finite human in front of overwhelming nature. Shinuiju becomes an "unknown world" that can not go on forever through the historical reality of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usan was a scene of acceptance of postwar existentialism, and Jeon Hye-rin added depth to hi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that sense, Busan has a meaning as an opportunity to leave Germany as a new "unknown world" that can actually go. In an article that recreates and informs Munich during the time of studying abroad, various anecdotes are introduced to show that it is a place where various lifestyles are recognized beyond common sense and norm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are transformed into a space projected with "longing for distant places(Fernweh)" that can not be returned to all three places. It is abstracted into a space of ideational dimension that has not undergone the division of self-identity. As the gap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spirit deepened, the artist"s inner surface was projected to reconstruct the idealized space through recall. This recall has furthered her ideological orientation.

      • 1960년대 『한국전쟁문학전집』 발간과 정전화 기획

        이행미 ( Haeng-mi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이 글은 1960년대 전집 발간이 활발해진 상황과 문단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한국전쟁을 전면적으로 성찰하는 분위기 속에서 출간된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문인협회에서 편한 『한국전쟁문학전집』은 ‘전쟁문학’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집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이색적인 시도로 여겨졌다. 이러한 기획에는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문학화 한 정전의 역할을 선도하고자 하는 한국문인협회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쟁문학 개념을 재해석하여 전후문학과 구분되는 의미를 규정하고, 기성문단으로 대변되는 이들의 전쟁문학을 정전화하고자 했다. 이는 현실 권력과의 유착 관계를 공고히 하려는 보수우익문단의 의도와 한국전쟁문학의 대표작이라는 위상을 전후세대의 전후문학에서 탈환하고자 했던 욕망이 투사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문인협회의 이와 같은 시도는 그 과정에서 이미 모순을 내재했다. 전쟁문학을 재조명하려는 특집은 참여 필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되레 혼란을 낳았고, 신예 작가를 포괄하겠다는 야심은 전집을 통어하는 규범을 비판하는 작품을 수록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전집의 목적과 상치되는 이와 같은 작품은 새로운 세대가 새로운 관점에서 전쟁을 조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국전쟁을 새롭게 서사적으로 구현하는 이러한 소설이야말로 역설적으로 이 전집을 의미 있게 한다. 이처럼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정전화 기획의 실패는, 한국전쟁이 특정 이념과 이해를 초월한 주제이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문제제기와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져야 할 숙명적인 과제임을 상기시킨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published in the late 1960s. This complete collection was published in a sociocultural atmosphere that reflects on the Korean War and the situation of the publication of various complete collection. This complete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by the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as regarded as an unusual attempt in that it referred to the theme of 'War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complete collection contains the intention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hich desired their works to be a literary canon. The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war literature and defined the meaning that distinguishes it from postwar literature, and tried to make their literature into canon. They also created this complete collection to achieve two objects. First, the editors of the conservative right-wing wanted to further solidif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me. Next, they sought to recapture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War literature from postwar generations. However, such a plan by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has already had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The special project, which was intended to rewrite the war literature, was rather confusing through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gulations of the writers. In addition, the ambitious inclusion of a new writer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a work criticizing the norms that are passed through the complete collection. These works differ from the purpose of the complete collection. However, these works, written by the new generation according to a new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s meaningful in this complete collection. This failure of canon formation by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reminds us that the Korean War is a subject that transcends certain ideologies and understanding. Furthermore, it is a fateful task that requires constant problem making and literary formulation in various dimensions.

      • KCI등재

        두 개의 과학, 두 개의 문명

        이행미(Lee, Haeng-mi)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4

        이 논문은 이광수의 두 번째 소설인 『개척자』를 중심으로 그의 문명 인식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척자』는 제1차 세계대전을 야기한 서구의 물질적 문명이 가지는 부정성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하고, 그에 따라 다른 속성을 띤 새로운 문명에 대한 구상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통일성이 결여된 플롯과 인물이라는 형식적인 결함이 한계로 지적되어 왔지만, 이러한 서사적 파탄은 현실에 따라 변화하는 근대 문명에 대한 이광수의 인식의 진폭이 반영되는 과정에서 초래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 아래 전반부와 후반부를 나누는 과학과 도덕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서사와, 그 사이를 매개하는 서술자의 생명론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살펴보았다. 당시 이광수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문명을 대표하는 과학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정신적 가치를 문명을 구성하는 보다 핵심적인 가치로 여기면서, 이성에 토대를 둔 도덕성을 체현하는 인물의 면모를 그려내고자 했다. 서사 중반에 나타나는 서술자의 생명론에는 조선의 근대를 수립하는 길로서 ‘물질적 문명’을 중시하는 사고에서 ‘정신적 문명(문화)’의 창조로 관심이 이동하는 양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생명과 진화를 둘러싼 복잡한 논의로 나타나는데, 단선적인 진화론적 진보에 대한 회의와 함께 조선적인 것을 재산으로 삼아 근대적인 문화를 이루는 길을 암시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생명의 발현으로 나타난 문화의 본질은 ‘도덕’이며, 이광수에게 생명 담론이 ‘정’ 혹은 ‘본능’이 아닌 칸트적인 ‘이성’의 문제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과학’과 ‘문명’에 대한 이광수의 사유는 단일하지 않은 중층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1910년대 후반 이광수는 근대 문명에 대한 비판적 인식 아래 여러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문명(문화)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였다. 『개척자』는 그 과정을 여실히 보여주는 동시에 이후 발표된 소설들과 긴밀한 관계를 띤다는 점에서 이광수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또한 진화와 문명 혹은 문화에 대한 식민지 조선의 한 지식인의 고민이 반영된다는 점에서도 문제적인 소설이라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Yi Kwang-su’s recognition of civilization shown in his second novel Gaechukja(A Pioneer). Yi denunciates the negative side of Western materialism that becomes above all the causes of World War I and puts in his new thought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its reception in the colonial Korea. Previous reviewers notice the lack of plot and character development in some parts and misjudge the entire value of this text; however, they take too lightly as to what causes such flaws in Gaechukja. The poor plot and characters in the novel reflect on Yi’s dynamic but unorganized thoughts to see the contemporary Western civilization. Yi denies scientific materialism which comes from the Western civilization. He puts in more value on the spiritualism over scientific materialism and attempts to figurate fictional characters acting based on the human reason. Narrator’s vitalism theory shows that Yi notices the creation of a ‘culture’ instead of ‘civil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Korean modernity. At the time, ‘culture’ was used in concept to espouse the spiritual values rather than material civilization. Yi casts doubts on the linear process of evolution theory and attempts to create ‘new’ modern Korean culture. The essence of vitalism theory lies in Yi’s ‘morality’ and he transforms his spiritual focus from ‘Jeong(情)’ or ‘instinct’ to Kantian ‘reason’. Thus, the Yi’s thought of ‘science’ and ‘civilization’ was developed into multiple aspect. Yi seeks to create new Korean culture while critically examining various thoughts discussed in the late 1910s. Gaechukja shows this process, so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on this text within Yi Kwang-su’s entire literary world. Also, this text is deserved to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ly examining the theme of scientific materialism and discourse concerning civilizations/cultures in the colonial Korea at that time.

      • 여성이 예속되지 않을 새로운 가족을 위한 고투 - 나혜석의 「이혼고백장」(1934)을 중심으로 -

        이행미 ( Lee Haeng-m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30 No.-

        근대 한국 사회는 가족 개념과 가치를 둘러싼 다양한 갈등과 혼란이 나타났던 시기이다. 특히, 근대적 인권과 개인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일부일처제의 법제화가 이루어지는 배경 속에서 당사자 간 계약을 전제로 한 혼인은 근대 가족 형성에 있어 중요한 과제였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나혜석은 지면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나누면서 그 누구보다도 가정 내 여성의 역할과 권리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글은 나혜석의 「이혼고백장」 등의 산문을 통해 가족을 구성하는 젠더 불평등의 요소를 비판하고 새로운 가족의 모습과 가치를 모색해나갔던 그의 실천적 행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나혜석은 당대 기혼 여성의 법적 권리가 부재하고, 부부 관계의 불평등이 법적으로 용인되는 현실을 자신의 이혼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비판한다. 아울러 여성의 인권이 존중되는 가족을 위해 기혼여성에게 부과된 통념상의 역할과 이미지에 균열을 내고 전복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간통죄 등에 의해 국가 사회적으로 여성의 성(性)이 통제되는 상황에서 교제의 자유를 주장하고, 법에 의해 명문화된 결혼 계약을 보충하는 사적 계약을 통해 결혼 이후 암묵적으로 행해지는 여성의 예속을 최대한 막고자 했다. 여성이 가족의 테두리 바깥에서도 편견 없이 한 개인으로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하기도 했다. 나혜석의 이러한 주장과 바람은 여성이 자신의 개성을 발휘하고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가족과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실천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Modern Korean society was a period of changes such as various conflicts and confusion over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family. In particular, in the background of the importance of modern human rights and individual values and the legalization of monogamy, marriage based on a contract between the parties was an important task in forming a modern family. At a time like this, Na Hye-Seok is a person who tried to find the role and rights of women in the family more than anyone else while sharing her experiences through the paper.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practical actions that criticized the elements of gender inequality that constitute the family and explored the shape and value of a new family through prose such as Na Hye-seok's “A Confession of Divorce”. Na Hye-seok specifically describes her divorce experience and criticizes the fact that married women of the time lack legal rights and that inequality in marital relationships is legally tolerated. In addition, for the sake of a family where women's human rights are respected, Na tried to overthrow and crack the conventional roles and images imposed on married women. Na insists on the freedom of association in a situation where women's sexuality is controlled nationally and socially due to adultery, etc. Also, Na tried to prevent women's enslavement implicitly after marriage through private contracts that supplement the marriage contract stipulated by law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Na wanted a society where women can live their lives as individuals without prejudice, even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ir families. These arguments and wishes of Na Hye-seok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practices to create a family and society where women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find happi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