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歌曲源流』의 〈歌之風度形容〉에 관한 硏究

        이찬욱(Lee, Chan-Uk)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이 글의 목적은 『歌曲源流』에 나타난 風度形容의 의미와 특징을 究明함에 있다. 歌曲과 時調가 동일한 노랫말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가곡창과 시조창으로 서로 곡조를 달리하여 노래한 점에 연유하여 풍도형용의 의미를 문학과 음악의 두 방향에서 접근하였다. 그리하여 문학적으로는 조선후기 歌集의 序·跋에 나타난 평민가객의 詩歌觀이 공자가 편찬한 『詩經』의 시가관인 禮樂爲政 사상과 與民同樂 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조 작품의 주제는 풍도형용의 八字評語와 긴밀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음악적으로는 국악에서 곡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네 가지 요소인 음역, 빠르기, 리듬, 특징적 선율을 중시하여 음역과 리듬을 풍도와 관련하여 살펴 개별곡조가 지니는 풍도의 의미와 특징을 천착했다. 그 결과 음역대가 가장 넓은 編數大葉은 장쾌하고 호방한 풍도와 일치하고 음역대가 가장 좁은 二數大葉은 엄숙하고 장중한 풍도와 일치하였다. 그리고 느리게 노래 부르는 이삭대엽의 풍도는 수많은 변화를 초래하여 복잡하고 다채로운 리듬으로 나타나고 빠르게 부르는 편삭대엽은 빠르고 단순한 리듬임을 확인했다. 아울러 빠르기와 특징적 선율을 형용과 결부시켰다. 그리하여 곡조가 빠를수록 노래가 지니는 분위기의 역동성은 증가하며 느릴수록 한가롭고 여유로와 각각의 형용과 일치하였다. 또한 특징적인 선율의 중심음이 높은 경우에는 곡의 분위기가 강하고 날카로우며 중심음이 낮은 경우에는 중후함을 확인하고 이를 형용과 대비시켜 일치함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는 詩歌의 양식으로 존재한 시조의 미학적 특성을 밝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eaning and feature of PungDoHyeongYong shown in 『GaGokwonryu』. This research come at from two way being based on Ga-Gok and Si-Jo are sung by different tune even if they have same lyrics, and then confirm, literarily, commoners" view of song shown in the late Choson Dynasty"s collection of poems is affected by the idea of governing through decorum and music(YeAkWiJeong) and having fun with the subjects (YeoMinDongRak) which shown in 『Si-Geong』written by Gong-Ja. Also, this research confirm subject of Si-Jo has a correlation with PungDoHyeongYong. Musically, this research studies each song"s meaning and feature of PungDo by focusing on range, speed, rhythm and distinctive melody. As a result, the widest song(PyeonSakDaeHyeop) correspond to stirring and vigorous PungDo and the narrowest one(ISakDaeHyeop) correspond to solemn and grave PungDo. Also, Pung-Do of ISakDaeHyeop has numerous change and various rhythm and PungDo of PyeonSakDaeHyeop is speedy and simple rhythm. In addi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faster, the more dynamic and the slower, the relaxed by connecting speed and specific melody with HyeongYong. At last, it studies consonance of songs and HyeongYong by confirming high central note makes songs sharp and low one makes them grave then comparison with HyeongYong. Above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a clue of studying aesthetic feature of Si-Jo.

      • 상수관망 수리해석 기법에 따른 제한급수 모의결과 비교

        박지승 ( Park Ji Seung ),이찬욱 ( Lee Chan Uk ),홍성진 ( Hong Sung Jin ),유도근 ( Yoo Do Gue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관망시스템은 중요 사회기반시설로 충분한 양과 질의 물을 적절한 수압으로 수용가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상수도시스템의 경우 2018년 기준 상수도보급률을 98.9% 달성하여 평상시에는 대부분의 지역에 차별 없는 물 공급 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도서 및 산간지역의 경우 주기적인 제한급수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평상시 급수에 문제가 없던 지역도 극심한 가뭄이 장기간 지속되어 제한급수가 시행된 사례가 과거에 발생된 바 있다. 국외 일부 국가의 경우에는 상수도공급시설이 갖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수량 확보의 어려움과 지속적 가뭄발생 등의 문제로 일상적인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급수가 일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외 A-City의 관망해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수관망 수리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상상황에서 신뢰성이 검증된 수요기반해석(Demand Driven Analysis, DDA)과 비정상상황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압력기반해석(Pressure Driven Analysis, PDA), 그리고 유한수원 가정의 A-PDA(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간의 이론적 관계를 분석하고, 계측자료가 제한적인 상태에서 각각의 수리해석 결과 획득을 위한 공통된 매개변수의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제한급수 상황에 있어서는 A-PDA가 상대적으로 보다 적합한 검·보정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DA 및 PDA의 경우 추가적인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리해석 기법별로 제시된 결과는 가뭄 및 취수원 취수제한 등과 같은 제한급수가 필요한 시나리오에 따른 블록별 급수시간 설정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상수관망 수리해석 기법에 따른 제한급수 모의결과 비교

        박지승 ( Park Ji Seung ),이찬욱 ( Lee Chan Uk ),홍성진 ( Hong Sung Jin ),유도근 ( Yoo Do Gue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상수관망시스템은 중요 사회기반시설로 충분한 양과 질의 물을 적절한 수압으로 수용가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상수도시스템의 경우 2018년 기준 상수도보급률을 98.9% 달성하여 평상시에는 대부분의 지역에 차별 없는 물 공급 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도서 및 산간지역의 경우 주기적인 제한급수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평상시 급수에 문제가 없던 지역도 극심한 가뭄이 장기간 지속되어 제한급수가 시행된 사례가 과거에 발생된 바 있다. 국외 일부 국가의 경우에는 상수도공급시설이 갖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수량 확보의 어려움과 지속적 가뭄발생 등의 문제로 일상적인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급수가 일상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국외 A-City의 관망해석 자료를 기반으로 상수관망 수리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상상황에서 신뢰성이 검증된 수요기반해석(Demand Driven Analysis, DDA)과 비정상상황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압력기반해석(Pressure Driven Analysis, PDA), 그리고 유한수원 가정의 A-PDA(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간의 이론적 관계를 분석하고, 계측자료가 제한적인 상태에서 각각의 수리해석 결과 획득을 위한 공통된 매개변수의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제한급수 상황에 있어서는 A-PDA가 상대적으로 보다 적합한 검·보정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DA 및 PDA의 경우 추가적인 매개변수의 검·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리해석 기법별로 제시된 결과는 가뭄 및 취수원 취수제한 등과 같은 제한급수가 필요한 시나리오에 따른 블록별 급수시간 설정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