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 개발 제안연구

        이진렬(주저자) ( Jinryeol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을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은 균형성과표를 기반으로, 평가영역, 측정척도, 측정될 수있는 목표의 세가지 구성요소와 DME(Design Management Europe)가 제시한 "디자인경영계단(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의 4단계 디자인환경성숙도에 따라 개선해야 할 목표치를 갖는 구조로 구성된다. 평가영역의 경우, 기존의 연구를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디자인리더십, 디자인 계획,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자원,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실행,디자인 전달, 디자인 감사가 포함된 8개 영역의 평가요소로 이루어졌다. 측정척도는 평가요소에 대한 측정가능한 척도이며, 자료의 표준화를 통해 측정가능한 정량적 척도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측정될 수 있는 목표는 8개영역의 요소가 기업의 디자인경영활용수준별로 달성해야 할 목표값으로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전문가그룹 토론을 거쳐표준값DB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개선과 디자인경영분야의 이론 및 실무적 발전에 공헌하고자한다. This study suggest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which can measure and evaluate the situation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SME``s. Design management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evaluation scope, measurement, Goal to be measured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and also includes 4 levels of corporation``s design environment maturity based on "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 Based on vast range of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design management, evaluation scope are categorized into 8 groups; Design leadership, Design Plan, Design Communication, Design Resources, design process, Design Implementation, Design delivery, Design audit. Measurement is measurable variables for evaluation factors and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as quantitative measurements which can be measured. "Goal to be measured" is the aim to be approached according to design management application level and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as standardized value D-Base through the discussion of design exper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design management research and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SM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이진렬 ( Jinryeol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최근 급변하는 기업경영환경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디자인은 프로젝트단위의 심미적 문제라기보다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디자인경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를 언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의 측정방법과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어떻게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론적 및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6개범주 22개 항목의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 측정척도와 11개범주 53개 항목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2개 기업 자료를 통하여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는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성과가 디자인경영의 이론적 및 실무적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design has been regarded as important factor for corporation’s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high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s necessary no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matter of design development but based on systematic one of corporate management. Even though CEO’s design management mind has been referred as a important factor for design management in many past studies, there have been no empirical research results for the measurements of CEO’s designmanagement mind and it’s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This study developed 6 categoried and 22 itemed measurements of CEO’s design management mind and 11 categoried and 53 itemed measurements of 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Based on the measurements mentioned above, the effects of CEO’s design management mind on 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were analyzed through empirical data of 52 Korean-based SME’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CEO’s design management mind has an strong influences on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n most areas.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and practitional development of design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LED파장을 활용한 여드름 치료기기 디자인개발 연구

        김병욱 ( Byunguk Kim ),이진렬 ( Jinryeol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의 피부관리에 대한 욕구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다앙햔 피부질환의 유형중에서 여드름질환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80%이상이 겪고 있는 질환인데도 불구하고, 학업에 따른 시간부족으로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침으로써 피부손상과 이에 따른 자신감 결여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여드름치료에 적합한 LED파장으로 항염 및 상처치유에 필요한 630nm의 파장과 손상된 피부에 대한 재생 및 재활을 위한 590nm의 파장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여드름치료기의 형태와 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현재 출시되고 있는 안편 피부치료기의 유형을 핸디형, 마스크형, 패치형 및 헤드셋 형의 4종류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여드름의 주요 발현 부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여드름 발현 부위를 조사할 수 있는 형태와 구조를 갖는 여드름 치료기에 대한 구조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을 전개하고, 전문가 의견수렴 및 3D프린팅 목업에 의한 사용성테스트를 거쳐 최종 디자인안을 제안하고, 590nm와 630nm의 피크파장을 내장한 LED 여드름치료기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향후 LED 피부치료기 및 LED여드름치료기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LED 여드름치료기개발에 있어서 실무적 도움과 LED의료기기 시장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interest in the appearance has increased recently, people's desire for skin care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Among the various types of skin disease, acne disease is a disease that more than 80% of Korean adolescents are suffering from, but due to lack of time due to study, it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skin damage and lack of confidence . The LED wavelength suitable for acne treatment was derived as 630nm wavelength for wound healing and wound healing and 590nm wavelength for regene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amaged skin. In order to elucidate the shape and structure of acne therapy devices, the types of the skin treatment devices currently available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handy type, mask type, patch type, and headset typ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ajor expression site of acn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derive the structure of acne treatment device having shape and structure to investigate acne expression site.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a prototype of the LED acne treatment device with 590nm and 630nm peak wavelength through developing design, collecting expert opinions, and performing usability test by 3D printing mock-up. The demand for LED skin treatment device and LED acne treatment devic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help in the development of LED acne treatment device and the activation of the LED medical device market in the future.

      • KCI등재

        중소 산업디자인 기업을 위한 3D 프린팅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한지애 ( Jiae Han ),이진렬 ( Jinryeol Lee ),염상민 ( Sangmin Yeom ),김다솔 ( Dasol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다품종 소량 생산에 효과적인 3D 프린팅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대기업 중심의 대량생산 시스템체제에서 소비자 중심의 디자인 주도형 다품종 소량 생산시스템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규모의 산업디자인기업은 3D 프린팅의 산업적 가치를 활용해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방법 3D 프린팅’ 관련 논문 56편에서 기업 수요조사를 위한 기초자료에 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비즈니스 모델’ 관련 논문 12편에서 비즈니스 모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G지역 437개 디자인전문 기업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01개 기업의 응답내용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비즈니스 모델 RAV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문헌연구를 통해 3D 프린팅의 산업적 특성, 산업디자인분야에서의 활용분야,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3D 프린팅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를 핵심자원(Key Resource), 핵심활동(Key Activities), 핵심가치(Key Value Proposition)로 도출하여 3D 프린팅 기반의 비즈니스 활성화 분야네 가지(Test Service, Flexible Service, Customizing Service, Sustainable Service)에 적용해 `비즈니스 모델 RAV`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결론 제품 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개념을 넘어 제품 수명유형(Product Life Type)에 따른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 디자인 마케팅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향후, 비즈니스 분야에 따른 제품 수명 유형을 파악하고 고객과의 관계형성, 기업의 가치전달방법 등에 대한 방법론을 모색해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비즈니스 모델을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Background A shift is being made from a mass production system centered on large corporations to a design-driven and mass-customization system focused on consumers by 3D printing technology, which is effective for small quantity production of various type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industrial design companies to activate their business by utilizing the industrial value of 3D printing. Method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basic data for corporate demand surveys in 56 papers related to '3D printing', and business model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12 papers related to 'business models'. A survey was conducted on 437 design-specialized companies in G area, and business model RAV and framework were proposed based on the responses of 101 companie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applications in the industrial design field, and components of business models were derived. Key Resource, Key Activities and Key Value Proposition were derived as components of the business model using 3D printing. 'Business Model RAV' and a framework were proposed by applying them to the four business activation fields based on 3D printing. Conclusion We fou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design marketing according to the product life type beyond the concept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oduct life cycle. In the future, we intend to expand and apply business models by product life typ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 KCI등재

        논문 : 오픈디자인의 특성과 기업의 활용사례 연구

        김초록 ( Chorok Kim ),이진렬 ( Jinryeol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오픈디자인의 특성과 수행방법을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오픈디자인을 활용하는 기업의 사례를 통하여 오픈디자인의 활용에 대한 확장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인터뷰자료 분석을 통해서 오픈디자인의 특성으로 개방성, 접근성, 상호작용성, 자율성 및 네트워킹의 5개 요소를 도출하였다. 각 특성에 대한 수행방법으로 개방성은 참여와 협업, 접근성은 플랫폼 개발, 상호작용성은 집단지성, 자율성은 해킹디자인과 디지털제조, 재생산 및 재활용그리고 네트워킹으로 커뮤니티와 공유, 의사소통 및 세계화 등의 기법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비즈니스 현장에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오픈디자인은 자기관여행동과 브랜드몰입을 통해 브랜드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실무적 관점에서 기업의 오픈디자인 비즈니스 실행과 학문적 관점에서 오픈디자인의 발전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e extension possibility of open design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ecution methods of open design which has been focused on recently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ase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ises, 5 characteristics of open design were extracted; openness, accessibility, interactivity, autonomy and networking. As to the execution method of each characteristic,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ere suggested to perform openness; development of platform for accessi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for interactivity; hacking design, digital manufacturing, reproduction and recycling for openness; community, sharing, communication and globalization for networking. At the time when the importance of brand management has been focused in business environment, open design may be regarded as one of alternatives to reinforce brand royalty through self involvement and brand commitment. This study has meaningful insight in suggesting background considering execution of open design in business practice and the academic development of open design.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그룹 창의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팀 구성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KAI 지수를 바탕으로 한 팀 구성방향을 중심으로 -

        이진렬 ( Lee¸ Jin Ryeol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디자이너의 창의성 증대방법은 디자인 분야의 주요 관심 연구대상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KAI 지수가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인지와 KAI 지수에 따른 디자인팀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성, 효율성, 일치성의 3개 분야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활용하여 KAI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물의 창의성 측정은 참신성, 실용성, 정교성 3대 분야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에서 48명의 참가자가 진행한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자의 KAI 지수 디자인결과물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 4명으로 구성된 9개 팀이 디자인프로젝트에 대하여 팀 구성원의 KAI 지수의 범위와 디자인결과물 창의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1의 분석결과, KAI 지수는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지표이며, 실험 2의 분석결과, KAI 점수의 폭은 팀 창의성 실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creativity of designers is one of the research subjects of major interest in the design fiel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KAI index is an index that can explai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how the design team is formed according to the KAI index. It is in finding out if it is effective. In this study, the degree of KAI was measured using a scale consisting of 21 items in three fields of originality, efficiency, and consistency.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of the result was composed of nine items in three areas: novelty, practicality, and sophistication. For the design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by 48 participants in Experiment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of the KAI index design results of the participants was identified. In Experiment 2, 9 teams composed of 4 people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pe of the KAI index of the team members and the creativity of the design results for the desig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xperiment 1, the KAI index is an index that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the analysis result of Experiment 2 shows that the breadth of the KAI score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alization of team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