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플란트 인상 채득 시 트레이 종류에 따른 인상체의 정확도에 관한 비교 연구

        이현정,임종화,이준석,Yi, Hyun-Jung,Lim, Jong-Hwa,Lee, Joon-Se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1

        연구 목적: 보편화된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임플란트와 상부 보철물의 연결 시 완전한 수동적 적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게 인상 채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고정체 수준 인상 채득 방법 중 인상체 제거 후 인상용 코핑이 인상체에 남아있는 open tray 인상법과 구강 내에 남아있는 closed tray 인상법, 그리고 인상 채득 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트레이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 모형은 하악 악궁 형태로 열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vertical gap을 관찰할 20 mm 간격의 기준 구조물을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실험 모형에 임플란트 유사체를 매몰하였다. 실험군은 트레이 레진으로 제작한 개인 트레이,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 그리고 금속 기성 트레이 등의 3가지 트레이를 이용하였고, closed tray 인상법과 open tray 인상법의 2가지 인상 채득법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위치에 따른 오차를 관찰하기 위해 시편 모형을 전치부, 구치부로 다시 나누어 총 10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였다. 1군당 총 9개의 시편을 제작하였고, 시편에 기준 구조물을 한 쪽 지대주만 20 Ncm으로 고정시킨 후 관찰하는 1-screw test를 이용하여 반대쪽의 임플란트 유사체와 지대주와의 gap을 입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1시편당총6부위를 측정하였고, 3회씩 측정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었을 때 수치를 기록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Closed tray 인상법 사용 시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와 개인 트레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open tray 인상법 사용 시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와 개인 트레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시 open tray 인상법과 closed tray 인상법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폴리카보네이트 트레이를 이용한 closed tray 인상법을 개인 트레이를 이용한 open tray 인상법과 비교 시 전치부, 구치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결론: 폴리카보네이트 기성 트레이를 사용 시에는 open tray 인상법이 더 추천되는 바이며, 생체 외 실험의 한계성에 유의해야 하며, 정확한 임플란트 고정체 수준 인상 채득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accuracy of impression body taking by the closed and the open tray impression technique with 3 types of impression tray. Individual tray, metal stock tray and polycarbonate tray were used. Materials and methods: Nine closed tray impressions were taken by individual tray, metal stock tray and polycarbonate stock tray, respectively with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 9 open tray impressions were also acquired by same manner. Precision analysis on the master models was performed by attaching the reference frameworks with alternate single screws and measuring the vertical fit discrepancy of respective analogues in working cast with a stereo microscope. Data were analyzed by 1 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average fit accuracy of impression bodies was calculated. With the closed tray impression technique,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vertical fit discrepa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y. The individual tray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and the polycarbonate stock tray group represented the highest. With the open tray impression techniq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tical fit discrepanc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vertical fit discrepancy was found between the open and the closed impression technique with the polycarbonate stock tray. Conclusion: From the results above, more precise impressions could be acquired by the rigid individual tray compared with the polycarbonate stock tray. It was hard to get consistent accuracy impressions by the closed tray impression technique with polycarbonate stock trays.

      • KCI등재후보

        남한강 수변역식생의 토양탄소축적량과 토양호흡 특성

        정지선 ( Ji Sun Jung ),이준석 ( Joon Seok Yi ),이재호 ( Jae Ho Lee ),심교문 ( Kyo Moon Shim ),이재석 ( Jae Seok Lee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생태계가 담당하는 기능의 크기와 그 변화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성 도출은 생태계의 과학적속성 이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수변의특이적 환경조건에 의해 주기적인 교란과 토양 퇴적환경이 발달하는 하천 수변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하천식생에 대해 토양탄소축적량을 정량하고 그러한 식생의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토양호흡과 환경요소 자료를 수집하여 각 요소의 상호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남한강 여주지역에서 물억새, 달뿌리풀, 버드나무에서 토양호흡은 2009년 8월부터 11월까지 각 군락에서 수집하였으며, 토양탄소축적량은 각 군락의 3지점에서 수집하였다. 토양호흡은 지온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가장 높게 관찰되는 8월의 토양호흡값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1,539 mg CO2 m-2, 1,200mg CO2 m-2, 1,215 mg CO2 m-2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한 연간 토양호흡량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19.8 tCha-1 yr-1,30.1 tCha-1 yr-1, 22.0 tCha-1 yr-1으로 산정되어 물억새군락의 토양에 가장 높은 탄소가 축적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토양탄소축적량 (리터층+토양층)은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버드나무군락에서 각각 40.6 tCha-1 (1.9+38.7), 46.9 tCha-1 (43.0+3.9), 31.2 tCha-1 (28.9+2.3)으로 물억새군락의 토양에 가장 많은 탄소가 축적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물억새군락의 높은 지상부 생산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Various ecosystem carry out fundamental function of material circulation and energy flow through interrelationship with many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t is crucial to scientifically understand the value of nature to deduc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change of ecosystem function.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ccumulated ecosystem carbon and characteristics of soil respiration on grassland vegetation in Namahangang basin in Namhangang Basi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oil respir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oil temperature in all communities. The measured soil respiration rates were 1,539 mgCO2 m-2 h-1, 1,200 mgCO2 m-2 h-1, 1,215 mgCO2 m-2 h-1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japonica, Salix koreensis communities, respectively. Also, carbon quantities accumulated in litter and soil layers were 40.6 tCha-1 (1.9+38.7), 46.9 tCha-1 (43.0+3.9), 31.2 tCha-1 (28.9+2.3) in M. sacchariflorus, P. japonica, S. koreensis communitie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계룡산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장지혜 ( Ji Hye Jang ),이준석 ( Joon Seok Yi ),정지선 ( Ji Sun Jeong ),송태영 ( Tae Young Song ),이경재 ( Kyeng Jae Lee ),서상욱 ( Sang Uk Suh ),이재석 ( Jae Seok Lee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4

        Understanding and quantifying of carbon storage in ecosystem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predicting change of global carbon cycle under the global climate change. We estimated total ecosystem carbon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with naturally well preserved ecosystem in Korea. Vegetation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was classified with mainly four communities with Quercus mongolica (1,743.5 ha, 38.0%), Quercus variabilis (1,174.0 ha, 25.6%), Quercus serrata (971.9 ha, 21.2%), Pinus densiflora (695.2 ha, 15.2%). Biomass and soil carbons were calculated from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ased on the DBH and carbon contents of soil and litter collected in quadrat in each community. The tree biomass carbon was in Quercus variabilis (130.1 tCha-1), Pinus densiflora (111.1 tCha-1), Quercus mongolica (76.2 tCha-1), Quercus serrata (39.0 tCha-1). Soil carbon storage was in Quercus mongolica (159.7 tCha-1), Quercus serrata (121.0 tCha-1), Pinus densiflora (110.5 tCha-1), Quercus variabilis (90.8 tCha-1). Ecosystem carbon storage was Pinus densiflora (239.9 tCha-1), Quercus mongolica (235.9 tCha-1), Quercus variabilis (226.0 tCha-1), Quercus serrata (165.9 tCha-1), total amount was 867.7 tCha-1. The area of each vegetation carbon storage was Quercus mongolica (411,200 tCha-1), Quercus variabilis (265,300 tCha-1), Pinus densiflora (166,800 tCha-1), Quercus serrata (161,200 tCha-1) and the total ecosystem carbon amount estimated 1,045,400 tCha-1 at Gyeryongsan National Park. Theses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 in naturally well preserved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