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海底引揚 靑磁와 高麗時代 海上流通 類型

        이준광 미술사연구회 2014 미술사연구 Vol.- No.28

        This paper is intended to describe the circulation of celadon wares during the Goryeo Dynasty, examine diverse characteristics of salvaged celadon in order to classify the patterns of their circulation into periods, and investigate the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circulation and use of celadon. For the research, ancient records and the inscriptions on bamboo and wooden cargo tags were examined and celadon vessels salvaged from major underwater archeological sites were compared with those excavated from sites of production or use. The circulation of celadon vessels during the Goryeo Dynasty demonstrates a particular set of patterns. While most vessels were transferred in order to be paid as tax in kind to the state, some were transported by sea to meet the demands of the private sector. Artifacts falling under the latter category were commissioned for personal use, offered as rent for tenant farming, or traded for commercial purposes. The results of the underwater excavations suggest that the circulation patterns of Goryeo celado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spanning from the late tenth to late twelfth centuries,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the dominant patterns of circulation: i.e. circulation for tax payment, private commission or general commerce. In this period, celadon wares were produced in Buan in North Jeolla Province and Gangjin in South Jeolla Province to be paid as tax in kind, and celadon artifacts of both higher and lesser quality were shipped to distant regions for tax payment or general commerce. In addition, certain artifacts, including those commissioned by aristocrats in the capital, reflected an influence from Chinese counterparts. In the second period, ranging from the end of the twelfth to the late thirteenth centuries, a new pattern emerged: a small number of celadon vessels began to be circulated to meet the rent on private farms owned by aristocrats residing in the capital, while the bulk of celadon goods continued to be circulated according to the existing patterns esta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Among the relics found at shipwreck sites, examples from this period include only those produced prior to the Mongol invasion of 1231 and suggest that bisaek(翡色) celadon of the twelfth century continued to be used by the ruling class along with the inlaid celadon, the production of which peaked during this period. As in the previous period, Goryeo celadon reflected Chinese influences, and wares continued to be produced in Buan to be paid as tax to the government. As related kilns spread to a greater proportion of the nation, celadon pieces of lesser quality are assumed to have been transported to regions surrounding the kilns, unlike in the previous period. In the third period,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thirteenth century and lasted until the end of the fourteenth century, the existing patterns of circulation continued, but the dominant pattern of circulation (marine transportation for taxation purposes) underwent changes due to a combination of several social issues rather than for one specific reason. Influenced by political unrest and the breakdown of the social order, celadon vessels were produced in reduced quantities and of lesser quality compared to those crafted in the previous periods. Celadon vessels reflecting Chinese influence remained in use, particularly those featuring designs inspired by their Yuan Dynasty counterparts. The extant relics from this period do not include examples from the kilns in Buan. 本稿에서는 청자유통 유형을 제시하고, 해저인양 청자의 여러 특징을 살펴본 뒤 이를 근거로 유통형태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청자유통의 변화와 소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기록과 竹簡, 木簡의 내용을 검토한 뒤 주요 해저유적의 청자를 생산지, 소비지 유적 출토 유물과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시대의 청자유통은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漕運制度를 중심으로 한 貢賦 납부 형태가 주를 이루면서도 사적 수요 형태도 함께 존재했다. 사적 수요 형태는 다시 개인 주문 납품 형태, 사적 공부 납품 형태 그리고 일반 상거래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의 해저유적을 본 논문에서 제시한 유통 유형에 적용하여 분석하면 고려청자의 해상운송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Ⅰ기는 10세기 후반부터 12세기 후반까지로 조운에 의한 공부납부와 개인 주문, 일반상거래 형태와 같은 주요 유통형태가 성립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강진뿐 아니라 부안도 공물을 납부하였으며, 양질청자뿐 아니라 조질청자도 공물과 일반상거래 형태로 원거리 유통되었다. 또한 자기 제작에 중국적 요소가 반영되는데 開京 귀족들의 개인 주문 형태로 소비한 자기에도 이러한 특징이 보인다. Ⅱ기는 12세기 말부터 13세기 후반까지로 Ⅰ기에 있던 유통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한편 私有地에 기반을 둔 사적 수취형태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형태에 의해 유통되던 청자는 수량이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이 시기 해저유물로는 몽고침략(1231년) 이전의 것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당시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상감청자는 물론 12세기 비색청자류들도 여전히 상류층에 의해 소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Ⅰ기와 마찬가지로 중국적 요소들이 계속해서 청자 제작에 반영되었으며, 부안은 공물 생산을 계속했다. 조질청자의 유통은 요장의 확산으로 인해 Ⅰ기와는 달리 단거리 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Ⅲ기는 13세기 말부터 14세기 말까지로 Ⅰ기와 Ⅱ기의 유통형태가 여전히 잔존하지만 가장 중심적인 유통형태인 조운에 의한 공부납부 형태에 변화가 온 시기이다. 이는 어느 한 가지 이유 때문이 아니라 당시 고려 사회에 발생한 여러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지배질서의 동요는 자기 제작에도 영향을 주었다. 때문에 이 시기 유통되던 청자는 품질과 수량이 이전 시기에 미치지 못다. 중국적인 요소가 반영된 청자는 여전히 소비되는데 시대적 상황에 따라 元의 특징이 반영되었다. 이 밖에 부안 요장 생산품은 확인할 수 없는 특징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 螭龍文 청자의 특징과 용도

        이준광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고려청자에는 일반적인 용의 모습과는 달리 마치 도마뱀을 연상시키는 螭龍이라고 하는 독특한 형태의 용 문양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룡이 시문된 청자의 기종을 확인하고, 각 기종에 나타난 이룡의 구성과 장식기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과의 영향 관계, 제작 기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산지와 소비지를 살펴 이룡문의 제한적이며 특수한 위치를 확인한 뒤 용도를 구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룡문 청자는 현재까지 잔탁, 발, 완, 대접, 잔, 접시, 주자 일곱 기종에서만 나타나고 있었다. 이 중 잔탁과 발은 세부 크기에서 연관성을 보여 일괄품으로 추정할 수 있었는데, 새로운 전세품을 소개하며 이에 대한 가능성을 높였다. 둘째, 이룡문은 정요 백자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원형과 수평형 구도, 보조문양에서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세부 표현에서는 차이를 보이기도 해 고려적 변용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소수이긴 하지만 경덕진계 청백자와 유사한 예도 소개하여 이룡문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의 영향 관계가 단편적이지만은 않았던 것을 확인했다. 셋째, 이룡문 청자의 제작 기간은 12세기 1/4분기에서부터 13세기에 미치지 못하는 약 한 세기에 걸치는 것으로 보았다. 장식기법은 음각, 압인양각, 상감을 활용했으며, 번조받침은 백색내화토빚음과 규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넷째, 사료와 중국의 예를 참고하여 이룡문 청자의 용도를 ‘왕실 전각 소비 용기’로 이해하면서도, ‘왕실의 기우제용 의례 용기’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당초문으로 보고되었던 월출산 제사유적 출토 잔탁의 문양을 이룡문으로 정정할 수 있었다. 이룡문 청자의 용도는 제한된 자료에 근거하여 추론했기 때문에, 향후 보고되는 추가 자료에 따라 논지에 대한 수정이나 보강이 가능할 것이다. One of the most unique decorative motifs found on Goryeo celadon is an “iryong” (Ch. 螭龍, chilong), a mythical dragon without horns, which resembles a lizard. This article examines a number of Goryeo celadon vessels decorated with the iryong motif, considering the design composition and technique of various vessel types. By analyzing the time period, the site of production and use, and the Chinese influen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hornless dragon design. To date, the hornless dragon design has been identified on seven different types of Goryeo celadon vessels: cup stand, regular bowl, tea bowl, large bowl, cup, dish, and ewer. Notably, cup stands and bowls are often thought to constitute a set, and this article provides new support for this hypothesis by introducing new examples. The hornless dragon design has been estimated to reflect the influence of white porcelain from the Ding kilns of China. Upon further consideration, however, the Goryeo examples of this design feature detailed expressions that are the result of innovative appropriation. Moreover,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a few examples of Goryeo celadon vessels with the hornless dragon design that resemble qingbai ware of the Jingdezhen kilns, demonstrating that the perceived Chinese origins of this design are more complex than once thought. Goryeo celadon vessels with the hornless dragon design are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over a period of less than 100 years, from approximately 1125 to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The designs were rendered with three primary techniques: incision, inlay, or stamping and molding. Most of the vessels have either fire-resistant clay spurs or pieces of quartzite attached to the foot for firing. Celadon vessels with the hornless dragon design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for the royal court. However, this article newly suggests that such vessels may also have been used in royal rituals to summon rain. Based on this new proposal, a celadon cup stand that wa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a ritual site at Mt. Wolchul, which was originally reported to have a scroll design, is now shown to have the hornless dragon design. Given the scarcity of resources related to Goryeo celadon vessels with the hornless dragon design, inferences about the design's meaning and purpose may be revised in light of future discoveries.

      • KCI등재
      • KCI등재

        개성 靈通寺址 출토 청자 연구

        이준광(Lee jun-kwa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8 한국중세고고학 Vol.- No.4

        이 글에서는 개성에 위치한 왕실사찰인 영통사지에서 출토된 청자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사료 검토를 통해 사찰의 존속 시기와 진전사찰(眞殿寺刹)로서의 내력을 확인하고, 이어서 가람의 변화와 출토 청자의 양상에 대해 파악했다. 그리고 청자가 가진 특징과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통사는 고려 초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전까지 존속했던 사찰이었다. 특히 의종대(毅宗代)에 선왕 인종(仁宗)의 진전사찰로 지정된 뒤 약 50여 년간 전성기를 누렸다. 즉, 영통사의 전성기는 12세기이며 제한적으로는 12세기 후반에 해당한다. 둘째, 영통사지는 총 3기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창건 후 첫 번째 변화 시기는 12세기 2/4분기로 보았으며, 두 번째 변화 시기는 14세기 전반으로 파악했다. 셋째, 발, 접시와 같은 생활용 기명은 전 기층에서 발견되었고, 잔탁, 향로와 같은 특수 기종의 수량은 적었으나 진전 설치 이후의 것들이었다. 출토 청자 대부분은 강진, 부안 생산품과 연관성이 깊었으나, 배천 원산리, 해남 진산리 유형의 청자도 소량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치러지는 행사에 따라 청자의 공급 경로를 각기 다르게 제시했다. 왕실 기신재(忌辰齋)가 있을 경우 청자와 필요한 재원이 봉선고(奉先庫)를 통해 조달되었을 것으로 판단했다. 고위 관료들이 행사를 주관할 경우 개별적으로 기물을 조달했을 것으로 보았다. 보고된 청자의 수량이 극히 적고, 자료를 실견할 수 없었던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지만 개성 내 청자 유통의 새로운 사례로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개성 왕실사찰 출토 청자가 추가로 보고되어 소비의 특징을 개괄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celadon excavated from the site of Yeongtongsa Temple, a royal Buddhist temple located in the city of Gaeseong, North Korea. Using historical records, the study confirms the period of existence of the Yeongtongsa Temple, before it was restored in 2005, and verifies that the Temple comprised a Jinjeon, a hall that housed the portrait of the King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ancestral rites for the royal family. Based on these records, the paper reviews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temple throughout the years and closely examines the celadon that were excavated from this site to determine their distinct features and thereby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Yeongto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existed until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sixteenth century, before it was restored in 2005. The temple thrived for approximately fifty years after it was designated a Jinjeon Temple, a royal temple, by King Euijong to commemorate his father and previous King Injong. Therefore, the heyday of the temple was during the 12th century, particularly during the later years of the 1100’s. Second, the site of Yeongtongsa Temple can be divided into three strata. After the temple was established, the first change, which brought about the division of strata, took place during the second quarter of the 12th century, and the second change occurred during the earlier half of the 14th century. Third, daily objects such as bowls and dishes were found in all strata of the site, whereas special-purpose objects, such as cup stands and incense burners, albeit small in number, were found in the stratum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jinjeon, the Royal Hall. Most of the celadon excavated from the site displayed connections to products of Gangjin-gun and Buan-gun. A small number of celadon discovered from this site shared similarities with products of Baechun-gun Wonsan-ri and Haenam-gun Jinsan-ri. Fourth, the celadon excavated from the site of Yeongtongsa Temple could be grouped into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nnels through which they were supplied. Material needed for conducting ancestral rites for the royal court, including celadon, appear to have been procured through Bongseongo Storage. However, when the ceremonies were presided by high officials, the ritual objects were most likely prepared individually. Al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celadon pieces are reported to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site of Yeongtongsa Temple, and they were not available for hands-on inspec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as a new reference for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celadon within the city of Gaesong, and that future reports on celadon excavated from royal Buddhist temples of Gaesong will allow further insight into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se vessels.

      • KCI등재
      • 4-Methoxy-amphetamine의 효과적인 합성

        김진오,이신영,김학원,김지한,이준광 경희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원 2002 자연과학논문집 Vol.8 No.-

        Tamsulosin, Formoterol, Fenoterol 등의 중간체로 쓰이며 그 자체로 생체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4-methoxy-amphetamine 효과적인 합성방법을 확보하였으며, Enzyme 촉매를 이용하여 키랄 환원반응을 통해 (R)-4-methoxy-amphetamine의 비대칭 합성방법을 확보하였다. The efficient synthesis of racemic 4-methoxy-amphetamine, known as the intermediate of Tamsulosin, Formoterol and Fenoterol, and showing a bioactivity by itself, has been achieved and an optically active (R)-4-methoxy-amphetamine has been synthesized through the enzymatic reduction of the ketone intermedaite.

      • 효소촉매를 이용한 키랄 4-methoxy amphetamine의 합성법 연구

        김진오,김학원,김지한,이준광 경희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원 2003 자연과학논문집 Vol.9 No.1

        Tamsulosin, Formoterol, Fenoterol 등의 중간체로 쓰이며 그 자체로 생체적 활성을 가지고 있는 4-methoxy-amphetamine의 효과적인 합성방법을 확보하였으며, Enzyme 촉매를 이용하여 enantiomeric transesterfication 반응을 통해 키랄 알콜과 아민을 얻었으면 이를 이용(R)-4-methoxy-amphetamine의 비대칭 합성방법을 확보하였다. The efficient synthesis of racemic 4-methoxy-amphetamine, known as the intermediate of Tamsulosin, Formoterol and Fenoterol, and showing a bioactivity by itself, has been achieved and an optically active (R)-4-methoxy-amphetamine has been synthesized through the enzymatic resolution of racemic alcohol and am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