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정선이(Seon Yi Jeong),차승은(Seung Eun Cha),이주미(Ju Mi Yi)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총근무시간과 다양한 스트레스 관계에서 휴게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휴게시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이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감정․인지․행동․신체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매개변수인 휴게시간이 영향력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예: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에 근무하는 362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8.0과 JAMOVI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은 정서․인지․행동․신체적 반응 모두에 정적상관을 보여 근로시간이 길수록 모든 영역에서 스트레스가 증가함을 나타냈다. 휴게시간을 투입하였을 때 총근무시간이 행동․신체적 반응 사이의 연관성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정서․인지적 반응에서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휴게시간이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휴게시간이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에서 휴게시간의 필요성과 보육시설에 대한 근무환경이 재조명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한 제도적 발전 방향에 기초자료 및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break time, and stress response among childcare teachers. We hypothesized that break time could help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 of long working hours on stress levels among childcare teachers. We measured stress response across four sub-dimensions: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physical. We collected data from 362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various daycare centers (e.g., national and corporate, private and home day care centers) in the Gyeonggi-do area. W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stepwise regression model using SPSS 28 and JAMOVI. Our results show that working hou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ll four dimensions of stress response, indicating that longer working hours can lead to increased stress in all domains. However, when we included break time in the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behavioral/physical stress response was no longer significant. For emotional and cognitive stress response, the working hour coefficient remained significant but decreased in magnitude. Additionally, we found a direct negative effect of break time on stress, suggesting that taking breaks can help alleviate stress across all four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basic data and ideas on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for this, hoping that the need for rest time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childcare facilities will be re-examined.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내,외 앱 활용 중재연구 고찰 및 효과성 분석

        김정민 ( Joung Min Kim ),차태희 ( Tae Hyi Cha ),김현호 ( Hyun Ho Kim ),이민희 ( Min Hee Lee ),이주미 ( Ju Mi Yi ),장윤희 ( Yun Hee J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2015년 현재까지의 장애영역에 상관없이 국내ㆍ외에서 이루어진 앱 활용 중재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학생 대상 앱 활용 중재에 대한 연구의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준에 따라 국내 21편과 국외 14편으로 총35편의 실험논문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분석절차에 따라 개괄적 특성, 독립변인별 중재 효과, 활용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총 145명의 장애학생 35편의 실험연구에 각각 참여하였으며,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가(n=129)로 가장 많았으며, 단일대상연구는 33편으로 집단 간 비교연구(2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부분의 연구의 신뢰도는 90-100%으로 높았으나,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일반화를 포함하지 않은 문헌이 대다수였다. 독립변인별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학습을 목적으로 한 연구가 1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일상생활기술(8편)과 의사소통기술(5편)과 관련한 앱을 활용한 연구가주를 이루었다. 중재방법은 자기교수가 14편, 직접교수 17편으로, 대부분 중재의 효과성이 단시간에 나타날 수 있는 직접교수방법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앱 개발 유형은 기존 앱을 활용한 앱(19편)이 장애아의 특성을 고려한 자체개발용 앱(16편)보다 많았으며, 기기는 주로 태블릿 PC(19편)을 사용하였으며, 그밖에 삼성 갤럭시, 애플 아이폰을 활용한 연구가 9편으로 나타났다. OS 지원유형은 애플의 IOS를 기반으로 한 연구(23편)가 안드로이드 기반 연구(11편)보다 많았다. 중재의 효과성은 전반적으로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ND=94.66, PAND=91.18), 독립변인 중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PND=100, PAND=100), 직무기술에서는(PND=88.33, PAND=78.43) 보통의 효과크기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헌고찰과 효과성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추후 앱 활용중재를 위한 결론과 제언이 논의에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application(App) based intervention literatu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reach the purpose and search the literature in Korea and abroad that is related to this subject. Through the search process with the criterion of inclusion, a total of 35 studies resul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ss, overall characteristic were established and calculations of the effect size were done (PND, PAND) with 31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two studies were excluded), as well as the implication provided regarding how to develop or extend i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sult, 14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35 experimental studies. Most of the studies`` reliabilities were high (ranged 90-100%), however, only a few studies included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fidelity, and a generalization stage. For the characters, 14 studies used App that were to increase academic skills (e.g., math, language), 8 studies were used for increasing the daily skills, and 5 studies were used for communication method (e.g., AAC). Intervention methods used were mainly two, one was self-instruction in (14 studies) and the other was direct instruction by teachers or authors (17 studies). The types of App were mainly commercial App in (19 studies) or developed a specific App by the author or professionals only for the study in 16 studies. 23 studies of applications’ OS supporting types were IOS based and 11 were Android based App. The effect size was overly high (PND=94.66, PAND=91.18). The most effective independent application was problem-solving and Job-related skills was resulted medium effect size(PND=88.33, PAND=78.43). Also, discussion and implication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view of thes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