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우하우스의 금속 작업, 제품의 기능 구현을 위한 생각과 여건의 진화

        이주명 ( Rhi Joo M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 바우하우스의 명성으로 인해 바우하우스의 기능주의는 디자인역사의 다른 시도들과 구별되는 균질한 성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기능주의가 14년 동안 동일한 것은 아니었을 것으로 가정하고 제품에 표현된 기능주의의 관점이 어떻게 변화 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바우하우스의 금속 제품은 산업 생산의 확대를 통해 새로운 재료와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유형의 제품으로 발전되어 나가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으므로 기능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이에 바우하우스의 금속 작업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관련문헌과 사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주요 금속 제품의 특징과 영향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확보된 자료를 역사적 서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역사 서술의 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기술하고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기에는 구성주의에 입각한 표피적 표현이 제품과 사용에 기반을 둔 기능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표류하던반면, 이후 산업과 연계하려는 노력과 시장의 상업적 평가를 받으면서 차츰 제품의 특성을 갖춰가고 제품의 기능성을 확보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형성하는데 교수진의 격려와 지도는 물론 생산 가능한 시설을 확보하고 산업과 연계를 담당할 회사의 설립, 이익을 분배하고 학교에 재투자하는 적절한 계약 관계의 수립 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초기의 기능성에 대한 관념이 차츰 진화하였으며 생산과 산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었다. 짧은 존속 기간이었음에도 진지한 논쟁, 열정적 추진이 실천적 시스템을 계속 개선하면서, 훌륭한 상업적 성과와 혁신적인 교육과정의 구성이 가능해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Due to Bauhaus's fame, its functionalism is perceived as a homogeneous achievement distinct from other attempts at design history. This study assumes that the functionalism of Bauhaus was not the same for fourteen years and tried to see how the perspective of functionalism expressed in the product changed. In particular, its metal products are useful for looking at changes in the viewpoints of functions, as the expansion of industrial production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products with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The metal works of Bauhaus were studied, and related literature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to extract characteristics of major metal produc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them. The acquired data was repeatedly reviewed and organized to create a historical narrative that provided a rational explanation of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phemeral expression based on constructivism initially drifted without securing the functionality based on product and usage. Over time, the characteristics as manufactured products and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are gradually improved, in line with the effort to connect with the industry and the commercial evaluation of the market. Fully equipped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workshops, cooperative linkage with the industry, and appropriate contractual relationships to distribute profits and reinvesting in school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is achievement. Along with this, the notion of early functionality evolved gradually and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industry deepened. Serious controversy and enthusiastic experimentation that continues to improve the practice system can be regarded as main reasons to achieve short-lived but remarkable successful result and an innovative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정체성 `플루이딕 스컬프처`의 전략적 고찰

        이주명 ( Rhi Joo-m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현대자동차는 그동안 발전을 통해 디자인력을 세계에 과시하고 있지만 디자인정체성(Design Identity) 측면에서는 세계 선도 자동차 회사와 같은 뚜렷한 이미지를 보유하지 못하였다. 이제 세계 5위의 규모를 갖춘 상태에서 디자인정체성을 갖추지 않고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약하기 어려운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최근 현대자동차는 `플루이딕 스컬프처`라는 디자인 정체성의 방향을 정하였다. 본고는 이런 맥락에서 현대가 제시한 디자인정체성 전략의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전략과 조형 유산과의 일치성, 자동차 시장에서 차별화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대자동차의 신규 디자인정체성은 `세련되고 당당한` 현대자동차의 브랜드전략을 반영하고 있으며, `다이나믹`을 추구해야 하는 자동차의 속성과 시장 상황에 전략적으로 적합한 이미지 포지셔닝을 취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 조형 요소들이 종합되어 조형 유산도 대체로 반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소 과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신규 이미지 포지셔닝은 프리미엄 이미지로 나아가기 위한 현대의 중간단계 전략으로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이지만 향후 점차 정련되어 새로운 이미지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한다. Hyundai Motor Company (HMC) has shown its design power to the world customers through continuous development. However the apparent image status regarding car`s design identity like other world leading motor companies couldn`t be achieved by the company. Now, HMC, the world No. 5 auto manufacturer in terms of volume, is not available to have ever more growth without design identity. Therefore, HMC recently presented `Fluidic Sculpture` as its design identity for the future. This paper conducted the review for HMC`s the new design identity in the context of corporate strategy. It examined the identity`s compatibility with HMC`s brand strategy, style assets and differentiation in the marke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ew design identity meets HMC`s brand strategy, which has the keyword `refined and confident`. The design identity, also, has strategically appropriate image for the market positioning and automobiles` trend. At the same time, it reflects the style heritage of HMC`s with several core style elements. In particular, the new image position, that seems to be criticized a little bit because of too much sensational style is considered as a step-by-step strategy for taking future premium image in the world auto market.

      • KCI등재

        디자인기업 가치 창출의 특성

        이주명(Rhi, Joo M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본고는 디자인기업의 가치창출 특성을 고찰할 목적을 갖고 있다. 먼저 디자인비즈니스의 성립조건과 3가지 유형을 확인하고, 국내 8개 디자인기업의 경영자를 비즈니스모델 기반 질문을 통해 면접하였으며, 그 결과를 내용분석법으로 정성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명제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디자인기업의 핵심 가치 창출 과정은 소규모의 자기 주도적 인간 자원이 유무형적 모의실험 도구를 사용하여, 이해와 시도로 구성된 보편적 디자인과정을 변용하면서 정성을 다해 이루어진다. 이때 창출되는 가치는 조형이 중심에 있지만 차츰 조형을 벗어나 혁신과 무형성의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디자인기업은 이를 적용하는 시작 단계에 있다. 디자인영역 확장으로 고객 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분화되지만, 디자인기업의 분배 채널은 협소하며 고객과의 접촉 확대에 미흡하다. 디자인서비스비즈니스의 고객 요구 대응적 비즈니스 관행을 탈피하기 위해선 디자인기업의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주도성을 확보하거나 좀 더 일반적인 비즈니스의 모습을 갖출 필요가 있다. 가치창출이라는 종합적인 잣대로 디자인기업을 들여다본 본 연구는 그 동안의 분절적 접근에 비하여 디자인기업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인식을 가능케 한다. 이를 통해서 디자인기업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내적 전략과 외적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has the goal to examine the nature of value creation by design business. First, the definition of design business and its three types were described, and then the management of domestic eight design businesses were interviewed with main questions from a business model framework.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were reviewed by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onclusion of the reviews is as the followings. Main process of value creation by Korean current design business follows the general design process, that consists of understanding and prototyping phases by small number of self-motivated design staffs, who has sincere manner with various simulation tools. The value created by them is mainly about form value, but it has expanded to the innovation value and intangible value. Design businesses are commencing to adapt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Though the customers of design business varies by the change of design discipline, design,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design business are too simple to correspond its customer’s various needs. To be out of the current difficult practice that only has to follow customer"s request, design businesses need to take more proactive role based on their artistic characteristics, or more business-like attitude. This value-creation oriented research helps us to understand the holistic realm of design business better than what past segmented research did.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internal strategy and external policy for future design businesses.

      • KCI등재

        논문 :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방법론적 비교

        권효숙 ( Hyo Sook Kwon ),이주명 ( Joo Myung Rh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고는 최근 디자인리서치의 요소로서 사용되는 개별적 방법들이 질적 연구의 체계와 갖는 연관성에 주목한다.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질적 연구는 자신만의 독특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세계를 인식하며 그러한 인식론은 고유 방법론의 토대가 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자연계에 적용했던 실험과 양적분석의 구조를 인간현상에 까지 적용하려는 시도를 거부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내면을 그 사람의 눈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질적 연구는 다수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상대주의적 존재론,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의 이해를 형성한다는 주관주의적 인식론, 맥락에 따라 연구방법 및 절차의 유연성을 전제로 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방법론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디자인과 질적 연구의 비교 검토 결과 현상의 이해가 목적인 질적 연구와 인공세계의 구성에 관심을 두고 있는 디자인이 방법론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호 시사점이 있음을 밝혔다. 차후 디자인은 개별 방법으로 시작된 질적 연구와의 관계가 인식론적으로 확대될 필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hods used as a part of design research and the system of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recognize the world through its unique paradigm, which the basement of its methodologies comparing with that of quantitative study. Quantitative study adapt its research logic such as controled experi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that are useful to research the natural world, to human phenomenon. Qualitative study, however, denies that and takes people`s eye to view their inner mind to the world. In order to achieve that,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its methodologies : relativism, subjectivism, and naturalism.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comparison between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they have quite similar aspects on their methodologies and some suggestions to each other, even though one aims to understanding human phenomenon and another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orl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that was started from the adapting individual methods of qualitative study to design needs to expand to considering the epistemology.

      • 디자인사고의 의미 비교 : 허버트 사이몬과 IDEO의 디자인사고를 중심으로

        이정열(Lee Jung-yeol),이주명(Rhi Joo-myung)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In the past, design was considered only a styling on a product's shape or form. But now design has effect on the whole Life, in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business, environment, etc. This design power expanded the design field and changed the design concept as well so that it rapidly raised more concerns for 'design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 the definition of 'design thinking' which is the core of the change. For the more detailed researc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erbert Simon's 'design thinking,' the background and some of the historical concerns that have emerged with 'design thinking' were researched(based on Nigel Cross's research). Also compared of what the two design thinkers(Herbert Simon, IDEO) think about design thinking. It shows design thinking's common & difference features. In short, define the 'design thinking' clearly after synthesize design thinking's common features through two cases since 20C. In addition, Clear up the 'design thinking' should be more useful to develop variety fields like a society, politic, economy, and the environment more the better. Finally, I suggest some critical points of 'design thinking'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