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에 따른 한국인 손 피부색 차이 분석

        홍다검ㆍ이희경ㆍ이정현(Da Geom HongㆍHee kyung LeeJeong Hyun Lee)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7 No.1

        Recently, nail industry trends have been shifting from polish nail to gel nail.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gel nail, the criteria for customers to choose colors have significantly changed. Therefore,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for a nail color which goes well with skin color, not with the color of clothes, makes the hand more beautiful. Unlike a face, hand skin color isn’t corrected through makeup. Therefore, it is more difficult to find a color which is well matched with the skin tone. In this sense, the accurat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hand skin color which is the first step in the selection of nail color are required. However, it’s still very hard to find studies on hand skin colo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hand skin color by age,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hand skin color by age after measuring the tone of the back of the hand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is against 300 women living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s the respondents were younger, a bright skin tone was observed.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by the rank, ‘20s’ was the highest with 46% among those with a bright skin tone within top 100 ranks. In top 300 ranks, in contrast, ‘50s’ was the highest with 46% while ‘20s (8%)’ was the lowest. In terms of a skin tone,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20s’ and ‘50s.’ Even though no big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30s’ and ‘40s,’ a skin tone was brighter in the latt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ight Level and Plant Density on Plant Growth, Development and External Quality in Year-around Cut Chrysanthemum

        Jeong Hyun Lee(이정현),Ep Heuvelink,Menno J. Bakker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3

        광수준에 따른 재식밀도가 연중 스프레이 절화국의 생육패턴과 품질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구명 하고, 기존의 경험적인 국화 생장 및 품질 예측 모델의 검증을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절화국(Chrysanthemum morifolium) ‘Reagan Improved’를 재식밀도 16, 32, 64와 80 plants m?² 와 광수준 100%, 66%와 43%를 조합하여 여름철에 네덜란드에 있는 독립된 유리온실3개 구역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식물의 생체중과 건물중, 화수와 줄기의 강도 및 초장은 광수준과 재식밀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생육량과 줄기의 품질은 광수준이 증가하고 식물체당 차지하는 면적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컸고, 광수준이 낮아 질수록 재식밀도간의 생육특성의 차이가 작았다. 재식밀도가 높은 64-80 plant m?²에서는 초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광수준 43%에서는 초장인 64 plants m?²까지 증가하다가 80 plants m?²에서 감소하는 quadratic 반응을 나타내었다. 단위면적당 건물생산량과 엽면적지수는 광수순과 재식밀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광이용효율(LUE)은 가장 낮은 광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재식밀도 16-80 plants/m2 범위에서는 quadratic 반응을 보였다. 절화의 외형적인 품질인 초장 대비 스프레이길이 비율(초장대비 첫 개화지 마디부터 생상점까지의 길이의 비)은 엽면적 지수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경험적 모델식 들은 낮은 재식밀도 범위에서 생체중과 꽃의 개수를 과대평가되었다. 경험적인 단순모델은 연구결과를 요약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중 균일한 품질(줄기당 개화수 및 줄기강도, 개체당 줄기의 형태 등)은 광량과 재식밀도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매우 높기 때문에 스케줄에 의한 재식밀도의 결정보다는 외부광량에 따른 적정 재식밀도를 고려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growth pattern and development of cut chrysanthemum and test simple regression models in relation to light level and plant density. Cut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cv. Reagan Improved, was grown at four different plant densities of 16, 32, 64 or 80 plants m?² combin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levels of 100%, 66% or 43% of light in three greenhouse compartments in summer at Wageningen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Plant fresh and dry mass, stem strength, number of flowers and stem length had shown interactive effects between light level and plant density. All these parameters increased with increased light level and with increased plant density; however, the decrease as a result of light reduction was much larger at low plant densities except for stem length. Stem length increased with increased plant density, following a saturation-type of response, except for the lowest light level, where an optimum-response was observed, resulting in a reduced stem length at the highest density. Dry mass production per m2 greenhouse area and final leaf area index increased with increased light level and with increased plant density. Light use efficiency (LUE, unit dry mass per unit of cumulative intercepted PAR) was 48% higher at lower light levels than 100%. LUE also show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in range of 16 and 80 plant m?². Using an existing empirical linear model for plant, fresh mass and number of flowers for cut chrysanthemum showed overestimation in plant fresh mass and under estimation for number of flowers at the lowest plant density in all light level in this study. Plant shape, calculated as a ratio between stem length and a length between a node with first lateral stem to top point of plant,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ed LAI. Plant qualities hence strongly varied depending on crop canopy like leaf area index. Although the simple regression models are good tools for summary of experiment, it does not fit at lower plant density. To produce a constant product quality throughout the year, optimal number of plant m?² with amount of available light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e growing period.

      • KCI우수등재

        제주도에 분포하는 제4기 단성화산체의 형태적 분류 및 분포 특성 연구

        이정현(Jeong-Hyun Lee),윤성효(Sung-Hyo Yun)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화산섬인 제주도에는 약 360여 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일려진 것보다 100여 개가 더 많은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분석구가 373개로 전체의 82.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며, 분석구 외에도 정상부가 뾰족한 형태이면서 용암으로 구성된 것이 9개(2.0%), 순상화산체가 27개(5.9%), 응회환이 17개(3.7%), 응회구가 3개(0.7%), 마르가 1개(0.2%), 용암돔이 25개(5.5%)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알오름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15개가 있다. 단성화산체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제주도의 서쪽에 비해 동쪽에 더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같은 풍화 요인에 의해 분석구의 형태가 영향을 받는다면, 강수량이 월등히 더 많은 남부 지역에 한 방향으로 터진 말발굽형 화구를 가진 분석구나 초승달형 분석구, 불규칙한 형태의 분석구 등이 더 많이 분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제주도에서는 오히려 강수량이 더 적은 북부 지역에 이러한 분석구들이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도의 남북 간의 기후적인 요소의 차이가 분석구의 형태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단성화산체 중 응회환, 응회구와 마르는 주로 제주화산섬의 지하 또는 해안가의 저지대에 위치하며, 분석구는 대부분이 해안에서 떨어진 섬의 내륙부에 위치한다. 이는 제주도 단성화산체를 형성한 화산활동이 물(지하수 또는 얕은 바닷물)과의 접촉 유무에 따라 수성화산활동(수증기마그마분화)을 하거나, 마그마성화산활동(스트롬볼리안분화 혹은 하와이안분화)을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성화산체의 고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고도 300 m 이하의 해안저지대에 253개(55.6%), 고도 300~600 m의 중 산간지대에 110개(24.2%), 600 m 이상의 산악지대에 92개(20.2%)가 분포하고 있어 과반수 이상이 해안저지대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화산섬에 분포하는 단성화산체들은 응력장 안에서 생긴 단층이나 틈을 따라서 틈새 분출을 통해 선상으로 배열되어 나타나는 것과 이러한 틈새와는 무관하게 독립된 단일 화구를 통한 중심 분출을 통해 생성된 것이 함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Jeju island is the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and there are over 455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of which approximately 373 volcanoes(82.0%) are cinder cones. Other volcanic forms in the island include sharp-pointed lava cone without crater(9 volcanoes; 2.0%), shield volcanoes(27 volcanoes; 5.9%), tuff rings(17 volcanoes; 3.7%), tuff cones(3 volcanoes; 0.7%), a maar(1 volcano; 0.2%) and lava domes(25 volcanoes; 5.5%). The monogenetic volcanoes include 15 small nested cinder cones(aloreum). The monogenetic volcanoes are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than in the western part. If the main cause of the weathering such as precipitation affected the shape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more monogenetic volcanoes(BC, CC, DC, etc.) are supposed to be present in the southern part that have more precipitation than in the northern part. But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parts. So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the climatic conditions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or the shape of cinder cones. Tuff rings, tuff cones and a maar are distributed beneath the island or in the low-altitude areas along the shore although cinder cones are distributed in the interior of the island. This means that the volcanic activity which formed the monogenetic volcanoes resulted from either phreatomagmatic eruption or magmatic (hawaiian or strombolian) eruptions depending on the reaction with water (underground water or shallow waters).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according to the altitude shows that 253(55.6%) volcanoes occur in low-lying coastal areas at an altitude below 300 m, 110(24.2%) in a middle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between 300~600 m and 92(20.2%) in a high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above 600 m. So more than half of monogenetic volcanoes are distributed in low-lying coastal area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단보 : Limonene의 세포독성과 항Malassezia 활성

        이정현 ( Jeong Hyun Lee ),이재숙 ( Jae Sug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9 No.4

        우리의 이전의 연구에서 Citrus auranifoli 오일은 Malassezia furfur와 Malassezia pachydermatis에 대해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주요 성분인 리모넨(limonene)의 M. furfur와 M. pachydermatis에 대한 저해효과를 디크스 확산 방법(disk diffusion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고, Beas-2B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cytopathic effect reduction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Limonene의 최소곰팡이저해농도(minimum fungicidal concentration)는 양성대조구인 itraconazole보다 더 낮았고, 100 μg/mL의 농도에서 Beas-2B cells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itraconazole은 같은 농도에서 약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결과에서 limonene는 비세포독성과 함께 M. furfur and M. pachydermatis의 성장저해를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A previous study of ours indicated that Citrus auranifoli oil possesse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alassezia furfur and Malassezia pachydermati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M. furfur and M. pachydermatis activities of limonene,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C. aurantifolia oil,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We also examined cytotoxicity against human normal epithelial (Beas-2B) cells using the cytopathic effect reduction (CPE) metho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inimum fungicidal concentration (MFC) value of limonene is lower than the value for itraconazole. The MFC value of limonene was seen to be 7.81 μg/mL against M. furfur and 3.90 μg/mL against M. pachydermatis. MFC values of itraconazole against M. furfur and M. pachydermatis were 62.50 μg/mL and 31.25 μg/mL,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limonene was not toxic to Beas-2B cells with normal morphology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However, itraconazole exhibited weak toxicity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limonene could potentially be effective at controlling M. furfur and M. pachydermatis infections with no cytotoxicity.

      • KCI등재

        Fibroscan에서의 혈액검사를 이용한 간질환의 영상분석

        이정현(Jeong-Hyun Lee),김동현(Dong-Hyun Kim),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간 섬유화는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간세포 염증 및 괴사가 수년간 지속 및 반복되는 질환으로 간경변이 진행된다. 따라서,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경변 및 간세포암으로의 진행을 막음으로써 간경변의 합병증 및 간세포암에 의한 사망률 및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주요한 임상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간질환 환자에게서 초음파 영상, 혈액검사, 간탄력도와의 상관관계를 수치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사의 초음파 진단기 (IU-22)로 영상을 획득한 환자와 Fibrosccan을 시행 받은 14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혈액 검사는 초음파 영상과 간섬유 스캔을 시행한 시점의 검사 결과로 기초자료를 획득하였다. 각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은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여 검증하였다. 탄성 초음파의 수치는 정상, 만성간질환, 간경변 순으로 증가하였다. 판독 결과에 따라 ALT, Albumin은 대상군 간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나이, AST, ALP, Bilirubin, PLT, PT, kPa에서 초음파 판독 결과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p<0.05)하였다. 그리고 다른 연구에서 만성 간질환 탄성 초음파 수치값이 12.5kPa 이상이라고만 제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질환별 평균 kPa임계값을 제시하여, 정량적으로 진단이 가능하게 수치화를 하였다. 또한, 진단결과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여 질환별 만성 간질환 환자의 진단에 일차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liver fibrosis is a disease we often see in clinical medicine, and the persistence and repeatition of inflammation and necrosis of liver cells continue for several years, and it is proceeded to cirrhosis. So decrease of death rate and prevalence rate by complications of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s main task of clinical medicine by protection of chronic liver ailment patients from proceeding to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So this study tried to represent the ultrasonic image, blood test, the relationship with liver stiffness of diffuse liver ailment patients as number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patients from whom the image was taken by ultrasonic and 141 people who were treated by fibroscan, the basic data for blood test was obtained from the test results at the time when ultrasonic image and liver fibroscan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verify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value of liver stiffnes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normal, chronic liver disease and cirrhosis. As a results, ALT and Albumin hav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object groups, and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ultrasonic decoding at age, AST, ALP, Bilirubin, PLT, PT, and kPa, and they are statistically meaningful(p<0.005). And the value of liver stiffness of chronic liver ailment was presented only as over 12.5kPa in other study, but it was represented as numbers for quantitative diagnosis by presenting average kPa threshold value according to disease in this study. And by presenting relationship of diagnosed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t could be used as first tool to diagnose chronic liver ailment patients according to their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