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로 추출된 태아심박동 각 변수들의 상관분석

        박지수(Jee Soo Park),성영모(Young Mo Sung),이정열(Joung Youl Lee),정성로(Sung Ro Chung),차경준(Kyung Joon Cha),박영선(Young Sun Park),박문일(Moon Il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분만전 태아의 상태를 판독하기 위한 산전검사로서 태아심박동(FHR)검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산전 FHR검사는 높은 위양성율 및 판독자의 주관적인 판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FHR검사의 객관적 판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한데, 우선 관련된 변수들의 철저한 연구와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FHR검사의 객관적 판독기준을 위하여, 먼저 FHR과 제 변수들간의 선형적(linearity)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검사로서 비수축성 검사(nonstress test, NST)를 시행 받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고, FHR검사자료의 수집 및 FHR 각 변수값의 추출은 FHR 판독 소프트웨어인 HYFM-I, II 를 이용하였다. 1988년부터 1997년까지 10 년간 수집된 대상 파일 중 분석 가능한 6,455 예에 대하여 FHR과 제 변수의 선형성(linearity)에 기초한 상관관계를 보았다. 분석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임신주수에 따른 FHR 값과 두 변이도, 즉 진폭(Amplitude, Amp) 및 박동간격(Mean minute range, MMR)를 하나의 군(group)으로(이하 F.A.M.)하고, 임신주수(NSTweeks), 기록손실도(Signal loss) 그리고 태동수(Fetal movement)를 또 다른 하나의 집단군(이하 N.S.F.)으로 하여,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 두 집단(F.A.M. & N.S.F.군)간 상관관계가 만삭전(N=3,993)에는 r=0.40, (p=0.001) 만삭(N=2,387)에서는r=0.34(p=0.001) 그리고 만삭후(N=75)에는 r=0.41(p=0.004)로 나타났으며, 이를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임신 23주 이전에는 r=0.79(p=0.013)로 높은 선형의존도가 있었다. 임신 23주 이후부터 30주 이전까지는 다소 불규칙한 변화 (23∼24주(r)=0.47, 25∼26주(r)=0.29, 27∼28주(r)=23∼24주(r)=0.47, 25∼26주(r)=0.29, 27∼28주(r)=0.56, 29∼30주(r)=0.24)를 보였고, 임신 30주 이후부터는 r=0.3∼0.4정도(31∼32주(r)=0.32, 33∼34주(r)=0.33, 35∼36주(r)=0.37, 37∼38주(r)=0.33, 39∼40주(r)=0.37, 41주이상(r)=0.35)로서 안정적인 관계변화를 보여 주었다(p<0.02). FHR과 두 변이도, 즉 진폭(AMP)와 박동간격(MMR)의 N.S.F.군과의 선형적 관계를 보면, 만삭전에서 태아심박동수는 r=0.06, AMP와 MMR과는 동일한 r=0.39을 보이다가 만삭중 및 만삭이후가 되면서 점차 고른 상관성을 보였다(FHR(r)=-0.27, AMP(r)=0.23 그리고 MMR(r)=0.35). 또한, F.A.M.군과 임신주수는 만삭전에서 다소의 선형관계가 있었지만(r=0.27), 만삭, 만삭후에서 0에 가까운 선형관계로 변화되었다.〔term(r) = 0.01, postterm(r) = 0.06〕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아심박동수와 제 변수의 선형관계를 임신주수별로 유기적, 복합적 그리고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앞으로 일차적이고 본질적인 선형성의 기준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신주수증가에 따라 불안정한 선형적 관계가 안정적인 선형적 관계로 변화하는 것은, 미숙한 과도기적 단계에서 성숙한 단계로의 도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향후 정상, 비정상임신에서 이들 선형적 변화와 비선형적 관계 규명 그리고 종합적인 관계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Objective : We aim to analyze each variable affecting FHR to build objective decision basis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 The sixty four hundred and fifty five cases of NST from 1988 to 1997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collected. We used FHR interpretation softwares, HYFM-I & II those were already developed by author, for extraction of each variable of FHR. We classified the variables into 2 groups, F.A.M(FHR, Amplitude, Mean minute range) and N.S.F(NST weeks, Signal loss, Fetal movement) groups. The Canonical correlation was compared between each variable and group.Results : The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F.A.M & N.S.F are as follows; r=0.40 (p=0.001) in preterm, r=0.34 (p=0.001) in term, and r=0.41 (p=0.004) in postterm. The high linear dependency is shown as r=0.79 (p=0.013) before 23 weeks, the irregular changes shown from 23 weeks to 30 weeks (r=0.47 in 23-24 weeks, r=0.29 in 25-26 weeks, r=0.56 in 27-28 weeks, r=0.24 in 29-30 weeks) and the stable relative changes shown (about r=0.3-0.4) after 30 weeks (r=0.32 in 31-32 weeks, r=0.33 in 33-34 weeks, r=0.37 in 35-36, r=0.33 in 37-38 weeks, r=0.37 in 39-40 weeks, r=0.35 after 41 weeks) (p<0.02). In the linear correlation of FHR, two indicies of FHR variables, AMP and MMR pertaining to N.S.F., FHR(r) is 0.06, AMP and MMR seem to be identical as r=0.30 and then the canonization in term and postterm〔FHR(r)=-0.27, AMR(r)=0.23, and MMR(r)=0.35〕lies in the regular pattern. Moreover, there is rather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F.A.M and the gestational weeks in preterm and it is changed into linearity similar to zero in term and postterm pregnancies〔term(r)=0.01, postterm(r)=0.06〕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e linearity of FHR and the variable which are based on the gestational weeks organically, comprehensibly, and quantitatively. It would be utilized as the fundamental standard of the linearity. The changes from the irregular linear correlation to the regular pattern according to advancing gestational weeks means the changes from the immature and transitional level to the mature level. The closer investigation of the linear and the non-linear changes in normal or abnormal pregnancies, and the unified correlation studies remain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