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書藝의 傳統的 美意識

        이은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1 No.-

        서예의 기원은 한자의 발생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우리나라의 서예는 한자가 유입된 시점 으로 기원을 삼는다. 이로부터 중국서예의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토착화되 면서 서가의 개성과 민족적 미감이 가미되었다. 한국서예에 내재한 전통적 미의식을 추출 하기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시대별 미의식을 탐색하였다. 제1기는 한자의 전래와 더불어 서예문화가 탄생하는 삼국시대로서 미숙기에 해당한 다. 각각 다른 미적 유형을 보이는데 이는 민족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서예 에는 拙樸의 미를 추구하며, 포용의 정신과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有餘美가 있다. 백 제의 서예에는 인간적인 자연미와 온유한 인간미가 있다. 신라의 서예에는 꾸미지 않아도 된다는 순박한 마음이 있고, 자연에 순응하려는 마음이 있고, 그때의 감정에 따르려는 마 음이 있다. 달리 말하면 不工의 淳樸美, 法自然의 順心美, 수시처변의 率意美가 있다. 이 시 기는 토속적인 한국성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제2기는 당의 문화가 직래하여 서의 법이 확고히 뿌리를 내리고 정착하는 통일신라와 고려시기로서 成熟期에 해당한다. 왕희지와 구양순의 서법을 전형으로 삼고 이와 동일시 하려는 현상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사경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晉唐 서법의 구현에는 中 和美가 있고 寫經에는 경외의 마음으로 표현하는 崇高美가 있다. 중화미의 추구는 이후 조 선시대까지 이어져 한국서예사의 전통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제3기는 송설체의 유입과 유행, 그리고 중국서법의 토착화가 심화되는 조선초기와 중 기로서 完熟期에 해당한다. 진당의 서법에서 송설체로 전이가 이루어지며, 전반적으로 중 화미가 지배적인 가운데, 지류로서 거리낌 없는 자유분방한 표현으로 放逸美를 실현한 작 가들이 서예사의 진폭을 확장시켰다. 제4기는 중국서법에 대한 자각과 반성으로 복고와 탈피를 꾀하는 조선후기와 말기로 서 老熟期에 해당한다. 필법전수서로서 서론이 출현하며 이에 따라 서예의 학문적 심화가 이루어졌다. 미의식의 측면에서는 왕서를 전형으로 삼는 전통을 이어받아 중화미를 추구 하고, 창의적인 작가들이 서로 다른 미의식을 추구하는 개별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창암은 무법을 주장하며 노장적 자연미를 추구하고, 추사는 서한의 고예에서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뜻’(有餘盡之意)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추구하였다. 축약하면 有餘美이다. The origin of calligraphy has the same course as the birth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e origin of calligraphy started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Even though Korean calligraphy was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calligraphy from the beginning, it did have the individualities of calligraphers and the national sense of beauty added to it in the indigenization process. This study set a couple of criteria and investigated aesthetic consciousness by the periods in order to identify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Korean calligraphy. Period 1 of immaturity falls in the days of Three Kingdoms when calligraphic culture was born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Three Kingdoms showed different types of aesthetics, which was attributed to racial characteristics. The calligraphy of Goguryeo sought after the beauty of Jolbak and had the aesthetics of leisure with the spirit of tolerance and leisure. The calligraphy of Baekje had human natural beauty and gentle humanness. The calligraphy of Shilla had a simple heart of requiring no decoration, trying to comply with nature, and following the emotions of the moment. The period offered the best presentation of folk Korean nature. Period 2 of maturity corresponded with United Shilla and Goryeo when the calligraphy of Tang Dynasty was transmitted, took roots, and settled down. The mainstream found a model in the calligraphy of Wang Xizhi and Ouyang Xun and tried to identify with it, in the middle of which the development of Sagyeong was prominent. There was Junghwami(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ollowing the standards, controlling individual expressions, and pursuing harmony) to implement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Sagyeong had sublime beauty to express with the mind of awe. The pursuit of Junghwami continued into Joseon and was established as part of trad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Period 3 of full maturity falls in the early and middle Joseon Dynasty when the Songxue style was introduced and became in vogue and the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calligraphy was further reinforced. There was a transition from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to that of Songxue. With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Junghwami, calligraphers who performed the beauty of irregularity with free expressions expanded the amplitude of the calligraphic history.

      • KCI등재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완전 구강 회복 증례

        이은혁,임영준,권호범,김명주,Lee, Eun-Hyuk,Lim, Young-Jun,Kwon, Ho-Beom,Kim, Myung-J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4

        최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치과 치료에 다양하게 활용이 되고 있다. 본 증례는 다수의 치아 상실과 치아 마모로 수직고경이 감소한 환자의 치료에서 이러한 디지털 치의학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루고 있다. 감소한 수직고경을 주의 깊게 평가하여 회복하였고, 최종 수복물을 고려하여 설계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였다. 디지털 악간관계 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전측방 운동을 측정하여 교합기에 반영하였고, Naturgemäße Aufwachs-Technik (N.A.T.), Natural functional reconstruction (N.F.R.)을 이용한 왁스업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스캔하여 CAD/CAM 기술로 임시 수복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상태까지 진료실에서 조정과정을 거친 뒤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최종 수복물로 그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치의학 기술과 전통적인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s digital dentistry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it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This case covers how digital dentistry technology is being applied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oss of vertical dimension due to worn dentition and multiple loss of teeth. The loss of vertical dimension was carefully assessed and recovered, and implants were placed with surgical guides, designed considering the final restoration.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was measured with the electronic instrument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Wax-up process was done with Naturgemäße Aufwachs-Technik (N.A.T.) and Natural functional reconstruction (N.F.R.). It was scanned, and the provisional restoration was fabricated using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technology, and the adjustment process was done at the clinic to meet with the satisfaction both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and then, using double scanning and CAD/CAM technology, it was carried out as a final restoration. As a result, the patient obtained satisfying results, utilizing the benefits of digital dentistry technology and traditional methods.

      • KCI등재

        鍪藏寺碑와 王羲之體의 對比考察

        이은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2 No.-

        무장사비는 지금으로부터 1200여 년 전인 신라 哀莊王2년, 즉 801년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760년에 耳溪 洪良浩(1724-1802)에 의해 비편이 발견될 때까지 천여 년의 긴 세월동안 역사의 뒤안길에 묻혀 있었으며, 발견된 비편은 조선과 중국의 금석학계 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두 개의 비편이 추가로 발견됨으로써 비의 규모는 대략 가늠할 수 있었지만 비문의 찬자와 서자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가 쟁 점으로 떠올랐다. 그동안 학계의 연구를 종합해보면,비문의 찬자는 金陸珍으로 요약되며,서체는 모두 王羲之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그러나 書者의 문제만은 저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제가의 설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서자를 김육진으로 보는 견해이 며,둘째는 王書를 集字한 것으로 보는 견해이고,셋째는 第三의 인물이 書寫했을 가능성을 가정하는 견해이다. 그동안 집자비를 주장한 일부 학자가『蘭亭叙』의 집자를 운운하였는데, 실제로 대조 해본 결과『난정서』에 보이는 글자는 몇 글자에 불과하였다. 또『난정서』에 보이는 글자를 다르게 표현한 경우가 보이므로 단지 몇 글자만으로 집자설을 주장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대조표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듯이, 무장사비는 왕서 중에서도『集字聖敎序』를 전범으로 삼고 있었으며,그 외에『흥복사단비』와 『난정서』는 활용된 빈도수가 극히 미미하였다. 둘째, 왕서에 보이지만 모양이 다른 글자는 그 다름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 었다. 하나는 왕서와 흡사하지만 점획의 위치와 각도 등이 약간 다르게 표현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왕희지의 글씨를 답습하되 점획의 위치와 각도에 변화를 준 것으로, 얼핏 보면 왕서를 집자한 것 같지만 정밀하게 대조하면 다른 형태를 보였다. 필자의 생각에는 왕희지 체에 능한 書家가 매우 핍진한 글씨를 구사하면서 자기 습관적인 일종의 개성미가 미세하 게 가미된 경우로 보였다. 王書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았음에도 모사로 착각할 정도로 능 란함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서사자의 수준을 상상할 수 있다.다른 하나는,왕서가 분명히 있음에도 書體를 다르게 표현한 경우이다. 단순히 왕서의 존재유무만을 따진다면 존재하 는 글자로 볼 수 있지만,이것은 형식상 書體를 달리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한 경우이다.여 기에 속하는 글자들을 선별해 보면, 왕희지의 유려한 행초서보다 다소 정제된 형태를 지향 하고 있다.이는 비문이 지나치게 연미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전체적인 균형과 조화를 이 루기 위한 書者의 배려로 보인다. 셋째,비면의 글자 중에서 왕서에 전혀 보이지 않는 글자가 무려114자나 되었다. 그 러므로 이 글자들은 서자의 창작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혹시 비교의 대상으로 삼은 세 필 적 이외에 별도의 本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그 경우 다른 모본이 신라에 존재 했다는 명확한 증거를 먼저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정밀하게 서체를 대조한 결과,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첫째, 김육진을 서자 로 보는 설은 회의적이다.둘째,종래에 주장되어 온 집자설은 부분적으로만 인정될 뿐 전 체적으로는 설이 성립되지 않았다.셋째,제3의 서자설은 그 가능성이 가장 높다.새롭게 제기된‘皇龍寺’세 글자 는 비문의 서자를 암시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다.여기에서 무장사비 의 서자 문제를 확정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비문의 형식과 서체의 검증을 통해 최소한 집자 비가 아닌 황룡사의 스님이 쓴 창작비임을 추론할 수 있다. The Mujangsa Tombstone is known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second year of King Aejang's reign(801) in Shilla, approximately 1,200 years ago. It had remained in the back street of history for the long period of a thousand years until 1760 when Igye Hong Yang-ho discovered one of its pieces. Once being discovered, the piece created such a sensation in the epigraphy of Joseon and China. Later, two additional pieces were discovered and made it possible to estimate the size of the tombstone roughly. However, those pieces were not enough to confirm its compiler and writer, which has raised an issu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so far report that its compiler was Kim Yuk-jin and that its writing style was Wang Xizhi,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s on who wrote the epigraph among them. There are three major theories on the writer: the first one maintains that Kim Yuk-jin wrote; the second one maintains that it should be a combination of Wang Xizhi letters; and the final one raises the possibility that it was written by a third person. Some scholars arguing that it was a combination of his letters said that the letters were collected from Nanjeongseo.However, a comparison between them immediately told that only a couple of letter on the epigraph came from the book. Furthermore, some letters were written different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e book. Thus it will be irrational to hold onto the second theory only with some letters. As seen in the comparison table, the Mujangsa Tombstone was modeled on Jipjaseonggyoseo of Wang Xizhi's books with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citations from Heungboksadanbi and Nanjeongseo. Second, the letters that were found in Wang Xizhi's books but had different forms from their counterparts in th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of them contains the letters that were similar to his letters but slightly different from them in the locations and angles of tittles. In such a case, it seems that his letters were followed with variations to the locations and angles of tittles. A casual glance will make one mistake it for a collection of his letters, but a close comparison will detect different forms between them. The investigator assumed that the writer of the epigraph was good at the writing style ofWang Xizhi, wrote the letters very similar to his on the epigraph, and slightly added his individuality according to some kind of habit. Even though the writer's letters do not perfectly match those of Wang Xizhi, they are excellent enough to pass as a reproduction, which gives some hints at his level. The other group includes the letters that were clearly found in his books but differed from his writing style.When one considers only whether there are corresponding letters in his books, their existence cannot be a topic of argument. However, the letters were written in a different style and in a creative manner. They are rather more refined than his elegant Haengchoseo, being the results of consideration to prevent excessively soft and beautiful letters and achieve overall balance and harmony in them. Third, there are as many as 114 letters not found in his books. They must be the writer's own creation.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that there is a separate copy in addition to the three types of handwriting compared in the study, but it should be backed up by a clear piece of evidence that another copy existed in Shilla. Close comparison among the writing style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doubtful that Kim Yuk-jin was the writer. Secondly, the old collection theory is only partially acceptable and cannot complete a legitimate theory. Finally, the third theory of a third writer has the greatest possibility. Three newly raised letters “皇龍寺” should be an important keyword to imply who the writer of the epigraph was. Even if the writer of Mujangsa Tombstone is not settled here, the verification of its format and writing style will at least lead to an estimation that it was a creation by a Buddhist priest at Hwnagryong Buddhist Temple rather than a collection ofWang Xizhi's letters.

      • KCI등재

        秋史 畵論과 學畵門逕論

        이은혁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Chusa(秋史) Kimjeonghui.(金正喜) as the ship construction postscript thread scholar it accomplished a big achievement from the past and present crane and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He as the philosopher thought assertion description below compared to, very it is exceptional an interest in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the painting and writing of the gravestone to pursue the fact that right from exist day with character to make a spirit, to have.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objection regarding the picture from in art objection of the Chusa. When trying to analyze the poetry and prose crane objection and a calligraphy objection of the Chusa, with the fact that it will explain the principal of general technique and calligraphy. Mungyongron(門逕論) sets a what kind of aim and when the hazard which arrives to that aim only it passes by certainly and it is a phase which it does The Chusa landscape painting well. And it recognized the Wangyou of the Dang country most. The Chusa the picture with poetry was similar, the poetry with the picture recognized the similar thing in the world where the dimension is high. 추사 김정희는 조선후기 실학자로서 금석학 및 서화에서 큰 업적을 이루었다. 그가 실학자로서 사상적 주장보다는 실사구시 정신을 바탕으로 금석고증과 서화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것은 이례적이다. 본고는 추사의 예술론 중에서 화론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추사의 시론과 서론을 분석해 볼 때, 일반적인 시작법과 서법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본질적인 원리와 실제적인 적용의 문제를 적절하게 분배하여 체계적인 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문경론이다.문경론은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할 단계를 말한다. 추사는 시론에서 소동파를 거쳐 두보에 이르는 이른바 由宋入唐의 문경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론에서는 초당 삼대가를 거쳐 왕희지에 이르는 由唐入晉의 문경을 택하였다. 화론에서는 남종문인화를 선호하여 당의 왕유를 목표로 삼고 있다. 이처럼 추사의 예술론은 내용상으로 볼 때 모두 문경론으로 일관되어 있는데, 이는 예술의 역사적 맥락을 중시하며 창작의 근거를 반드시 고전에 두어야 한다는 存古정신에서 기인하고 있다.당의 왕유를 학화문경의 귀결처로 삼은 것은 그 시대와 결부하여 문학에서 시(詩)의 전형이 확립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시화선의 이치가 통한다는 전제 하에서 볼 때, 화의 경계와 시의 경계는 결국 별개일 수 없다는 논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추사는 ‘詩中有畵 畵中有詩’의 경지를 학화문경의 귀결처로 삼았으며, 이를 실현한 이가 곧 왕유라는 것을 염두에 두었다.

      • KCI등재

        Erratum: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이은혁,서용범,권호범,임영준,공현준,김명주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2

        The article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authored by Eun-Hyuk Lee,Yongbeom Seo, Ho-Bum Kwon, Young-Jun Yim, Hyunjoon Kong, Myung-Joo Kim, published in April issue [Vol 58, No 1] of The Journal of KoreanAcademy of Prosthodontics (2020), has an erratum. The author names were mistakenly given as Ho-Bum Kwon, Young-Jun Yim. It should be corrected as Ho‐Beom Kwon, Young‐Jun Lim. The Journal of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apologizes to the readers for this error.

      • KCI등재

        白石 柳楫의 의리정신과 의병활동

        이은혁 한국공자학회 2023 공자학 Vol.49 No.-

        In middle Joseon, Baekseok Yu Jip was born with a fate of times filled with ups and downs. He underwent numerous hardships throughout his life, always placing the cause of stabilizing the nation before succeeding in life and expressing his opinion. He was a kid when the Japanese wars broke out, being unable to fight in battles. As an adult, he raised a loyal troop and fought in Lee Gwal's Revolt, Jeongmyo Horan, and Byeongja Horan without hesitation. He became the spearhead as a staff officer under his teacher Kim Jang-saeng during Jeongmyo Horan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loyal troops of Honam as one of the so-called “Five men who raised the righteous army in Okgwa” during Byeongja Horan. He was different from other cases that fought in a loyal troop for a cause and justice as he taught military strategies to his loyal troops for real and practical effects, which proves that he was a talent good at both literary and military arts. He went into the Cheongju battle with his loyal troops and won a victory, which was his splendid feat as a little fruit of cause and justice. The surrender of King Injo overshadowed the cause and justice of loyal troops. He lamented the times and went into retirement in his hometown Gimje where he trained young students and reformed the customs. The loyal spirit left by him and his loyal troops in a difficult situation not only became the driving force to sustain the nation, but also was later established as the “spirit of Honam.” 본고는 조선 중기 백석 유집에 대한 첫 연구로서 의리정신과 의병활동을 점검한 것이다. 백석은 일생동안 숱한 환란을 겪으며, 입신(立身)이나 입언(立言)보다도 나라가 우선해야한다는 춘추대의가 항상 우선하였다. 어린 시절의 왜란에는 대처할 수 없었지만, 성년이 된 이후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에서 활약하였다. 정묘호란 때에는 스승 김장생의 막하에서 참모관으로서 선봉에 섰고, 병자호란 때에는 이른바 ‘옥과거의오현(玉果擧義五賢)’ 중 한 사람으로서 호남 의병의 중추를 담당하였다. 대의와 명분을 좇아 의병에 나서는 한편, 실질적인 실효를 위해 의군(義軍)에 병법을 교시한 것은 다른 이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점이다. 이로써 그가 문무를 겸비한 시대적 인재였음을 알 수 있다. 또 실제로 의병을 이끌고 출정하여 청주 전투에서 승전한 것은 대의와 명분이 작은 결실을 맺은 쾌거였다. 인조의 항복으로 대의와 명분이 무색해지자, 시대를 한탄하며 고향 김제(金堤)에서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풍속을 교화하며 도학을 실천하였다. 난국의 상황에서 춘추대의와 도학정신을 바탕으로 백석과 의병들이 실천한 의리정신은 나라를 지탱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불의에 항거하는 ‘호남의 정신’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KCI등재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sub>2</sub>-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이은혁,서용범,권호범,임영준,공현준,김명주,Lee, Eun-Hyuk,Seo, Yongbeom,Kwon, Ho-Bum,Yim, Young-Jun,Kong, Hyunjoon,Kim, Myung-J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2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sub>2</sub>-diatom microbubbler (DM)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기존에 치과 임상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과 비교하여 이 재료가 구강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산화망간 나노 시트가 도핑된 DM을 만들었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태에 대한 관찰 및 도핑된 MnO<sub>2</sub>의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3%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의 반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귀금속 합금, 지르코니아,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치아우식의 원인균이며 호기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의 원인균이며 혐기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형성된 세균막에 3% 과산화수소수와 DM을 처리하였을 때 세균막 제거 효과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3% 과산화수소수의 경우와 crystal violet 염색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규조류에 이산화망간 성분이 발견되었고, 3% 과산화수소수에서 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재료에서 DM을 처리한 군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나 3% 과산화수소수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결론: MnO<sub>2</sub>-diatom microbubbler는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을 기존의 구강세정제 성분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nO<sub>2</sub>-diatom microbubbler (DM) on the surface of prosthetic materials as a mouthwash by comparing the biofilm removal effect with those previously used as a mouthwash in dental clinic. Materials and methods: DM was fabricated by doping manganese dioxide nanosheets to the diatom cylinder surfa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as used to observe the morphology of DM and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doped MnO<sub>2</sub>. Stereomicroscope was used to observe the reaction of DM in 3% hydrogen peroxide. Non-precious metal alloys, zirconia and resin specimens were prepa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iofilm removal on the surface of prosthetic materials. And then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biofilms were formed on the specimens. When 3% hydrogen peroxide solution and DM were treated on the biofilms, the decontamination effect was compared with chlorhexidine gluconate and 3% hydrogen peroxide solution by crystal violet staining. Results: Manganese dioxide was found on the surface of the diatom cylinder, and it was found to produce bubble of oxygen gas when added to 3% hydrogen peroxide. For all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s, biofilms of the DM-treated groups got effectively removed compared to the groups used with chlorhexidine gluconate or 3% hydrogen peroxide alone. Conclusion: MnO<sub>2</sub>-diatom microbubbler can remove bacterial membranes on the surface of prosthetic materials more effectively than conventional mouthwashes.

      • KCI등재

        敬窩의 憂患意識과 修己復禮

        이은혁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東方學 Vol.0 No.42

        Gyeongwa Eom Myeong-seop was one of the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rule. He was also a Dohak scholar that kept the Confucian ideology and value right into the modern days. His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 world during the transition of times can be examined in two aspects of "study of Confucian ways" and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Gyeongwa's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 world based on his Chinese poems: first, there was the severance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ways. Secondly, his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 world was rooted in the decline of the Confucian tradition. Trying to fulfill his sense of duty to bring up Confucian successors, he devoted his entire life to education and encouraged younger students to study diligently. His most prominent viewpoint of education was "cultivating oneself(修己)." This was to restore one's own human nature and in line with the Neo-Confucian thinking that "The human nature is logic." Such a voluntary and active academic attitude was the most desperate one for Confucian scholars in his days. In cultivation, the emphasis was on "reverent mind and careful action(敬)," "truthful with no lies(誠)," "careful" and "hard working." Gyeongwa took ‘敬’ as his criterion of study and life.

      • KCI우수등재

        서보모터 구동식 조류모방형 날갯짓 비행체의 설계 및 제작

        이은혁,양현호,이상길,한재흥 한국항공우주학회 202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2 No.3

        날갯짓 비행체는 조류나 곤충처럼 날갯짓을 통해 비행하는 비행체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조류모방형 날갯짓 비행체는 DC 모터의 회전운동을 링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날갯짓 동작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기존 방식은 실제 조류의 날갯짓과 같이 다양한 날갯짓 동작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많은 날갯짓 비행체에서 사용되는 단일관절 날개의 경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작의 편리성을 갖지만, 효율적으로 공력을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양쪽 주 날개를 각각 제어하여 비행 상황에 따른 다양한 날갯짓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양력 효율 증대를 위한 날개 접힘 메커니즘을 설계한다. 서보모터를 이용한 날갯짓 동작과 날개의 접힘 동작 구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정상 공력 모델을 이용한 공력 해석과 비행 동역학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모든 동작의 정상 구동을 확인하였다. A flapping-wing air vehicle (FWAV) is an aircraft that flies by flapping its wings, like birds or insects. General bird-inspired FWAVs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C motor into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ink to create flapping motion. However, these methods have difficulty in realizing various flapping motions like real bird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ingle-joint wing used in many FWAVs, it has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due to its relatively simple structur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efficiently generate aerodynamic forces.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both main wings are individually controlled to implement various flapping motions according to the flight situation, and a folding-wing mechanism is designed to increase lift efficiency.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flapping motion and folding motion implementation using servomotors, aerodynamic analysis using a unsteady aerodynamic model and flight dynamics simulation were performed, and a prototype was fabricated to confirm normal operation of all 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