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절제 불가능한 4기 대장암에서 고식적 수술의 임상적 효과

        이윤석,Yoonsuk Lee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7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5 No.1

        In unresectable stage IV colorectal cancer, the role of palliative surgery is not defined clearly. The palliative surger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surgeries; first, palliative primary tumor resection; second, palliative metastatectomy. Several retrospective studies reported initial palliative systemic chemotherapy in unresectable stage IV colorectal cancer did not increase primary tumor 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obstruction, perforation and hemorrhage, so they insisted that primary tumor resection in asymptomatic stage IV colorectal cancer should be preserved. However, in terms of overall survival and cancer-specific or progression-free survival, several retrospective studies, especially using population-based big data, reported favored survivals in palliative primary tumor resection group. And also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palliative metastatectomy such as liver resection without resection of lung metastasis showed better overall survivals. But those results from those studies came from retrospective studies and are likely to be affected by selection bias.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are needed to define the benefit of palliative primary tumor resection and metastatectomy in unresectable stage IV colorectal cancer. However, based on the updated evidences, the dogma that palliative primary tumor resection should be preserved in asymptomatic unresectable stage IV colorectal cancer should be questioned.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TV광고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특성

        이윤석 ( Timothy Yoonsuk Lee ),안지성 ( Jisung Ah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

        이 연구의 논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TV광고에서 VI(Visual Identity) 구성요소로서 그래픽요소의 특징`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곧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광고에서만 볼 수 있는 시각적인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어떤 차별성이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광고에서는 다른 광고에 비해 VI요소 중 `보조그래픽 요소의 활용`이 두드러졌으며, 스토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I구성요소로서 보조그래픽요소가 스토리텔링 광고에서 활용되었을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연구자는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하나의 캠페인에서 그래픽요소가 일정한 스타일로 보이되, 각각 광고의 스토리에 따라서 `텍스트 내용이나 이미지 상의 변화를 통한 변주`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둘째, 한 편의 광고를 봤을 때, 같은 캠페인의 다른 광고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시간 때 혹은 동일한 전개에 맞춰 그래픽요소를 활용한 컷이 삽입됨으로써 영상자체에 `일정한 리듬`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동영상이미지 컷과 스토리에 의한 변주가 이루어진 그래픽이미지 컷과의 중간지점에 그것들이 구별되는 어떤 구분이 분명히 보인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소비자는 각각의 광고에서 여러 작은 테마들을 접하되 그래픽요소를 통해서 그것을 하나의 테마, 하나의 캠페인으로 인식하는 일이 가능해지며, 동시에 소비자는 하나의 스타일 곧 이미지로서의 감성으로 느껴지되 이를 통해서 소비자는 여러 가지 정보를 압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TV광고에 있어서 스토리를 활용한 그래픽요소는 `감정적 연결`로써 소비자가 브랜드 연상(Association)을 함에 있어 그것은 하나의 중요한 근거라 할 수 있다. 요컨대, 스토리가 활용된 그래픽요소는 스토리텔링 광고에 있어서 일관성과 변주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유기적인 VI요소라고 보며, 이는 형식적인 스토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용과 형식의 연결고리`가 되어 줌으로써 BI 요소에 있어서 중요한 비중을 갖는다 하겠다. If the subject of the study is explained in some more detail, it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raphic elements as constituents of VI(Visual Identity) in TV Commercial using storytelling.` Here,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what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visual identity using `stories`, namely, storytelling. As a result of research, it was found that in ads using storytelling, `use of auxiliary graphic elements` out of VI elements was salient compared to other ads, and they were directly affected by stories. When auxiliary graphic elements as VI constituents were employed in storytelling ads, the following 3 common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by the researcher. First, in one campaign, the graphic element is shown in a uniform style, but depending on the story of each ad, `variation through text contents or image change` is played. Second, when seeing an ad, `the uniform rhythm` of the visual image in itself can be felt as cuts using graphic elements at the same time zone or according to the same progress like other ads of the same campaign, are inserted. Third, certain compartments are clearly seen to divide them between the movie image cut and the graphic image cut played a variation by a story. If it is seen from this context, it becomes possible for consumers to recognize it as a theme, a campaign through graphic elements although encountering many small themes in each ad, and at the same time, they feel it as one style, namely, as sensibility as a image but through this, they come to accept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compressed way. Accordingly, in this researcher`s view, graphic elements using stories in storytelling TV commercials can be a key ground in consumers` brand association as `emotional connection`. In short, the present researcher is to regard the graphic element using a story as a organic VI element which can handle consistency and variation at the same time in storytelling ads, and as this directly affects a formal story and becomes `a connecting link between contents and form`,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VI elements.

      • KCI등재

        유기인계 중독에 의한 심근손상 환자에서의 경흉부 심장 초음파검사를 사용한 심장기능평가

        이윤석 ( Yoonsuk Lee ),김오현 ( Oh Hyun Kim ),김형일 ( Hyung Il Kim ),차경철 ( Kyoung Chul Cha ),김현 ( Hyun Kim ),이강현 ( Kang Hyun Lee ),황성오 ( Sung Oh Hwang ),차용성 ( Yong Sung Cha ) 대한임상독성학회 2015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3 No.2

        Purpose: Cardiac complications may occur in cases of organophosphate (OP) poisoning. However, a few studies regarding patterns of cardiac toxicity as determined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TTE) after exposure to OP have been reported. In the current study, the authors examined cardiac functions using TTE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jury caused by exposure to OP.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n 16 consecutive cases of OP poisoning with myocardial injury(defined as elevated troponin I within 48 hours of arrival at the regional emergency center in South Korea and diagnosed and treated at the center from January 2012 to November 2014. Results: TTE was performed in 11 (69%) of the 16 patients with an elevated troponin I (TnI) level within 48 hours. Of these 11 patients, 5 patients (45.5%) exhibited reduced ejection fraction (EF), and 3 exhibited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RWMA). Two patients (18.2%) had both reduced systolic function and RWMA. Two of the 5 patients with reduced EF returned to normal systolic function, however two patients did not regain normal systolic function after admission. One patient expired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 and 4 patients were transferred with a moribund status. Twelve of 15 patients who survived to discharge (at 4 to 35 months) were followed. Five of these patients died during follow-up and 7 survived without further complications. Conclusion: OP can cause reversible cardiac dysfunction including reduced systolic function and RWMA. Serum TnI may be useful for initial assessment of cardiac function during the workup of patients suffering from OP poisoning. After the initial assessment of cardiac enzyme, further evaluation with TTE in patients with abnormal cardiac enzyme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ardiac toxicity.

      • KCI등재

        한국 영화에 나타난 아버지 캐릭터의 부성성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이윤석(Timothy Yoonsuk Lee),김슬기(Seulk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수천년을 거쳐 온 역사 속에서 ‘아버지’라는 인물은 가족의 건강과 마음을 챙겨주는 대상 이외에도 사회적으로 가족을 대표하고 부양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19세기에 편중된 서구의 가부장적 전통과 더불어 한국 사회에서의 아버지 역시 한국 전통의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가부장적 부성성을 띠고 있다. 1960년대부터 산업화를 이루어 결국 21세기에는 가족중심주의 대신 개인중심주의로, 서열화 대신 평등성을 강조하며 상호존중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하는 근대적 가치에 중심을 두게 되었다. (2005, 한국가족문화원, 21세기 한국 가족)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진 급작스런 근대화로 인해 실제로는 아직 한국사회에 전통적 가족문화 현상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이러한 한국 특유의 가족문화를 바탕으로 가족 내에서 한국의 아버지는 가부장적 남성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가족의 생계와 안전을 책임지며 감정보다는 이성에, 부드러움 보다는 무뚝뚝함에 더 중심을 두는 것이 남자,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역할이라고 여기게 된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에 대한 사회적 이데올로기는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는데, TV나 영화에서 보여지는 가부장적 아버지의 이미지가 그 예이다. 본고는 그러한 한국의 아버지가 묘사된 영화 분석을 위해 선정한 영화 두 편을 통해 한국 영화 속에서 표현되는 아버지의 역할이 어떠한지를 메츠의 통합체, 계열체분석과 그레마스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기호학적 의미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사례분석을 위해 선정된 영화로는, 한국형 가장으로서의 아버지가 표현된 영화 ‘플라이 대디’와 한국형 기러기 아빠가 등장하는 ‘우아한 세계’가 있다. 위의 영화들은 영화 속의 가부장적 부성성과 그 배경이 된 한국 전통의 이데올로기가 미디어를 통해 투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In the history, ‘father’ has been described as a being who not only take care of the family but also represents the family socially and supports them. Like the Western patriarchal tradition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fathers in Korean society also bear patriarchal paternit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In such a unique family culture of Korea, Korean fathers hold the patriarchal male?centered idea and regard it as the roles of man and father to be responsible for the family’s living and safety and to be more rational than emotional and more blunt than gentle. Social ideology for this image of father is expressed in media, and an example is the patriarchal image of father in TV dramas and movies. In order to analyze the image of Korean fathers described in films, this study selected two films and examined the semiological meanings of fathers’ roles expressed in the films using Metz’s syntagmatic and paradigmatic analysis method. The films chosen for case study are ‘Fly Daddy’, ‘The Show Must Go On’, and ‘Speed Scandal'. These films are good examples demonstrating that Korean patriarchal paternity and its background traditional ideology are projected on media.

      • KCI등재

        한문방각본의 성격에 대하여

        이윤석 ( Yoonsuk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방각본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시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책을 사고파는 시장이 없는 곳에서는 방각본이 생겨날 수 없다. 봉건질서가 해체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질서가 ‘신분’이 아닌 ‘돈’이 되는 시대의 산물이 방각본이다. 그러므로 방각본 연구는 이 새로운 사회질서와 관련시켜서 진행해야 한다. 한문방각본이 상층부 지식인의 교양을 요약한 상품이라면, 한글방각본은 하층의 오락을 상품화한 것이다. 방각본은 서민층의 독서물이므로 방각본 연구는 자연스럽게 조선 후기 서민문화 연구로 연결될 수 있다. 서민문화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점은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역사 연구가 지배층 연구에 국한되는 가장 큰 이유는 남아 있는 자료가 지배층이 남긴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연구를 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가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엘리트문화의 자료뿐이다. 서민들이 향유했던 문화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도 별로 없고, 또 자료도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방각본이야말로 서민문화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므로, 방각본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서민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글방각본은 고소설 연구자들에 의해 거의 완벽한 서지목록이 작성되었지만, 한문방각본은 아직 작품목록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다. 한문방각본의 연구를 위해서는 정확한 목록을 작성하는 일차적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논문은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한문방각본을 그 성격에 따라 세 가지 나눠서 검토한 것이다. 그 세 가지는, 한시를 짓는데 필요한 책, 격식을 위한 서적, 초보자의 학습서이다.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class system in the nineteenth century Chosun brought a new type of book market. It was the advent of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both Classical Chinese and Hangul.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se usually represented the culture of the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but the ones in Hangul were mainly the products of popular entertainment, especially for the lower class people. As it became relatively easier to change one’s social class by paying money, the number of newly risen upper clas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also arose. It can be said that since this new type of books were closely related to a new social order, its research should be advance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new social order.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are the materials to understand common people,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researches on these books lead to the studies on the popular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doing so, not only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Hangul should be regarded as the source materials to study it but also the ones i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too.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for such studies is to create a list of the actual works in Classical Chinese. In order to create the lis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groups. The three groups are as follows; the books needed for composing Chinese poems, reference books for rituals and the elementary books for learning the Chinese classics.

      • KCI등재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요소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

        이윤석(Yoonsuk Lee),진주현(Juhyun J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시각적 공포요소가 등장인물과 직접적으로 대치하고 물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과 달리 비가시적 공포요소는 암시와 상상을 통해 표현되며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디아더스’와 같이 공포의 주체와 피해자의 관계가 전복되거나, ‘해프닝’과 ‘파라노말 액티비티’에서처럼 신체강탈이라는 방법으로 표현된다. 관계의 전복은 갑작스러운 성격의 변화를 야기하고, 신체강탈은 타인의 신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식인행위와 연결된다. 식인행위와 성격의 변화는 카니발리즘에서 따르는 하위질서의 공식화와 비논리성에 속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인 공포요소가 지니는 의미는 유토피아적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카니발리즘의 본래의 의미와는 상반되어 보이지만 역할을 뒤집어 공포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해소되고 공포로부터 해방된다는 면에서 볼 때, 카니발의 정신인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것과 의미가 상통할 것이다. 저자는 본 연구에서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나타나는 영화의 표현과 플롯이 카니발리즘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Different from visible horror elements that confront the characters directly and do physical harms, invisible horror elements are expressed through suggestion and imagination and their realities are not disclosed. For the disclosure of the realities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they are expressed through the overturned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victim of horror as in 'The Others' or through body snatching as in 'The Happening' and 'Paranormal Activity'. The overturn of relation and body snatching are connected to cannibalism in that the former causes a sudden change of personality and the latter takes the body of others. Cannibalism and the change of personality belong to the formalization and illogic of lower order resulting from cannibalism. The meaning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in films seems to be contradictory to the original meaning of cannibalism, which is entering the sphere of utopian freedom, but considering that the reversed role resolves conflicts and tensions from terror and gives relief from fear, the meaning may be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cannibalism, namely, entering 'the sphere of freedom.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expression and plot of films showing invisible horror elements are related with cannibalism.

      • KCI등재

        경판 〈설인귀전〉 형성에 대하여

        이윤석(Lee Yoonsuk) 동남어문학회 2005 동남어문논집 Vol.19 No.-

        Sol In-gwi chon is a story about a Chinese General, Xue Ren-gui(薛仁貴, 614∼683). The stories about Xue Ren-gui and his family were very popular in China, especially in Ming and Ching dynasty. It was about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e story of Xue Ren-gui was introduced in Korea. At the early stage, some Korean readers who could understand Chinese character might have read this novel in Chinese, but after a while there came out a translated version. And with this translated one, some adapted version was published. The block print versions of the novel with almost the same title and contents were generally abridged from the former version. However, the two copies of block print version Sol In-gwi chon that I have seen - 30 leaves in Paris and 40 leaves in Saint Petersburg - were not the case. They seemed to be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were all adapted version. Although both copies have the same title and story, the words and the phrases were quite different. The reason for this case might be because they were abridged independently from the same adapted version by different publishers.

      • KCI등재

        회화의 복제를 통한 일러스트레이션으로의 변용 연구-육심원과 요시토모 나라를 중심으로

        이윤석 ( Lee Timothy Yoonsuk ),조윤주 ( Cho Youn-j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

        미디어의 발전은 일러스트레이션의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매체예술, 대중예술로서 매체의 제한을 받았던 일러스트레이션이 미디어의 발전을 통해 대중과의 소통의 장을 넓히는 역할을 한 것이다. 회화 또한 페인팅(painting)의 개념인 `그림을 그리는` 의미에서의 회화에서 매체를 이용하는 다양한 표현 형태를 가진 회화로 영역이 확대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회화가 매체를 통해 복제되어지는 과정은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복제`의미와는 다르다.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복제는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방법으로서 매체를 사용한다. 회화가 원본성에 의미를 둔다면 일러스트레이션은 복제를 통해 의미와 가치가 커지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회화가 전략으로서의 복제가 아닌 일러스트레이션의 `복제`의미를 가지고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육심원과 요시토모 나라의 활동이 일러스트레이션의 복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 두 아티스트는 대중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작가의 의도에 따라 매체를 통해 작품을 복제하였다. 이는 매체예술과 대중예술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닮아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그들이 활용하는 대중매체 분석을 통해 일러스트레이션 활용영역에서 그들의 회화콘텐츠가 사용되어진다는 것이 입증하였다. 복제, 소통이라는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을 가진 육심원과 요시토모 나라는 일러스트레이션 활용영역에서 작업 활동을 하므로 그들의 작품이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인식하게 됨을 증명하는 것이다. Media development helped illustration to extend. The development widened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illustration, which had been limited in media arts and public arts. In addition, media influenced painting to expand simple `painting paintings` concept to representation using various media. However, this does not mean `replication` in illustration. Replication in illustration uses media to communicate with public. When painting lays its mean on originality, the mean and value of illustration grow through replica. Recently, such a phenomenon can be found: painting not only strategically replicates but also replicates in the meaning of illustration. Works of Yuk Sim Won and Yoshitomo Nara well displays the illustrative replica. These artists intensely replicated their works to communicate with public. It is similar to the illustration in media art and public art. By analyzing the mass media the artists use, the author demonstrated that their painting contents are used in illustration. As that the artists with replica and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Yuk Sim Won and Yoshitomo Nara, operate in illustration area proves, their works are recognized as illu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