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의 중앙화와 세속화를 통한 개혁: 신명기 12장의 수사비평적 읽기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3

        이 논문은 신명기 12장의 수사비평적 해석을 통해 신 12장은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하나님의 선택된 제의 공동체로 인식하고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율법에 기초를 둔 참된 예배확립을 주창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신 12장은 신명기 법전을 여는 첫 장으로서 하나님의 구원은총에 대한 회고를 역사(1-4장)와 율법수여(6-11장)를 통해 보여주는 앞의 장(1-11장)들과 신명기 법전(12-26장)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과거의 은총을 기억하고, 현재의 율법 준수를 통해, 미래의 은총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근거는 바로 야웨의 선택된 예배공동체로서의 자기 정체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신 12장의 수사학적 연구는 본문이 동심원적 구조를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문은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라는 명령(AA′; 1절, 32절)으로 시작과 끝을 맺고 있으며, 그 사이에 다른 신들에 대한 경고(BB′; 2-3절, 29-31절)가 중심에 나오는 두 가지 예배개혁(4-12절; 13-28절)을 이어주고 있다. 이러한 수사학적 구조는 12장의 핵심내용이 제의의 중앙화(4-12절)와 세속화(13-28절)로 대표되는 예배개혁을 통한 야웨의 주권확립임을 보여준다. The study presents a rhetorical analysis of Deut 12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Deut 12 in its present form of the book of Deuteronomy. First, Deut 12 plays a crucial role to connect the first eleven chapters that recall the works of Yahweh for Israel and the Deuteronomic Law(12-26). Second, as the first chapter of the Law, Deut 12 shows Israelites’self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s ‘cultic/worship community’of Yahweh. The chapter illustrates a chiastic pattern, in which the reform of the worship stands at the center. The reform is made in two directions: Centralization(vv. 4-12) and Secularization(vv. 13-28). Centralization of worship purports the establishment of the authority of Yahweh in the community. Centralization of worship, i.e. worship in the place where God chooses, is peculiar feature of Israelite worship, distinguished from other nations of Canaan. Secularization of worship illustrates worship itself is the practice of the divine will, love of your neighbors and fulfillment of justice. The ultimate goal of the reform through the centralization and secularization of worship is to establish the authority of Yahweh as the sole object of worship.

      • KCI등재

        국제화 시대 에큐메니칼 신학교육을 위한 교과개발 제안

        이영미(Yeong Mee Lee)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9 신학연구 Vol.54 No.-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special one-year program of ecumenical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time of globalization. Globalization challeng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in three ways. It requires a contextual theological thinking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each community. Christianity is no longer the only and central religion but needs to hav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And it calls us to view the world from an ecological theological perspective. Especially, theological education in Asia must reflect its reality, which can be represented by poverty and muti-religiosity. Ecumenical theological education in Asia concerns to raise Asian leaders within Asia, instead of going abroad for study, and to teach theology in Asian context. Traditional curriculum in most Asian seminaries remain in the format of Western seminaries that is based on four-fold division. Suggested ecumenical theological education in this study is one-year special program for those who finished M.Div. program in their own country. In cooperation of Asian faculty and seminaries, this special program focuses on learning Asian contextual theology, utilizing Asian resources. The curriculum is suggested as follows: 〈표 삽입〉

      • KCI등재

        히브리 시의 평행법에 관한 소고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4 신학연구 Vol.46 No.-

        1787년 로버트 로쓰가 히브리 시의 평행법에 관한 연설을 행한 이래로 구약학계에서는 히브리 시의 평행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로쓰가 제시한 평행법의 세 가지 범주-동의적 평행법, 반의적 평행법, 통합적 평행법은 널리 인정되었지만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일치를 이룬 것은 아니었다. 대표적으로 제임스 쿠글은 히브리 평행법은 히브리 시의 독특한 특성이 아니라 산문에서도 나타나며 동의적 평행이 아닌 “A, 그리고 확충된 B”의 관계로 평행구를 이해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br/> 이 소고는 일련의 평행법에 관한 정의와 구분이 자체로는 그 의미가 모호한 본문의 해석을 명확히 해주는 데 어떤 공헌을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사무엘상 18장 7절에 사울과 사울의 군대가 블레셋을 무찌르고 돌아올 때 베들레헴의 여인들이 불렀던 짧은 승전 축가를 한 예로 선택하였다. “사울은 천천이요, 다윗은 만만이라”는 짧은 시구는 시적 형태로 이해할 때는 문법적으로뿐 아니라 의미상으로 동의적 평행을 이룬다. 따라서 이 구절은 사울과 다윗의 비교가 아닌 사울과 그의 군대(다윗은 사울의 군대를 대표하는 자)가 많은 수의 적을 죽이고 승리했음을 찬양하는 노래이다. 사울이 먼저 언급된 것은 그가 왕이라는 주요 직분 때문이며, 천천이 먼저 언급된 것은 천천과 만만이 쌍 말로 천천이 먼저 언급되는 관례 때문이다. 사울과 천천의 결합은 그가 무찌른 적의 수가 적었음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니었다. 반면 이 구절이 산문 형태로 이해할 때는 평행구적 특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이 두 구절은 비교의 의미가 된다.<br/> 결론적으로 평행법은 히브리 시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로 손꼽히며 사무엘상 18:7이 시적으로 이해될 때 두 구절은 동의적 관계로 사울과 그의 군대가 많은 적을 무찌르고 승리한 승전을 축하하는 의미로 이해되지만, 산문으로 이해될 때 히브리 시의 평행법의 특성을 잃어버리고 쿠글이 말한 “A, 그리고 확충된 B”의 의미가 되어 두 구절 사이의 비교의 의미로 변화됨을 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if the recent scholarly debates on parallelism contribute to a clearer understand the meaning of Hebrew poetic lines. 1 Samuel 18 : 7, a famous victory song by Israelites women, is chosen as an example.<br/> The study of parallelism in modern sense began with a famous Latin lecture by Robert Lowth of the Oxford. He explained, “The poetical conformation of the sentences consists chiefly in a certain equality, resemblance, or parallelism between members of each period; so that in two lines things for the most part shall answer to things, and words to words, as if fitted to each other by a kind of rule or measure.” Furthermore, Lowth categorized three types of parallelism : synonymous, antithetic, and synthetic parallelism. In synonymous parallelism, the same sense is expressed in different but equivalent terms (ex. Ps 112 : 1). In antithetic parallelism two lines correspond with one another by an opposition of terms and sentiments. (ex. Prov 10 : 1) In synthetic parallelism, words does not answer to word and sentence to sentence as equivalent or opposit; but there is a correspondence and equality between different propositions in respect of the shape and turn of the whole sentence. (ex. Eccl. 11 : 2) Synthetic parallelism is the loosest of Lowth's categories and received the most criticism. James Kugel, however, rejects the notion of the synonymity of parallel lines and replaces it with the notion of continuity : “A, what's more, B.” Kugel's view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parallel lines. Parallel lines are considered as adding new information, containing an intensification or a progression.<br/> Parallel lines of 1 Samuel 18 : 7 contains two pairs of corresponding terms, one of which is the fixed pair, “thousands//ten-thousand,” that frequently appears in both the Old Testament and the Ancient Near Eastern Text. The word pair is used to refer to a slightly indefinite numerical value, rather than comparing the corresponding terms. Thus the fixed word pair, thousand//ten-thousand, forms the parallel lines synonymous. It explains that the other pair of terms, Saul and David, stands in synonymity. The original intention of women supports this conclusion. Verse 6b explains that the women came out of all the towns of Israel, singing and dancing to meet King Saul, with tambourines, with songs of joy, and with musical instruments. These women came out to meet Saul, not David. Beside, who on earth will insult their own king over a new war hero in the king's return from the battle? <br/> The interpretation of 1 Samuel 18 : 7 confirms that parallelism is seen as a distinctive feature of Hebrew poetry in this line. Kugel's notion of “A, what's more, B,” which seems to be prosaic understanding of lines. Nevertheless, the short poem is placed in the middle of Davidic narrative. As a result, the poetic nuance is faded. It first happens to Saul himself in verse 8. Upon hearing women's victory song, Saul was very angry, because he understood the women ascribed to David ten thousands and to him they ascribed thousands. Saul shifts poetic lines to prose and distorts its original meaning. The functions of the insertion of women's victory into present text are two. First, it blames Saul for his own abominable fate. Second, it introduces David, a young and new war hero, to public. In closing, the poetic lines must be read as a poet not as a prosaic lines.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이영미(Yeong Mee Lee) 혜암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교회 Vol.17 No.-

        이 논문은 성서 속에 이분법적 이성애 규범에서 벗어난 제삼의 성의 젠더 정체성을 지닌 존재를 안드로진과 싸리스, 유누코스를 통해 살펴보고, 성서의 신앙공동체가 성소수자인 고자와 고자로서의 환관을 어떻게 배제 혹은 환대했는지를 탐구하여 성서의 젠더 정의를 살펴보았다. 이 글의 세 가지 논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성서는 남성과 여성만이 아니라 이분법적 이성애 규범에 속하지 않는/못하는 제삼의 성적 주체들(안드로진, 고자, 고자로서의 싸리스와 유누코스 등)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제삼의 성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거나 창조 질서에 어긋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해체시킨다. 둘째 성서 속에 제삼의 성의 존재에 대한 긍정적 묘사는 실제로 존재를 부정당하고 배척당함으로써 상처받은 성서 독자에게 위로와 용기가 된다. 셋째 특정한 젠더에 대한 경전공동체의 태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했다. 성서에는 고자에 대한 신명기 법전과 레위기의 성결 법전의 배타적인 태도(신 23:1과 레 21:16-23)와 고자와 이방인을 종말론적 예배공동체의 주체로 부각시키는 이사야의 포용적인 태도(사 56:3-8)가 나오므로, 해석자는 각 공동체의 제도가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누구에게 이득을 주고 있는지를 물으며 그 의미를 풀어낸 후 현대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이사야의 종말론적 구원 공동체의 비전은 하나님의 긍휼하심(함께 아파하심)과 하나님의 창조의 선함에 초점을 둔 것이고, 모두를 포용하는 이스라엘을 받아들인 것이다. 예수는 포용적이고 재구성된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급진적 꿈을 선포하면서 그 주체로 고자를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방인으로서 세례를 받고 첫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이 고자인 환관이라는 사건은 민족이나, 성, 생식에 관한 제도적 틀이 아니라 오직 복음에 대한 수용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만이 중요한 것임을 보여주는 성서 본문이다. 한국교회는 기존사회의 젠더 규범 자체를 누구를 위한 규범인가를 돌아보고, 여기서 소외된 자들을 정죄하기보다, 현대의 변화된 상황 속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의 성서적 가치를 실현할 새로운 성과 가족의 가치를 제시하는 신학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가 이분법적 이성애 젠더 규범이 하나님의 창조질서가 아니라 인간의 사회제도이며 부권과 재산을 보장하기 위한 남성중심의 사회제도임을 인정할 때 교회가 포용과 환대의 평등공동체로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entities who did not belong to the dualistic gender division based on heterosexuality in the Bible and the attitude of the cannon community toward them. The writer found three categories of people who did not belong to the dualistic gender norm in the Bible. They are androgyne, saris, and eunoucos. The study reaches three conclusions. First, The Bible includes the entity of gender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ualistic gender division into woman and man, or female and male. They can be called gender minorities of the time, and their presence deconstructs the gender norm that treats intersexual persons as abnormal who are against the creation order. Second, the inclusive attitudes of the cannon community toward gender minority in the Bible affects the pride of LGBTIAQ who have experienced exclusion from the modern church. Third, the attitude and policy of the cannon community to the gender minority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ime. The policy of the Bible reflects the institutional response to fulfill the will of God. It can not be an ultimate answer because it might have been changed within historical social contexts, and institutional choices. For example, two texts exclusively stated the third gender(Deut 23:1; Lev 21:16-23). However, there were also cases that introduce inclusive attitude toward gender minorities. Cases include the Israelite community of Isaiah (Isa 56:3-8), Jesus’s vision of the eschatological family (Matt 19:11-12), and the story of Ethiopian eunouch(Acts 8:26-40). In conclusion, Korean protestant churches, especially conservative wings who accuse homosexuality as sin demonstrate against the legislative Process of Discrimination Acts. The church is called to build a loving community that is open to all(Gal 3:28).

      • KCI등재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을 위한 서론적 탐구 - 욥기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을 위한 서론적 탐구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31

          1960-70년대 한국의 억압상황에서 출발한 민중신학은 꾸준히 신학적인 발전을 꾀해 왔다. 그러나 민중신학은 신학의 전거를 민중의 역사, 문화, 그리고 성서에 나타난 민중의 사회전기로 표방하면서도 성서에 나타난 민중의 사회전기와 그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성서 전체를 꿰뚫어 신학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출애굽이나 예언서, 그리고 복음서 등에 한정되어 살펴온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구약성서 전체를 경전적 틀에 따라 그 신학적 의미를 밝히는 민중신학적 구약신학의 정립을 위한 서론적인 탐구를 시도하였다. 또한 민중신학이 민중의 사회전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그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와 민중들의 하나님 고백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다고 보아 이 글에서는 민중신학적 하나님 이해의 심화를 위한 한 실례로 욥의 하나님 이해를 통해 민중신학의 하나님 이해의 지평 확대를 시도해 보았다.   Minjung theology, which had started in Korea during 1960-70, has been theologically developed and became Korean contextual theology. It uses Minjung history, culture, and the Bible for its theological references. Yet, Minjung theology highlights some parts of the Bible such as Exodus, Prophets, and Gospels, but failed in examining the Bible as a whole for seeking Minjung social biography and God"s revelation within it. Thus, the present article presents overture for a Minjung Old Testament Theology that investigates throughout the Bible as a whole. Also Minjung theology tends to focus on social biography of Minjung but has not articulate Minjung"s understanding of G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injung. Here, this article provides Job"s understanding of God as an example study of Minjung understanding of G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사비평(rhetorical criticism)의 이론과 실제 - 이사야 47장을 실례로 -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4 신학연구 Vol.45 No.-

        본 소고는 현대 성서비평 방법의 하나인 수사비평의 문학 구성을 강조하는 수사비평과 설득의 기술로서의 수사비평으로 나뉘어 발전되어 왔음을 이사야 47장을 실례로 들어 소개하고 있다. 전자는 마일렌버그와 그 제자들에 의해, 후자는 여호수아 기타이의 예언서 분석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문학 구성을 강조하는 수사비평은 성서를 세밀히 읽으면서 주어진 본문의 특수성을 밝히며 그 저자의 의도를 명확히 보여주는 장점을 가진 반면 다른 성서비평의 결과들과의 좀더 폭넓은 대화가 필요하다. 다른 한편 설득을 강조하는 수사비평은 수사학의 궁극적 관심인 설득에 초점을 맞추어 수사학적 상황을 분석하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히브리 문학 전통에는 낯선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이론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수사비평은 본문의 문학적 구성과 저자의 의도를 세밀히 살피는 장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수사학적 상황을 역시비평, 전승사비평, 편집비평 등의 기타 성서비평과의 대화를 통해 들추어내어 본문이 당대의 청중에게 설득하려 했던 신학적 논지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해석가가 그 분석을 통해 독자에게 설득하려는 해석학적 논지를 아울러 밝힐 수 있어야 할 것이다. Rhetorical criticism, since James Muilenburg proposed it as a biblical criticism in 1968, has developed in two different, though overlapping, approaches, both of which are rooted in the classical understanding of rhetoric, the art of composition and the art of persuasion. The present article introduces these two approaches with an example of Isaiah 47. The former approach, represented by James Muilenburg, emphasizes the structure of the unit and its literary styles that are employed to reveal the author's thought. The strength of this approach is to clarify the message of the author with a close exegetical reading of the text. The latter approach, represented by Y. Gitay, emphasizes rhetorical situation and adapts Aristotelian theory of classical rhetoric. The merit of this approach is to contextualize the situation of the audience within its own history. Both approaches, however, do not concern d exploring theologic1l meaning for modern readers. Rhetorical criticism, with its ultimate goal of persuasion, needs to dialogue with other biblical criticism and steps forward to proclaiming theological messages to modern readers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