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 변경에 따른 신남방지역 허브항 선정에 관한 연구: 컨테이너 해상운송경로를 중심으로

        이아영 ( Ahyoung Lee ),김동진 ( Dongjin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21 로지스틱스연구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framework for the maritime shipping route to minimize transportation cost from the Busan port to the New Southern Area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shipping companies of Korea according to changing global value chain. This paper was performed using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and data like transportation cost and throughput was collected from web page of shipping company and government organization including Busan port authority. This research showed the different hub port when the mathematical model was applied, but the port of Tanjung Priok became more cost effective than the ports of Singapore in case of round trip. This paper suggest a new approach on New Southern Area which is emerging as a new production base due to changing global value chain by analyzing optimal transportation network through a hub port including fixed cost according to ship size. This research produce empirical outcomes to substantiate necessity of a new maritime shipping network service in order to reduce transportation cost.

      • KCI등재

        신남방지역 허브항 선정을 통한 컨테이너 해상운송경로 연구

        이아영 ( Ahyoung Lee ),김동진 ( Dongjin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21 로지스틱스연구 Vol.29 No.6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optimal routes through a container transshipment hub in the New Southern Area in order to maximize shipping companies’ profit which operates from the ports of Korea origin according to changing global trade environment. This research model was accomplished using linear programming with hub and feeder routes, data was got from online web page of shipping companies, government organizations of each countr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o on. This model suggests that shipping network is influenced by vessel size, fuel price, port loading and unloading charg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port of Singapore became the most effective port in case of round trip. Singapore port has significant great port facilities such as a deep water depth and a large number of cranes which that allow to reduce a operation cost per TEU because a mega container ship could be possible to berth in the port. This results using hub and feeder network would be applied on a real situation, it makes a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use of fuel and allows a more eco-friendly transportation service.

      • 장애인의 사회적 포용(social inclusion)을 위한 독일 연방참여법의 제정과 시사점

        이아영 ( Ahyoung L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0 No.-

        독일 연방정부는 2016년 연방참여법(Das Bundesteilhabegesetz: BTHG)을 제정하여 장애인 정책 및 사회서비스체계 개선을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법을 통하여 장애인 정책 및 서비스 관련 법들(요양법, 사회법전 등)은 UN의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에서 권고된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강화와 사회적 참여를 보장하는 환경을 마련해 나가고자 개정, 수정 및 보완이 되었다. 연방참여법을 통한 개선(개혁) 과정은 2023년까지 계속 될 것이다. 현 2019년 기준으로 계획된 총 4단계 중 2단계(2018년 시행)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UN장애인권리협약에서 강조된 중요한 핵심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제정된 독일 연방참여법의 내용과 그에 따른 중요한 정책적인 변화를 보고자 한다. 또한 이 정책적인 변화가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사회적 참여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독일 연방참여법과 그에 따른 변화 과정들이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장애인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대한민국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신뢰가 노인세대와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이아영(Ahyoung Lee),정순둘(Soondool Chung),김주현(Juhyun Kim),송보가(Boga Song)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6

        본 연구는 세대연대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신뢰가 타 세대에 대한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연령통합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전국의 20~7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뢰는 노인세대에 대한 책임감과 미래세대에대한 책임감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지속 가능한 저출산⋅고령화 시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ust on responsibility for older and future generations and to confirm whether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an online survey of 1,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79 nationwide were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es, it was found that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responsibility for the older generations and respon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In addition,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sustainable era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지원 과정에 대한 맥락-패턴분석

        이아영(Lee, Ahyoung),오혜인(Oh, Hye 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치매노인 등 인지적 제약이 있는 사람들의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당사자의 자기결정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적합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맥락과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 중 인지적 장애의 정도가 심한 발달장애인(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지원과정의 구성요소를 심층인터뷰와 문헌연구를 통해 추출해 낸 뒤, 맥락-패턴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자기결정지원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지원의 네 가지 맥락(지속적 맥락, 관계적 맥락, 내재적 맥락, 원리 및 토대맥락)과 패턴(선호/욕구파악, 정보제공, 선택지제시, 설득 및 심의, 주체적 결정지원, 환류)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보다 실천적인 토대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xt and patterns of interactions i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cognitive limitations, such a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o this end, this study extracted the components of the support process for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intellectual and autistic disabilities) and applied context-pattern analysis to derive the context and pattern of self-determination support.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support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theories such as Deci and Ryan(1985)’s ‘Self-Determination Theory(SDT)’, Wehmeyer(1999)’s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Avery and Stancliffe"s ‘An ecological theory of self-determination’, etc.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materials of five disabled people and five caregivers were used to extract additional components.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were reconstructed by using context-pattern analysis. As a result, four contexts(continuous context, relational context, intrinsic context, principle and foundation) and patterns(understanding preferences and needs, providing information, choice-making, deliberation, subjective decision support, reflux) of self-determination support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re practical basis i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애를 가진 아동의 행복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장애와 아동기 경험의 교차점에서

        안재진(Ahn, Jaejin),이신혜(Lee, Shinhye),이아영(Lee, Ahyoung)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생애주기 상 아동기를 지나고 있으면서 장애인으로서의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는 장애아동들의 ‘행복’에 대한 주관적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개 장애 유형(총 16명)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장애유형별 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 을 활용하여 5개의 핵심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주제는 ‘장애아동들이 생각하는 행복’, ‘비장애아동과 다름없는 일상의 행복요인’,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제약’, ‘주변인들의 인식과 태도’, ‘미래에 대한 준비’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동들은 비장애 아동들과 다르지 않은 일상을 살아가고, 소소한 취미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시험성적과 친구 및 가족과의 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을 경험하고, 주변 사람들의 편견과 부정적 시선으로 인해 상처받은 경험이 있었다. 또한 앞으로 미래를 준비하는데 있어서도 직면할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고민, 희망이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와 실천에 있어 ‘장애를 가진 아동’으로서, 아동기와 장애의 교차성과 개별성에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하고, 장애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체계의 개선 및 장애 인식개선, 아동의 교육참여 및 진로탐색을 위한 지원과 참여권 증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happiness of disabled children at the intersection of their experiences as disabled throughout their childhoo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6 children with 5 types of disabilities, and categorized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five key topic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 Disabl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live daily lives that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children, feel joy in small hobbies, and are affected by test scores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famil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have experienced restrictions in their daily lives due to disabilities, and have been hurt by prejudice and negative views from people around them. Also, in preparing for the future, they showed mixed feelings of fears, worries and hope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an individualiz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section and individuality of childhood and disability in research and practice of disabled children, and proposed the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system,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children 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 KCI우수등재

        치매노인 공공후견 과정의 자기결정지원 요소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치매공공후견인을 위한 「후견사무매뉴얼」분석을 중심으로 -

        오혜인(Oh, Hye In),이아영(Lee, Ah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3

        본 연구는 자기결정 및 의사결정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의 요소들이 치매노인 공공후견 매뉴얼에 실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매칭하고 비교분석하여 매뉴얼 내에 담긴 자기결정에 기반한 의사결정지원의 다양한 맥락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해 낸 12가지의 자기결정지원의 구성요소들이 공공후견 매뉴얼에 최소 1회 이상은 언급됨으로써, 제도가 근본적으로 목표했던 ‘자기결정 지원과 잔존능력 존중’이라는 가치 치향에 어느 정도 형식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 분석틀의 12가지 구성요소 이외에 추가적으로 2가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지지체계와의 관계맺기’, ‘반복적 점검(모니터링)’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각 구성요소에 대한 빈도와 수준은 각 구성요소에 따라 격차가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선호에 대한 반영과 가치이해’와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은 부분 나타났으며, 정보제공과 신뢰하는 후견인, 주체성 관련 내용도 빈번하게 명기되어 있는 것과 달리, ‘외재적동기의 내재화’, ‘결정 이후 결과의 양방향’, ‘결정에 대한 숙고(Deliberation)’, ‘피후견인의 문화 및 배경’ 관련 내용은 상대적으로 빈도수가 적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향후 더욱 정치(精緻)한 후속연구들의 발전을 통해 치매노인 공공후견제도가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잔존능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방향으로의 매뉴얼 개선 및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how elements of various theorie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and decision support are actually implemented in Public Guardianship Manuals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aim is to explore the various contexts of self-determination-based decision support contained within this Manual. The study found that the components of 12 self-determination and decision support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y were mentioned at least once in this Public Guardianship Manual.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system had a somewhat formal structure in its fundamental goal of “self-determination support and respect for its ability to remain”. In addition to the 12 components of the initial framework, two additional components were derived, which were shown as “making relationship with the support system” and “checking (monitoring) repeatably”. The frequency and level for each component have been observed to be highly different for each component. While “reflection and value understanding of preferences”, “Providing information and trusting guardians” and “causal agency” were relatively frequent reference and were important factor. However “internalization of external motivation”, “direction of outcome after decision”, and “deliberation” and “culture and background of guardianship” were relatively infrequent and treated less importantly.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fic follow-up studies calls for th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manuals to ensur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maximize their remaining 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나타난 의사결정 지원요소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영국 의사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05)을 중심으로-

        신진호 ( Shin Jinho ),이아영 ( Lee Ahyou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의사결정지원의 핵심요소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법)을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현실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입법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국 『의사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05)』의 5원칙인 의사능력 존재의 추정, 최대한의 자기결정지원, 현명하지 않음에도 본인의 의사 존중, 본인의 최선의 이익, 필요최소한의 개입을 기준으로 하여 발달장애인법 및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법은 자기결정권 보장에 대한 조항을 둠으로써 원칙적으로 의사능력 존재를 추정하였고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근거조항을 가지고 있었으며, 의사소통지원 조항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전제를 갖추고 있었다. 그럼에도 ‘상당한 이유’로 본인의 의사가 보호자 등에게 대리 혹은 대행될 수 있는 여지를 두고 있었고 그 근거와 판단의 세부기준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의사결정능력의 판단 전 잔존능력 활용을 위한 최대한의 지원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었다. 나아가 ‘본인의 최선의 이익’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당사자의 욕구와 선호를 반영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했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의 대리에 앞서 그 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준 설정의 고민이 필요하다. 둘째,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기결정능력을 논할 수 없으며 개별적인 사안에 기반하여 차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의사결정을 대리하는 경우라도 최선의 이익의 관점에서 당사자의 욕구나 선호가 반영될 수 있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하위입법도 법의 취지를 보장할 수 있도록 정비되어야 한다. 이후 발달장애인법 개정 및 의사결정지원법 제정 과정에서 이러한 함의가 충분하게 다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egislative direction which can realistically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key elements of decision making support factors contained within the Korean law ≪Act on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For this,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and its enforcement decree and enforcement rul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ve key principles of the English law ≪Mental Capacity Act 2005≫.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provided, in principle, a presumption of capacity, as well as a legal foundation for decision-making support through clauses which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also established the premise of decision-making support by including provisions on communication support. However, if ‘reasonable grounds’ exist, the law also allowed room for the person’s intention to be substituted by a guardian or other person’s decision, and the detailed process regarding the supporting evidence and judgment of such reasonable grounds was lacking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maximum support was not afforded to utilize the person’s residual capacity before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person was determined. Furthermore, the desires and preferences of the disabled were not reflected when determining ‘the person’s best interest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siderations have to be made to introduce systematic steps and detailed standards prior to proxy decision making. Second, discussions on the ability to exercise self-determination should not be held without granting sufficient support to make use of the person’s residual capacity, and differentiat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based on individual cases. Third, even in the event of proxy decision making, in order to represent ‘the best interests’ of the person, preceding steps must be taken to reflect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 disabled. Fourth, the spirit of the law should be upheld when enacting any sub-legislation. Hopefu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sufficiently address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f revising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and the enactment of the Decision-Making Support Act.

      • KCI등재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순둘(Soondool Chung),이아영(Ahyoung Lee)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연령통합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세 이상 85세 미만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 인식 중 지역사회 참여환경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가족결속력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지역사회 참여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하여, 가족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안과, 고령친화환경인식, 특히, 지역사회의 참여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in those relationships by regions. To that end,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from adults who are aged 20 to 85 (N=1,200). ANOVA,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bootstrapping mediation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cohesion and one sub-dimension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Also,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small c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ways to increase family cohe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역량적 접근 : 놀이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주옥(JooOk Kim),이아영(AhYoung Lee) 한국장애인재단 2023 장애의 재해석 Vol.2023 No.-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놀 권리의 선택과 기회가 충분히 보장되고 있는지 역량 접근법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의 부모 10인에게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놀이계획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의 7가지 단계에 기반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연역적 주제분석(frame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사결정의 각 단계별로 7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1) 결정사항에 대한 식별: 낮은 목표치와 한정된 놀이로 인한 경험 중심의 결정, 2) 정보수집: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부족한 정보, 3) 대안 식별: 기존의 대안에 대한 묵살과 갈수록 협소해지는 대안, 4) 증거에 대한 검토: 상상할 수 없는 상황, 5) 대안 중에서의 선택: 협소한 부차적 대안과 상황의 유연성 부족, 6) 행동하기: 행동 대신 포기하기, 7) 결정 및 결과 검토: 낮은 목표치지만 그마저도 이루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과 부모는 놀이계획을 세울 때부터 놀이에 대한 목표치를 상당히 낮게 잡을 뿐 아니라 의사결정과정에서 매우 한정적인 선택을 하며, 행동 대신에 포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제도의 개선, 다양한 장애유형에 적합한 편의시설 제공, 장애아동의 놀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사회적 인식 개선, 놀이기구 이용 제한 완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ight to pla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guaranteed through a capability approach.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0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m using a framework analysis method. Seven major themes emerged for each stage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set low goals for play, made limited choices in play decision-making, and gave up instead of taking 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commends improving the convenience system,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convenience facilities suitable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enhancing social awareness, and easing restrictions on the use of ri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