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화교과 교직과정 연구

        이아람찬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1 모드니 예술 Vol.5 No.-

        최근 연극영화학과 외에 뮤지컬, 방송연예, 만화애니메이션 등의 학과에서는 연극영화 교직과 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직과정 설치학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2학년 초 교 직과정이수희망원서를 제출한다. 비록 대학마다 운영규칙은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인 선발기준 은 학업성적과 면접으로 이루어지며, 학업성적은 1․2학년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의 평균성적이 80점 이상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성적과 면접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성적의 고득점 순 으로 선발하며, 대부분 지원자가 많기 때문에 성적순으로 대상자를 선발한다.(이아람찬, 2011: 96) 한편, 2003년 한양대를 시작으로 건국대, 동신대, 성결대, 세종대 교육대학원에는 연극영화교 육전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학부와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설치․운영 되고 있는 영화교과 교직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영화교과 교사양성제도에 대해 접근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 -목원대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이아람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pread of film educ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of film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film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data previously studied. In these previous studies, cinematic texts are us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visual interest and interest in relation to a specific topic. In view of this trend, the paradigm of film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eaching through film and teaching about film.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flow of film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looked at from these two perspectives. As if reflecting this trend, it can be said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meaningful in that both layers of film education appear. If only a specific paradigm is presented, film education loses its balance in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on film and subjects through film appear in a certain ratio. It maintains that balance properly. This is because, beyond the number of subjects, whether the approach presented in each course is through film or about film is clearly distinguished. In addition, it shows a very diverse spectrum of film education, from classes that use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understanding films, and the process of one-person media production. And if the syllabus is presented in more detail, it will be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 KCI등재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 연구

        이아람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4

        The research paper discusses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n South Korea. It highlights the transition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owards a more localized approach, with a focus on increase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provision of region-specific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arting in 2020, efforts were made to establish regional hubs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t the basic administrative level, which includ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These efforts aimed to em- power local communities to design and provide culturally relevant arts education in response to local needs. These initiatives were primari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Arts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While these specific projects were discontinued in 2023, some regional centers have continued to support similar programs to activate community-based cultural and arts education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o engage in the arts. The paper emphasizes that basic unit cultural and arts education occurs at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levels and necessitates collabora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to ensure its sustainability. This approach represents a departure from past practices of one-time educational initiatives. Instead, the focus is on aligning with local demands through a network of support from central, regional, and lo- cal authorities, as outlined in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Ultimately, the direction of basic unit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olicy is to support the develop- ment of an ecosystem for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ese regional hubs can be centered around public institutions like basic cultural foundations or, depending on the region, may be led by private organizations. In essence, the aim is to activate institutional hubs or private hubs that reflect the re- 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s approach can be selective and adapted to the local con- text, but it also requires the development of diverse support policies from central or regional cent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 영화교육과 영화 리터러시

        이아람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씨네포럼 Vol.0 No.32

        This paper explores new trends in school film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scope of film literacy. This means that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chool film education can be more clearly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of school film education and explains the concept of film literacy in relation to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For example, the cases such as the Culture Arts Education Support Act,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Draf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free-learning semester system, and the Seoul cooperation arts activities. Until the 2000s, cinematic literacy was perceived as education about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video texts including movies, and the contents of actual production education were not explicitly addressed. However, film literacy involves not only staying in the area of appreciation but also making a movie. In other words, film literacy includes not only viewing and listening but also realistically producing movies and other images. Here, film literacy emphasizes active communication through filmmaking, and it includes active film-based film production as an active acceptance process. 본 논문은 영화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살펴봄으로써 학교영화교육의 새로운 경향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학교 영화교육의의미와 필요성이 보다 명확하게 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영화교육의 법․제도적 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영화리터러시의 개념에 대해 다른 리터러시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미디어교육지원법(안), 고교학점제, 자유학기학년제, 서울시교육청 협력종합예술활동,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교육 중점학교 등의 사례를 통해 학교 영화교육의 위치를 자리 매김하고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처럼 2000년대까지만 해도 시네리터러시는 영화를 비롯한 영상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감상에 대한 교육으로 인식되었으며, 실제 제작 교육에 대한 내용은 명확하게 다루지는 않았다. 하지만 영화 리터러시는 영화를 보고 감상하는 이해 영역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단계까지 포함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영화 리터러시는 보고 감상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영화나 기타 영상을 제작하는 영역까지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영화 리터러시는 영화 제작을 통한 적극적인 소통을 강조하는 것으로 능동적인 수용 과정으로 영화를 중심으로한 영상 창작을 포함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대전 영상산업 특성화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이아람찬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2 지식과 교양 Vol.- No.9

        본 연구는 대전 영상산업 특성화 방향성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대전의 영상산업의 규모, 소비 형태나 경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전 영상산업 특성화는 스튜디오 큐브와 융복합 특수영상 클러스터 조성으로 큰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기존 완공된 스튜디오 큐브의 활성화와 현재 진행 중인 특수영상 클러스터의 조합은 대전 영상산업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스튜디오 큐브를 잇는 영상산업 융합 콘텐츠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 영화, 방송, 콘텐츠 등 영상 미디어 산업은 일찍부터 클러스터를 유지하고 있다. 클러스터는 일정 지역 내에서 단위 네트워크를 이뤄 지식 공유 장비 공유 및 공동 마케팅 등의 생산과 유통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클러스터를 통해 전문 인력 및 지식의 원활한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대전 영상사업은 이러한 제작·지원 시스템만으로는 절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는 다양한 영상문화의 활발한 움직임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가시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영상산업의 발전과 함께 지역 주민을 위한 영상문화 확산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 -목원대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이아람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2 대학교양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영화교육의 확산 형태 를 확인하는 데 있다 .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된 자료를 통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역할을 확인하고 ,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영화적 텍스트를 특 정 주제와 관련해서 시각적 흥 미와 관심을 유동하는 기 폭 제로 사용하고 있다 . 이러한 흐름을 보았을 때 , 영화교육의 패 러 다임은 크 게 영화를 통한 교육과 영화에 대한 교육으로 구분 될 수 있다 . 이러한 구분에 따 라 , 목원대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의 흐름도 이 두 가지 관 점 으로 살펴 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 듯 목원대 교양교육은 영화교육의 두 층 위가 모 두 나타나는 데 유의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 특 정 패 러다임만 제시된다 면 교양교육에서 영화교육은 그 균 형 을 잃 게 된다 . 영화에 대한 교과목과 영화를 통한 교과목이 일정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 며 . 그 균형 성을 적 절 하게 유지하고 있다 . 교과목의 수를 넘 어서 각 강 좌 에서 제시된 접 근 방법이 영화를 통한 것인지 , 또 는 영화에 대한 것이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 문이다 . 그리고 각 교과목의 성 격 과 연결 지어 영화를 활용하는 수업에서부 터 , 영화에 대한 이해 , 1 인 미디 어를 제작하는 과정까지 매 우 다양한 영화교육의 스 펙 트 럼 을 보여주고 있다 .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강의계 획 서가 제시된다 면 해 당 강 좌 의 특징 을 이해하는 데 더 많 은 도움이 될 것 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pread of film educ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of film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film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data previously studied. In these previous studies, cinematic texts are us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visual interest and interest in relation to a specific topic. In view of this trend, the paradigm of film educ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eaching through film and teaching about film.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flow of film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looked at from these two perspectives. As if reflecting this trend, it can be said that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Mokwon University is meaningful in that both layers of film education appear. If only a specific paradigm is presented, film education loses its balance in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on film and subjects through film appear in a certain ratio. It maintains that balance properly. This is because, beyond the number of subjects, whether the approach presented in each course is through film or about film is clearly distinguished. In addition, it shows a very diverse spectrum of film education, from classes that use films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understanding films, and the process of one-person media production. And if the syllabus is presented in more detail, it will be mo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

      • KCI등재

        Masculine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Cinema

        이아람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A number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films are dominated by the image of male heroism. On the contrary, women are marginalised and absent from the narrative in those film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masculinity in relation to trauma theory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cinema. In so doing, it illustrates to male protagonists are suffering from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 other words, this hysterical masculinity shows the masculine crisis. I draw to a close by mentioning the answers that I explore by discussing this study which is male hysteria in popular South Korean cinema. I conclude what I examine the dynamics of this traumatic masculinity throughout this paper begin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trauma, and the unique situation of social contexts that has surrounded films since the late 1990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 have limited the discussion to films since that period. Then, I suggest that contemporary South Korean cinema focuses on masculinity, especially traumatic masculi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