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왕희지서 집자비(集字碑) <대당삼장성교서(大唐三藏聖敎序)>의 서예사적 가치

        이승연 ( Lee Seoung-y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2 No.-

        서예사에서 집자비의 형식이 탄생한 것은 당대의 《대당삼장성교서》가 처음이다. 이는 당태종 이세민(599-649)의 역작으로, 동진시대의 서예가인 왕희지(303-361)를 서성(書聖)으로 추앙하면서 흠모하여 서풍을 유행시켰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당시 당태종은 왕희지 서체의 애호가로, 재위기간동안 왕희지가 사용했던 문방사보와 묵적을 집중적으로 수집하였고, 특히 욍희지의 묵적 중 수작으로 꼽히는 <난정서(蘭亭敍)>를 손에 넣은 후에는 당시 최고의 명필가였던 구양순·우세남·저수량에게 임서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임서본을 다시 조모·한도정·풍승소·제갈정 등에게 모사하게 하여 여러 임모본을 남기게 함과 동시에 서예진흥정책을 수립하여 서예발전에 큰 공헌을 이루었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왕희지의 여러 묵적들은 대부분 이러한 임모 과정을 거치거나 번각한 자료들이 대부분인데, 유일하게 진적(眞跡)으로 평가되고 있는 자료로는 왕희지 행서 집자비인 《대당삼장성교서》이므로 그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이 묵적은 통칭 《집자성교서(集字聖敎序)》또는 《집왕성교서(集王聖敎序)》로도 불리우고 있는데, 여기서 ‘집자’란 왕희지의 모든 행서 진적중에서 개개의 글자를 모아서 만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성교서’는 태종문황제제(太宗文皇帝製)의 성교서를 뜻함이나 여기에는 당시 황태자였던 고종의 「술삼장성기(述三藏聖記)」, 삼장법사의 신역에 의한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등 세 가지 문장을 함께 모아 각(刻)한 것을 말한다. 이 집자비는 당태종이 648년(정관 22년) 현장법사가 여러 불경을 번역한 후 서문을 청하자 서(序)를 지었고, 후에 그의 아들인 고종 이치(李治,628-683)가 기(記)를 지었는데, 이를 홍복사(弘福寺) 사문(沙門)이였던 회인(懷仁)이 칙허(勅許)를 얻어 궁중에 소장된 왕희지 서적(書蹟)에서 행서자료를 일일이 찾아 대조하면서 비문의 집자에 착수한지 24년이 지난 고종 때인 672년(함향 咸享3년)에 세워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 비는 왕희지의 행서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묵적으로 모두 1904자로 되어 있으며, 집자하는 방법은 당시 궁궐에 소장하고 있던 왕희지 진적 중에서 동형(同型)의 행서(行書)를 모아 혹은 편방(偏旁)을 맞추고, 혹은 해체(解體)한 점과 획을 조합하였으며, 문자의 대소와 부족한 문자를 동일하게 축소 및 확대하거나 하였으며, 없는 글자는 편과 방을 모아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집자형식은 당 이전에는 없었던 방식으로, 집자비의 효시가 되었으며, 중국과 한국에서도 유명한 명필들의 필적을 자본(字本)으로 한 집자비가 유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통일신라시대에는 3기의 왕희지집자비가 세워짐과 동시에 왕희지서풍의 유행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에 이르러서는 임서본 출판으로 확산되었고, 현재에도 행서 연마의 중요한 법첩이 되고 있다. 《DaedangsamjangSeonggyoseo(大唐三藏聖敎序)》of the Tang Dynasty was the first time that the form of the Jipjabi was made in calligraphic history. This is a masterpiece by emperor Taizong of Tang, Lee Se-min (599~649) , and it was the result of his admiration for Wang Hui-ji (303~361), a calligrapher of the Dongjin period, as a saint, and thus popularized his calligraphy style. At that time, emperor Taizong of Tang, who was a lover of Wang Hui-ji's calligraphy style, concentrated on collecting four treasures of the study and mukjeok used by Wang Hui-ji during his reign, and after obtaining < Nanjeongseo(蘭亭敍) >,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best works of Wang Hui-ji's mukjeok, he ordered Gu Yang-sun, Woo Se-nam, and Jeo Su-ryang, who were the best calligraphers of the time, to copy this. In addition, this copied < Nanjeongseo > was copied again by Jo Mo, Han Do-jeong, Pung Seung-so, Jegal-Jeong, etc. to leave several cop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alligraphy promotion policy was establish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However, most of the remaining mukjeok of Wang Hui-ji have undergone these copying process or reproduced, and the only material that is regarded as real artwork is 《DaedangsamjangSeonggyoseo》which is a Jipjabi of Wang Hui-ji's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so its value is very high. This mukjeok is commonly called 《Jipja Seonggyoseo(集字聖敎序)》or 《JipwangSeonggyoseo(集王聖敎序)》where "Jipja" is named because it is a collection of individual characters from all the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artworks of Wang Hui-ji, and "Seonggyoseo" refers to the Seonggyoseo of Taejongmun-Hwangjeje(太宗文皇帝製), but here refers to three sentences together "Sulsamjangsungi(述三藏聖記)" of King Gojong, who was the crown prince at the time, and "Prajnaparamita hridaya Sutra(般若波羅蜜多)" which was newly translated by Samzang Monk and etc. In 648 (the 22nd year of Jeonggwan), when monk ‘Hyun-jang’ asked for the preface after translating several Buddhist scriptures, emperor Taizong of Tang built preface, and his son, King Gojong, Lee-chi(628~683) later built gi(記). In 672 years(the 3rd year of Hamhyung) in King Gojong’s reign, Jipjabi was built after a Buddhist monk ‘Hoe-In’ in Hongboksa Temple started collecting letters of epigraph comparing every records of Wang Hui-ji in court after he got permission. This monument is a representative mukjeok of 1904 characters that shows Wang Hui-ji's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It was made collecting same type of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in Wang Hui-ji’s real artwork, matching pyeonbang, combining disassembled dots and strokes, reducing or enlarging letters, and creating missing characters collecting pyeon and bang. This style of collecting letters has not existed before the Tang Dynasty, and it has become the first in Jipjabi, and Jipjabi with writings of famous calligraphersbecame popular in China and Korea.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ree Wang Hui-ji Jipjabi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ng Hui-ji’s calligraphy style became popular at the same time, and the publication of the copied book was widespread in Goryeo and Joseon, and it became an important copybook printed from the works of old masters of calligraphy for practicing semicursive calligraphy style.

      • KCI등재

        동국진체의 호남 서맥 형성과 전개 - 남도서맥을 중심으로 -

        이승연 ( Lee Seoung-y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한국서예사에서 동국진체가 형성되어 전개되었던 17~19C는 매우 중요 한 업적을 남긴 시대로 평가되고 있다. 이 시기는 조선성리학에 의해 싹트기 시작한 민족적 자아의식을 바탕으로 가장 한국적인 서풍이 풍미한 시대로, 특히 옥동 이서(玉洞 李?, 1662~1723)에 의해 조선화된 송설체와 석봉 체에 북송 미불(米?, 1051~1107)의 서법을 부분적으로 가미한 서풍이 탄생 하여 `동국진체`라고 명명(命名)되기에 이르렀다. 이 서체가 호남서맥을 형성하여 전개하기 시작한 시점은 옥동과 절친이였던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가 해남지방으로 낙향하여 정착 하면서부터이며, 원교 이광사(圓嶠 李匡師, 1705~1777)가 신지도로 유배를 오면서 호남서단의 뿌리가 되었다. 공재는 이러한 서체를 가학으로 전승하게 하여 그의 아들 낙서 윤덕희(洛西 尹德熙, 1685~1766)를 중심으로 한 해 남윤씨 문중에 동국진체의 서맥을 잇게 했으며, 원교는 신지도에서 16년간의 유배생활을 하면서 아들 연려실 이긍익(燃藜實 李肯翊, 1736~1806)·신재 이영익(信齋 李令翊, 1740~1780), 딸 이주애(李珠愛, ?~?)를 비롯한 후손 들과 신지도 주변의 문인, 스님들에게 직접적인 지도를 하게 되므로써 문중과 사문을 통해 급속히 전파되었다. 전라남도에서는 해사 김성근(海士 金聲根, 1835∼1919)·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 1798~1879)·설주 송운회(雪舟 宋運會, 1874~1965)를 거쳐 전수되면서 남도의 동부와 서부에서 동시에 서맥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전라북도에서는 창암 이삼만(蒼巖 李三晩, 1770~1847) 이 원교를 사숙하며 그 맥을 이어나가 창암체를 탄생시킴과 동시에 기산 모수명(箕山 牟受明, ?-?)·호산 서홍순(湖山 徐弘淳, 1798-1876)·우운 서정민 (又雲 徐廷珉, 1875~1959)에게 계승되면서 동국진체의 흐름은 호남에서 면면히 이어지게 되었다. 이후 호남지방의 서예는 동국진체를 모태로 하여 여러 서예가들에 의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호남지방의 상징적인 서 체를 만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The 17th to 19th centuries, when DongGuk JinChe was formed and spread out, are recognized as the era of the greatest achievement in calligraphy history. This era was overwhelmed by the most Korean styled handwriting based on the budding national self-consciousness by the virtue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new stream of writing was made partially adding the writing style of northern Song MiBul(米?, 1051~1107) on Joseonized SongSeolChe and SeokBongChe by OkDong LeeSeo(玉洞 李?, 1662~1723) and finally it was called `DongGuk JinChe`. The time this style of writing made stream of writing in Honam is when GongJae Yoon Du-Seo (恭齋 尹斗緖, 1668~1715), who was a best friend with Ok Dong retired to Haenam region. And this style of writing became the root of Honam calligraphy after WonGyo Lee Gwang-Sa (圓嶠 李匡師, 1705~1777) exiled to Shin-Ji Island. GongJae handed down this stream of writing as family study and let the lineage of Haenam Yoon centered on his son NakSeo Yoon Deok-Hee (洛西 尹德熙, 1685~1766) to carry on the stream of writing of DongGuk JinChe. And WonGyo handed down the stream of writing of DongGuk JinChe during his 16 years of exile in Shin-Ji island by directly teaching to descendants, writers around Shin-Ji island, monks including his son Yeon Ryo-Shil Lee Geung-Ik (燃藜實 李肯翊, 1736~1806)·Shin-Jae Lee Young-Ik (信齋 李令翊, 1740~1780) and his daughter Lee Joo-Aae (李珠愛, ?~?). In Jeollanamdo, The stream of writing of DongGuk JinChe was pass through Hae-Sa Kim Seong-Geun (海士 金聲根, 1835∼1919)·No-Sa Gi jeong-Jin (蘆沙 奇正鎭, 1798~1879)·Seol-Ju Song Woon-Hwae (雪舟 宋運會, 1874~1965). Therefore, DongGuk JinChe formed stream of writing both western and eastern part of Jeollanamdo at the same time. In Jeollabukdo, Chang-Am Lee Sam-Man (蒼巖 李三晩, 1770~1847) admired relationship again and made ChangAmChe and also led the stream to Gi-San Mo Su-Myung (箕山 牟受明, ?-?)·Ho-San Seo Hong-Sun (湖山 徐弘淳, 1798-1876)· Woo-Woon Seo Jeong-Min (又雲 徐廷珉, 1875~1959) at the same time. After that, Calligraphy of Honam region born in DongGuk JinChe developed consecutively and served as a momentum to make symbolic writing style of Honam region passing stage of the center to solidification.

      • KCI등재후보

        篆刻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예술성 연구

        이승연(Lee, Seoung-yeon)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7 No.-

        전각은 印材에 문자나 肖形을 새기거나 주조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였던 예술장르로, 원시사회에서는 陶器에 장인의 人名이나 기하학적인 문양 등을 찍거나 새기면서 실용적인 의미로 사용되다가, 국가 체계가 갖추어진 三代이후에는 신분을 증빙하기 위한 信標의 상징이 되어 官.私印으로 쓰였으며, 더 나아가 장식용 및 呪術的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전각은 명서가가 印文을 쓰고, 장인이 金.銀.銅.玉.象牙 등에 새기어 유형별로 시대적 특징을 나타내다가, 元末에 석인재의 개발로 문인들이 스스로 印文을 쓰고 自刻을 하게 되면서 문인정신에 입각한 전각세계가 구축되어 寫意 전각의 영역이 확대되었고, 淸代에 이르러서는 독자적인 예술체계를 갖추게 되어 순수한 예술장르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용도의 변천에 따라 시대별로 전각의 형태와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예술적 특성도 각각 다르게 표현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형별 특성이 강한 古鈢.官印.急就章.封泥.花押印.閑章印 등을 선별하여 그 특징과 예술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전각의 예술성을 고찰함은 일반적인 관청에서 사용하는 官印, 개인적 용도로 쓰고 있는 私印, 건축물의 와당, 전돌 등의 쓰임에서 더 격조 높은 표현을 하게 할 수 있으며, 고대인들의 사상과 심미의식의 고찰은 전각에 대한 높은 인식의 전환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전각가들은 當代의 시대의식을 담아 현대인들의 공감대를 널리 형성할 수 있는 독창적인 작품을 창출해 낼 수가 있을 것이다. As an art of the category of calligraphy, seal engrav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sculpture, because the characters or miniatures are engraved or founded on the seal materials. And also its use was very various. In the primitive society, the maker of chinaware engraved or sealed his name or geometrical patterns on it. Since the period of the The Kingdoms equipped the national system, the official seals and the private seals appeared in large numbers as a token to identify themselves. Those seals were made for charms or accessories. The seal engraving of that time was that a famous calligrapher wrote the characters and then craftsman engraved them on the seal materials like as gold, silver, copper, jade and ivory, etc. But at the close of the Yuan(元) dynasty, literary men wrote the characters on the seal and engraved seals by themselves with the development of seal materials. In consequence, the world of seal engraving which was based on the mind of literary men was built, and the desire for seal engraving was spreaded. In result, the seal engraving formed the peculiar system of art and then it was classed as a genre of pure art in the age of Ming(明) and Ching(淸). With the changes in use, styles and contents of seal engraving appeared diversely. In this research, I'd like to classify styles of seal engraving with the changes of time by the old seal(古鈢), the official seals(官印), Geupchijang (急就章),Bongni(封泥), Hwaabin(花押印), Hanjangin(閑章印), and I tried to consider their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characters. Through the research, we can express the noble style in the general official seals, the private seals, the patterns on the roofing tile, the characters of roofing tile, and bricks. And also we can analogize the life of ancient people and their aesthetic senses to bring the changeover of recognition for the seal engraving. More and more, engravers will be able to make the better works contained the spirit of the times to arise the sympathy of modern people.

      • KCI등재후보

        황기 부탄을 분획물이 생위의 세포성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정훈(Joung Hoon Kim),문연자(Yeon Ja Mun),이성원(Sung Won Lee),이승연(Seoung Yon Lee),박정숙(Joung Suk Park),우원홍(Won Hong Woo) 大韓藥學會 2002 약학회지 Vol.46 No.1

        Effects of the butanol fraction of Astragali Radix (BFAR) on the cellular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were investigated in ICR mic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BFAR at doses of 5,25 and 125 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to mice daily for 3 weeks, and the normal animals were given vehi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ve weight of thymus was greatly increased by BFAR treatment,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mice. However, the body weight gain was not affected.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reaction to sheep red blood cells (SRBC) for cellular immunity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BfAR treatment, compared with those in normal mice. In these mice, BFAR also dose-dependently increased activities of phagocyte and natural killer (NK) cells as well as the number of leukocyte resulted from nonspecific immunity,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BFAR treatment results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cellular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to antigen in concentrations that enhance humoral immune function.

      • 문화재 천연기념물 희귀식물과 관련된 용어의 개념 분석과 정립

        노선호 ( Sun-ho Noh ),정진석 ( Jin-suk Chung ),이수인 ( Su-in Lee ),이승연 ( Seoung-yeon Lee ),장래하 ( Rae-ha Jang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천연기념물 희귀식물은 문화재이다. 천연기념물 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우리 민족의 얼과 생활 등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식물학적 희소성 뿐만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복합된 우리 민족의 자연유산으로서 매우 다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희귀식물이란 용어는 다양한 자연유산이 갖는 그 가치를 포괄적으로 담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의 천연기념물 지정 추세 및 자연유산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변화 등 시대적 변화상을 담기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천연기념물 식물의 관리를 위하여 나뉘어진유형 중 하나로 분류되는 희귀식물(rare plant)이라는 용어는 자연적 분포의 희소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류된 한 유형으로 오해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재가 가지는 역사적, 경관적, 지역적 가치를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용어적접근과 개선과 검토가 필요하다. 위와 같이 자연유산이 갖는 다양한 가치 즉, 학술적인 가치 뿐만 아니라 문화재인 식물이 갖는 역사적, 경관적, 지역적 가치를 내포하기 위하여 희귀식물이라는 용어는 천연기념물 식물 하나의 유형으로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개념 검토는 천연기념물 식물의 범위 확대 등을 위하여 역사적으로 인간의 활동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다양한 식물의 가치를 포함하고 제시하는데 우선적인 과정이다. 그 개념의 속성으로 문화재로서의 가치요소로 중요한 5가지요소-자연성(경관성), 대표성(상징성), 특수성(진귀성), 역사성, 유용성을 기준으로 이와 관련성이 높은 희귀식물(rare plant), 민속식물(traditional plant), 특산식물(endemic plant), 진귀식물(rare valued-plant) 용어를 검토해 보았다. 그결과 5가지 기준에서 모두 그 관련성이 높은 개념요소는 특산이나 진귀하다이었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희귀성은 자연성이나 대표성은 높으나 나머지 항목들은 낮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문화재로서의 희귀식물은 ‘진귀식물’ 또는 ‘특산식물’로 용어의 변경이 필요하고, 식물의 특성 중 유용성의 부분이 뚜렷하게 강조되는 식물의 경우에는 유용식물(useful plant)로 명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용어사용은 보고서 5장의 대상지별평가결과의 문화재적 가치특성과 일치되는 것이다. 즉 앞으로는 천연기념물 대상지별 문화재적 가치(특성)에 따라 고유식물, 진귀식물, 유용식물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특산식물, 진귀식물, 유용식물은 대표성, 유용성 외에 역사성, 경관성 등의 다양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용어를 유형 분류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하다. 현재 천연기념물 식물을 분류하고 있는 ‘노거수, 수림지, 마을숲, 자생지, 분포한계지, 희귀식물’의 유형 분류 또한 각 유형의 위계가 맞지 않고, 중복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크기를 고려하여(개체->종->군락) ‘노거수(개체)-종지정식물(종)-수림지(군락)’등으로 대상의 범위와 크기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다만 수림지라는 용어는 학문적인 배경이 부족하고 용어가 낮설으므로 좀더 학술적이고, 일반인이 쉬운 용어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일본과 같이 ‘겉씨식물-속씨식물-선태류-지의류’ 등의 식물의 분류학적 분류군의 특성만을 고려하는 체계는 현재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과는 거리가 너무 멀으나 종지정식물만이라면 이와 같은 분류체계로 좀 더 자세히분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천연기념물 식물 중 하나의 유형으로 쓰이고 있는 ‘희귀식물’이란 유형 분류는 그 성격에 따라 군락(수림지), 종지정식물 등으로 새롭게 유형으로 분류하고, 세분화된 유형 분류 또는 지정조사 시에는 ‘진귀식물, 특산식물, 유용식물’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천연기념물 식물이 가지는 자연문화유산적 가치를 증대시키고 국민에게도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호텔의 감각마케팅이 브랜드 개성, 소비자 가치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우(Tae-Woo Kim),권한조(Han-Jo Kwon),이승연(Seoung-Yeon Lee)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5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on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hotel sensory marketing leading to brand loyalty through the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 value formed by consumers.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pril 2020 among visitors of five five-star hotels in Seoul and Incheon. Correla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hypothesis test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Findings - Hypothesis 1, the hypothesis that sensory market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personality was partially accepted. Hypothesis 2, that brand person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value, was partially accepted. Finally,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3, it was found that consumer valu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and was adopted. Research Implications - In order for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the hotel industr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five sense elements of sensory marketing are a very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 that can eventually lead to loyal customers, and maximize the sensory stimulation that can be produced and provided to customers in the hotel spa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brand loyalty by helping customers form a brand personality that can express individuality, and by improving consumer value that can further increase hotel occup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