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 가구빈곤의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이순아(Soon-A Lee)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본 연구는 빈곤 결정의 다차원성에 주목하여 한국사회 가구빈곤의 결정요인을 미시와 거시수준으로 구분한 통합모델을 구축하고, 이들 각각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시수준 요인으로는 가구주의 성별과 학력, 취업상태, 가구유형 등 개인 및 가구 단위의 특성들을, 거시수준 요인들로는 한국사회 전반의 경제와 분배, 노동시장 상황과 인구구조 등을 반영하는 지표들을 상정하여 각각의 독립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1990년부터 2011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와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하는 제반 사회지표들의 시계열 자료를 병합하여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상대빈곤이 상당히 심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빈곤의 심화에는 경제성장의 둔화, 소득불평등의 심화, 노동시장 상황의 악화 등 제반 거시적 사회환경의 변화가 일련의 배경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미시자료의 분석결과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빈곤층에서 개인 및 가구의 취약한 특성의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층분석결과 한국사회의 가구빈곤에는 취약한 개인 및 가구특성 뿐 아니라 개인들이 통제하기 어려운 제반 거시적 사회환경 측면들에 의해 주요하게 결정되고 있음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 완화를 위해 미시적 측면에만 초점을 둔 정책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사회환경 및 구조 개선과 같은 거시적 측면을 포괄하는 적극적 대응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income poverty in South of Korea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micro level and macro level. Micro-leve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household such as householder’s gender,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family type, etc. and macro-level facto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such as economic growth, income inequality, labor market conditions, population composition and etc. The source data are the merged longitudinal data derived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and various social indicators of Korea provided by the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rom 1990 to 2011. And the study utilized a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HGLM) to simultaneously analyze micro level and macro level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poverty status of a househol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poverty is getting wors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late 1990s in South Korea. Changes in the macro-social environment such as slowdown the economic growth, worsening the income inequality, and deterioration the labor market conditions, etc.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closely related to the deepening of poverty.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 micro-data, retention of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poor as in the previous studies. Finally, household poverty in South Korea that is determined by the overall macro-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s difficult to be controlled by the individuals, as well as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Consequentl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due to the results mentioned in the above. Poverty policies should move away from the approach focusing only on the microscopic side to the macro inclusive and active approach accompanying th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improvements.

      • KCI등재
      • KCI등재

        프랜차이즈 분식점의 브랜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이순아(Soon-A Lee),강희석(Hee-Seog Kang),이상묵(Sang-Mook Lee) 한국조리학회 2017 한국조리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로서 프랜차이즈 분식점 브랜드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선택속성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효율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함으로 발전적인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이 인지하는 프랜차이즈 분식점들의 선택속성은 총 25의 문항들은 총 3개의 요인으로(음식의 품질, 직원들의 서비스, 물리적 환경)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용동기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석(ANOVA)를 실시하여 Duncan을 통하여 사후분석하였고, 다차원척도법(MDS)을 통하여 브랜드 유사성, 선택속성과 브랜드 선호도를 검증하였다. 아딸은 음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 속성에서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봉구스 밥버거는 서비스와 물리적 환경, 고봉민 김밥은 음식과 물리적 환경속성이 평균보다 높았다. 김밥천국은 음식,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세 요인 모두에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5개의 프랜차이즈 분식점에 대한 유용한 경쟁관계를 나타내는 포지셔닝 맵과 실용적인 제안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five franchise snack bars to creat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the competitiv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by grasping selection properties that satisfy customers. Discriminant Analysis was utilized to suggest methodological frameworks, and the results show three factors (food quality, employees’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were extracted that contains twenty five question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if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Franchise snack bars, and post hoc comparisons were conducted using the Duncan method. In addition,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as used to measure brand similarity, selection attributes, and brand preferen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ddal had the highest scores on average in all three factors (food quality, employees’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Bong-Gus Babberger had two higher scored factors (employees’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than the average, and Gobongmin kimbab had also two higher scored factors (food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than the average. Kimbab chunguk appeared to have lower scores than the average in all three factors (food quality, employees’s service, and physical enviro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useful positioning map of competitiveness among five brands and offer practical marketing proposals.

      • KCI등재

        물질적 결핍과 노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종단연구

        이순아 ( Soon A Lee ),이상록 ( Sang Rok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노인들이 경험하는 제반 생활상의 물질적 결핍의 양상과 그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 물질적 결핍의 경험과 노인의 정신건강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에는 3차부터 9차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일반화추정방정식(GEE) 모형을 주요한 분석기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음식과 필수재, 주거와 의료 영역의 11개 항목 중 한 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물질적 결핍을 경험하는 노인의 비율이 매년 12~2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질적 결핍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경험한 집단의 정신건강이 양호하지 못하였으며, 두 가지 이상의 중복 결핍을 경험한 집단은 정신건강 상태가 더욱 좋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득수준을 비롯하여 여타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물질적 결핍은 주요하게 노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영역의 결핍 중 음식 영역의 결핍(불안정한 식생활)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이었으며, 결핍 경험의 수가 늘어날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은 더욱 유의하게 나빠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 대상의 빈곤정책 개선과 정신건강 수준의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material hardship for older peopl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hardship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are from the 3 to 9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And we utilized a major analysis methods of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GEE)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2 to 22 percent of the elderly experience one or more material hardship in food, utility, housing, medical area. Next, mental health of olde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material hardship was poor.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two or more overlapping material hardships was even more poorly. Finally, in the other socio-economic factors in controlled conditions, material hardship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food insecur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than other areas of material hardship.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material hardships were worse the mental health of old peopl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have proposed plans for improving anti-poverty policies and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상록 ( Sang Rok Lee ),이순아 ( Soon A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 및 가구 소득원들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한 연구로, 이를 통해 노인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는 가구소득 수준의 제고 뿐 아니라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 구성에 대해서도 정책적 주목이 요청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에는 소득원별 가구소득 및 개별 가구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한국복지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결과에서는 근로/사업/재산소득 의존형 35.7%,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41.9%, 사회보험/수당소득 의존형 13.5%, 공공부조소득 의존형 8.8%로 나타나, 노인가구의 소득구성은 동질적이지 않고 내적 편차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가구소득 유형의 차이에는 노인들의 개인 및 가구 특성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이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의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우울 및 자아존중감이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여 가구소득 유형 및 주요 소득원들의 실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특정 가구소득 유형(공공부조소득 의존형,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및 특정 소득원들(공공부조소득,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이 노인들에게서 중요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노후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노후소득보장체계 개선 시 적극 고려되어야 할 바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s and self-respect of the old aged. Although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are supposed to be important to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as well as income level, there have been little policy interests to them.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hold income types & sources and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using the 8th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the household income sources composition among the old aged, and that types of household income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and family features of the old aged.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household income types are associated with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of the old aged. And, we find that some income sources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old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policy attentions to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the household income sources so as to increase the adequacy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aged in Korea.

      • KCI등재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상록 ( Sang Rok Lee ),이순아 ( Soon A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4

        빈곤에는 인적자본 및 가족구조 등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성과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의 심리사회적 측면이 빈곤지위의 결정 및 이의 변화에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정신건강 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신건강 요인과 빈곤지위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층과 비빈곤층의 정신건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빈곤층 내부에서 도 빈곤이 심각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과 정신건강의 부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탈출 집단과 빈곤지속 집단의 정신건강 수준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경험 양상은 정신건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정신건강수준이 양호하지 못할수록 빈곤 경험율 및 빈곤지속의 경험이 높고, 빈곤경험기간도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빈곤 탈출율은 낮은 반면 빈곤 지속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타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모델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및 빈곤지위 변화에의 주요 결정 요인의 하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빈곤지위 및 이의 변화에 정신건강의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결핍에 대한 지원에만 치중된 정책적 접근에서 벗어나 빈곤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및 지원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시사하여 준다. The powerful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decades in the Western Countries. Despite growing poverty studies,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the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mental health in Korea.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In this study we draw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o estim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respects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there are mental health disparities between poor and non-poor classes.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poor are worse than the non-poor. Second, we find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poverty status transition. Whether poor family exits poverty or not depends on the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Third, poverty experienc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ntal health conditions. To the mental ill-health family, the probabilities of poverty-exit are much lower and poverty duration is more long. Fourth, we find that family poverty status transitions are very significantly related with household head`s mental health from the logistic model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oor mental health and the experience of poverty in Korea. They also suggest that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mental health of the poor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poverty problem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자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승원 ( Seung Won Kang ),이순아 ( Soon A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자녀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에 거주하는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자녀들과 그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0명 아동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이들 부모의 학력수준은 대체로 낮았고, 무직업 비율이 높았으며, 가구의 경제적ㆍ물리적 환경이 열악하였다. 모의 학력과 양육 및 교육의 사적지원 수혜 여부에 따라 자녀의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었으며, 부의 직업 유무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의 장애가 경증이며, 사회적 지원이 있을수록 자녀의 건강상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장애가 경증이고, 위생관리가 좋을수록 자녀의 학업성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지적장애 어머니를 둔 자녀의 발달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of moth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re were surveyed the children of the moth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parents residing in J-do, finally 90 people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of the child. The analysis results, education level of their parents is generally low, no-job rate is high, economic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furniture was poo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tate of health of the child in accordance with the help of the mother`s education and child education,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also showed that depending on the occupation of the father. Mother`s disability is mild, the more social support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of children. Mild mother`s disabilities, the better the hygien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presented to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of moth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the social welfar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