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술훈련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이수림(Suli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participants in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Methods To do this, a 12-week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11 graduate students, and data from participant reflections recording data and reports were collected for each session, and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open coding, axis coding, process analysis and selective coding was conduct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154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a that emerged were ‘self-awareness and hope’ and ‘will for growth,’ while causal conditions included ‘emotional difficulties,’ ‘cognitive difficulties,’ ‘behavioral difficulties,’ and ‘self-identity difficulties.’ Contextual conditions encompassed ‘hesitancy about group participation,’ ‘confronting one's own inadequacies,’ and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skills.’ Mediating conditions included ‘group cohesion’ and ‘positive interactions within the group.’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involved ‘opening the heart’ and ‘trying,’ and the outcomes included ‘e-motional change,’ ‘cognitive change,’ ‘behavioral change,’ ‘self-identity chan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Process analysis revealed the stages of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as ‘facing pain and in-adequacy,’ ‘willingness for change,’ ‘self-disclosure and mutual encouragement,’ ‘effort,’ and ‘growth and change.’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ed the group counseling experience and positive changes of the DBT skills training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목적 본 연구는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 참여자의 경험과 변화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상담대학원생 대상 12회기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11명 참여자들의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녹음 자료와 참여보고서를 수집하여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과정 분석, 선택적 코딩이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총 154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모형 분석 결과, 인과적조건으로 ‘정서적 어려움’, ‘인지적 어려움’, ‘행동적 어려움’, ‘자기인식 어려움’이, 맥락적조건으로 ‘집단참여에 대한 주저함’, ‘부족한 나를 마주함’, ‘기술 적용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으로 ‘성장 인식과 소망’, ‘성장 의지’가, 중재적 조건으로 ‘집단응집력’, ‘집단 내 긍정적 상호작용’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마음열기’와 ‘시도하기’가, 결과로는 ‘정서적 변화’, ‘인지적 변화’, ‘행동 변화’, ‘자기인식 변화’, ‘대인관계 변화’가 도출되었다. 과정 분석 결과,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의 단계로는 ‘고통과 부족함을 마주한 단계’, ‘변화로의 의지 단계’, ‘자기개방과 상호격려 단계’, ‘노력의 단계’, ‘성장과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선택적 코딩에 의한 핵심범주는 ‘낯선 장면에서 부족한 나를 마주하고 함께 변화를 다짐하고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으로 드러났다. 결론 DBT 기술훈련 집단상담 참여자들의 집단상담 경험과 긍정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의 인플루언서 포스팅 컨텐츠 전략

        수림 ( Kim Sulim ),이희석 ( Lee Heeseok ),양희동 ( Yang Heedong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컨텐츠 포스팅 전략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홍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판매자로서 확대됨에 따라 어떤 종류의 컨텐츠를 어떻게 인플루언서가 제공해야 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플루언서가 물건을 홍보 및 판매하여 소비자가 공동구매(“공구”)하게 되는데, 이 공구가 시작되기 전 제품에 대해 홍보할 수 있는 기간을 전략 기간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전략 기간 내에 인플루언서는 상업적인 컨텐츠와 비상업적인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출에 영향을 주는 컨텐츠의 종류는 무엇인지, 어떤 전략 기간에 업로드를 해야 효과적인 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인플루언서의 팔로워 숫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계량적으로 상업적인 컨텐츠와 비상업적인 컨텐츠가 전략 기간과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에 따라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실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판매자로 확대됨에 따라 상업적 컨텐츠가 비상업적 컨텐츠보다 매출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팔로워 수가 많은 인플루언서는 상업적인 컨텐츠의 업로드 횟수가 중요하였으며, 팔로워 수가 적은 인플루언서에게는 상업적인 컨텐츠의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ting strategies of influencers for sales: what kind of contents should the influencers provide and how? Influencers used to have seven days of advertising period before the event date (sales begins) and provide both (or either) commercial and (or) non-commercial contents. Some influencers have large number of followers, while others have very small followers. We empirically investigated whether the sequence of posting the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contents influence sales, and whether such effects are susceptible to the size of followers. Through the analysis of 1,153 events of 298 influencers on Instagram, we found that commercial contents are more important than non-commercial contents for both small and large influencers. In more detail, the quantity of commercial contents is very important for the large influencers, while the quality of commercial contents is important for small influencers.

      • KCI등재

        부모의 과잉통제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곽환수(Kwak Hwan-Su),이수림(Lee Su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통제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대학생 319명으로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2019년 9월 10일까지 부모의 과잉통제척도와 자아분화척도, 의사결정유형척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참여자의 성별 분포는 남학생 158명(49.5%), 여학생 161명(50.5%)이며, 평균 연령은 22.44세(SD=1.65)이었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한 후 이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통제, 자아분화, 의사결정유형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부모의 과잉통제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가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의사결정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부모의 과잉통제는 자아분화를 매개로 합리적 의사결정, 직관적 의사결정, 의존적 의사결정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부모의 과잉통제는 자녀의 의사결정유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함께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ntal overcontrol and child s decision making styles. For this study, 158 college male students (49.5%) and 161 female students (50.5%) were selected from 31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mean age was 22.44(SD=1.65).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al equation model.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throu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overcontrol, self-differntiation, and decision-making types. Second,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elf- differentiation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in relation with parental overcontrol and child s decision type. Self-differenti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ational decision-making type, and higher self-differentiation makes rational decision making. On the other hand, intuitive decision types were not relevant and were not relevant to dependent decision types, and the higher the self-differentiation, the less intuitive decision making and dependent decision making were show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over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the type of decision making of children. This study discuss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이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분노반추를 통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허유림(Heo, Yourim),이수림(Lee, Sul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분노반추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고, 정신화가 이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20세-39세의 394명이었다.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반추, 정신화,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및 SP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반추,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신화와 기타 변인들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분노반추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분노반추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했으며, 분노반추와 분노표출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와 후속 연구방향 및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through anger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Participants were 394 adults, ages 20-3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who 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mentaliz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were used. The results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entalization and variables. Additionally, anger rumin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out,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Nex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Finally,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ger rumination and anger-ou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