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항 생체인식기술의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후기기술수용모델(Post-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

        이수경 ( Soo-kyou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2

        늘어나는 항공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항 운영의 디지털 전환 및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현이 필요하며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로 IATA는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신원 인증기술인 ‘One ID’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1년 한국공항공사는 혁신계획에 따라 ‘One ID’확대를 예고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객의 손정맥 바이오 정보가 여객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공항 면세점 등 쇼핑 결제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정보의 이용처가 확대될 전망이다. 생체인식기술은 승객의 고유한 신체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위조나 변조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여 공항 보안 수준을 높이고 출입국 절차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에 개인의 신체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있다. 개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개인정보가 침해될 것을 우려하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해당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공항 생체인식기술 적용이 확대될 시점에 이용자의 기술 수용 관점을 넘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와의 영향 관계를 실증하여 연구의 차별화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24년 2월 20일부터 27일까지 공항 생체인식 기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33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항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일치는 인식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이 채택되었고,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가 채택되었다. 그리고 가설 3. 생체인식기술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된 유용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가설 4가 채택되었다. 또한 생체인식기술 사용에 대한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 5가 채택되었다.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는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가 기대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인식된 유용성은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집단보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7. 인식된 유용성과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8. 기대일치와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설 6. 기대일치와 인식된 유용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9. 인식된 유용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그리고 가설 10. 만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첫째, 안면인식을 포함한 생체인식기술 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델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공항생체기술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둘째, 바이오인식 정보 유출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 야기에 착안하여 정보제공자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염려수준 차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생체인식기술 종류에 따른 변인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분석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 분석,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 차이에 따른 국가별 비교 연구 등이 후속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air travel,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port oper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processes are necessary. As part of this movement,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plans to expand its ‘One ID’ service, a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trics. In South Korea, the Korea Airports Corporation announced plans to expand ‘One ID’ in 2021, according to its innovation plan.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extend the use of passengers’ palm vein biometric information not only in passenger processes but also to shopping payments in airport duty-free shops. While biometric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using passengers’ unique physical information to prevent the risk of forgery and tampering, thus enhancing airport security levels and facilitating immigration procedures, it also poses privacy infringement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personal body information. Concerns about privacy violations, regardless of individual cons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cision to continue using such services. This study aims to differentiat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and their privacy concerns, based on the Post-Acceptance Model (PAM). For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338 general public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airport biometrics technology services from February 20 to 27, 2024. The analysis supported Hypothesis 1, that users’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Hypothesis 2, that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iometrics technology experience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the intention to reuse, supporting Hypotheses 3 and 4. Satisfaction from using biometrics technology also positively impa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confirming Hypothesis 5.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concerns showed that for groups with lower levels of privacy concerns, the perceived usefulness impacts satisfaction more significantly in groups with higher privacy concerns, and the impact of expectation confirmation on satisfaction is greater, verifying Hypotheses 7 and 8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 levels. However, Hypotheses 6, 9, and 10, related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were not supported. The novelty of this study lies firstly in its empirical analysis of airport biometrics users based on the PAM at a time when the utilization area of biometrics technology, including facial recognition, is expanding. Secondly, it considers the privacy concerns levels of information providers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concerns levels,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biometrics information leaks. Further research might be need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s technology, the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study of privacy protection polici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metabolic syndrome perception and exercising behaviors in Korean adults

        Soo-Kyoung Lee(이수경),Mikyung Moon(문미경)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기계 학습법 중 하나인 XGBoost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집단을 예측하고자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시도되었다. 이에 2009-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고 370,430명의 성인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대사증후군의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정도에 따른 단계로 3단계로 구분하였다:Stage 1(무인지, 무 신체활동), Stage 2(인지, 무 신체활동), and Stage 3(인지, 신체활동). 예측변수로는 5년간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중 공통으로 수집된 문항으로부터 161개의 특성을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R program을 이용하여 XGBoos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확도는 0.735 이었으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10개의 특성은 나이, 교육수준, 체중조절시도 경험, EQ-5D 운동능력, 영양표시 확인, 개인 건강보험가입 유무, EQ-5D 일상활동, 금연광고경험 여부, 통증유무, 당뇨에 대한 보건기관의 교육 경험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XGBoost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에 취약한 계층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would predict metabolic syndrome (MetS) perception and exercise by applying a machine learning classifier, or Extreme Gradient Boosting algorithm (XGBoost) from July 2014 to December 2015.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representing different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19 years and older, from 2009 to 2013. The dataset includes 370,430 adults. Outcom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perception of MetS and physical activity (PA): Stage 1 (no perception, no PA), Stage 2 (perception, no PA), and Stage 3 (perception, PA). Features common to all questionnaires for the last 5 years were selected for modeling. Overall, there were 161 features, categorical except for age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EQ-VAS). We used the Extreme Boosting algorithm in R programming for a model to predict factors and achieved prediction accuracy in 0.735 submissions. The top 10 predictive factors in Stage 3 were: age, education level, attempt to control weight, EQ mobility, nutrition label checks, private health insurance, EQ-5D usual activities, anti-smoking advertising, EQ-VAS, education in health centers for diabetes, and dental care.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XGBoost can be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using healthcare bigdata.

      • KCI등재

        제 3문화 아이들(Third-Culture Kids: TCKs)의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 :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수경 ( Lee Soo-kyoung )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해외 거주 관련 변인에 따라 문화적소속감 부재, 심리적안녕감, 적응유연성의 변인들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해 보고, 문화적소속감 부재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 경기, 지방대도시 소재 일반학교 및 국제 학교에 재학 중인 총 163명의 중·고등학생들로서, 2016년 4월~7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부재, 문화적 고향 필요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귀국 시기가 늦어질수록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부족, 문화적 고향 필요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안녕감과 적응유연성은 한국에 10년 이상~15년 미만 거주한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 소속감 부재의 하위요인인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과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은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제 3문화 아이들의 적응유연성의 향상을 통해 문화적소속감 및 애착 부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켜 줄 것이라 추론해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ird culture kids in the aspects of cultural homeless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3 middle·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ial centers who had resided abroad more than one year.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lack of a cultural home, need for a cultural home. Second, older of age returning to their home country corresponded to greater levels of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need for a cultural home. Besid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the students who have lived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5 years in Korea were the highest.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cultural group membership and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firmed. So, if resilience of TCKs could be enhanced by improvement of protection factor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reduce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counseling Third Culture Kid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e-Learning의 특성 및 구성요소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이수경 ( Soo Kyoung Lee ),권성연 ( Soung Youn Kwon ),임영택 ( Young Taek Lim ),고기정 ( Ki Jung K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e-Learning 강좌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e-Learning의 특성과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중요도와 구현정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e-Learning의 특성 중 시간과 장소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은 수강경험이 많을수록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상호작용 가능성과 다양한 정보·자료의 활용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구현정도에서도 시공간의 편의성이 높게 나타났고 상호작용 특성은 낮게 나타났다. e-Learning의 특성에 대한 중요도에 비해 구현정도가 모두 낮았고 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습자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만큼, 실제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e-Learning의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학습내용과 학습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수강경험이 많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구현 정도에 대한 점수는 학습내용과 방법이 높게 나타났으나 중요도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장 큰 차이를 가지고 와, 다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자들이 e-Learning의 학습내용과 방법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e-Learning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ook learners who had attended e-Learning course as the subject of study and did a research after dividing the recognition of e-Learning`s properties and components into the level of significance and actualiz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among the properties of e-Learning, learners recognized the convenience of time and place to be the most significant. This recognition appeared to rise as more classes were taken. The significance on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the utilizing of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had relatively low recognition. As the research result on the actualization of e-Learning`s properties shows, the recognition on the convenience of time and place was high and the property of interaction was low.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on the properties of e-Learning, the level of actualization appeared to be low and the difference of the two was quite significant. Accordingly, it was apparent that the properties of e-Learning was not actualized as much as learners took them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e-Learning components showed that learners took the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important and this tendency appeared stronger as learners attended more classes. On the level of actualization of e-Learning`s components, the research scores of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appeared to be the highest.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gnificance and the level of actualization of e-Learning components,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method showed the most difference. Hence, it is apparent that learners are relatively dissatisfied with e-Learning`s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more than other component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ways of improvement for e-Learning hereafter.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 및 학습과정 특성에 따른 학습전략 차이 분석

        이수경 ( Soo Kyoung Lee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기업의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의 사용 수준을 파악하고 이러한 학습전략의 활용이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과정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e-Learning에서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및 학습과정 특성에 맞는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수강 경험이 있는 총 2,971명의 학습자에게 학습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전략 사용의 수준은 대체로 3.0 이상(5.0 만점)의 사용 수준을 보였고 이 가운데 선택, 목표설정, 시간관리, 모니터링, 실제적 활용(적용) 전략 등의 사용은 3.5점 이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료학습이나 교강사와 상호작용과 같은 전략은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차이는 학력에 비해 다양한 학습전략 유형에 걸쳐 사용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습전략 사용이 높아졌다. e-Learning 수강 경험의 정도에 있어서도 e-Learning 강좌를 많이 수강한 학습자일수록 전반적으로 학습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과정의 특성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의 차이도 나타났다. 고급 과정, 자기계발 과정을 수강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인 학습전략 사용을 하였으며 수강한 과정의 분야에 따라 보다 빈번히 사용하는 전략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성인 학습자 및 학습과정의 특성에 맞는 학습전략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adult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in actual e-Learning process and its different feature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cours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took 2,971 learners who had attended e-Learning courses and was conducted in the methodology of online survey. Using the data, th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ious variables of learners and cours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firstly the learners conducted learning strategies in the degree of over 3.0(perfect score, 5.0). The learners more actively used the following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m; selecting, goal-setting, time-managing and monitoring. In contrast, the strategies related to the interaction were less used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features of learning strategies var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s,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Especially, learners who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e-Learning showed higher degree use of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to those who had less experienced. It also revealed that the nature of e-Learning courses a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learning strategies. Noticeable differences on learning behavior were found depending on whether learners took required, introductory courses or elective, advanced ones.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se finding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future e-Learn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