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반골 부정유합으로 발생한 성교통

        이세원 ( Se Won Lee ),최광천 ( Kwang Cheon Choi ),김만수 ( Man Soo Kim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4 Hip and Pelvis Vol.26 No.1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은 불안정성이 전후방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방 고정과 후방 고정을 함께 사용하여 안정시켜야 한다. 전방과 후방 모두 안정시켜야 할 불안정성 골반환 골절 여성 환자에서 전방 고정만을 실시하여, 추시상 골반골 부정 유합으로 형성된 골 가교가 질벽을 기계적으로 압박하여 성교통을 호소하였다. 저자들은 골편과 질내 반흔 조직 및 유착밴드를 제거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In unstable pelvic ring injury, if there is damage to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both anterior and posterior fixation will be needed in order to stabilze the pelvic ring. A female patient complained of dyspareunia due to malunion and additional bone bridge at the inferior ramus of the pelvis. She should have undergone both anterior and posterior fixation, but had undergone anterior fixation only. We report on a patient who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resection of additional bone bridge, scar tissue and adhesive band around the vagina.

      • KCI등재

        비구 골절의 내고정 수술 후 발견된 관절면 사이에 낀 골절편의 관절경적 제거

        김원유 ( Weon Yoo Kim ),지종훈 ( Jong Hun Ji ),박상은 ( Sang Eun Park ),이세원 ( Se Won Lee ),문창윤 ( Chang Yun Moo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Osteochondral fragements incarcerated in the hip joint during fracture-dislocation have been reported to be the cause of posttraumatic arthritis, and open reduction of the fracture or removal of the fragments during surgery is recommended. Locking symptoms developed during hip joint movement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hip joint fracture-dislocation (Thompson and Epstein (T-E) type III) after undergoing internal fixation of the acetabular fracture. Computer tomographic (CT) scan revealed a bony fragment impinging on the acetabular weight-bearing portion. This bony fragment was removed using hip arthroscopy. We recommend that CT evaluation be performed after surgery for acetabular fractures. We also recommend arthroscopic removal as a treatment option for posttraumatic loose bodies in the hip joint.

      • KCI등재후보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의 양극성 인공골두 치환술시 전자 골절편의 내고정법

        김원유 ( Weon Yoo Kim ),한창환 ( Chang Hwan Han ),지종훈 ( Jong Hun Ji ),김영율 ( Young Yul Kim ),이교선 ( Kyo Sun Lee ),이세원 ( Se Won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1

        목적: 고령의 대전자간 골절편을 포함한 전자간 골절이 있는 환자의 인공골두 치환술을 시행하는데 있어 대전자부 골절편에 대한 고정방법을 후향적 연구를 통해 이를 비교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전자부의 부착이 문제가 될 수 있는 Boyd-Griffin 2형과 4형이었으며, 3가지 내고정방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첫번째 인장 강선을 사용하였던 예가 18예, 두 번째로 K-강선 및 변형된 인장강선을 사용한 예가 7예, 세번째로 GTRD (Greater Trochanteric Reattachment Device)를 사용한 예가 15예이었다. 결과: 첫번째 방법은 간편하게 대전자부를 고정시켰으며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두번째 방법은 수술 시 단단한 고정력을 얻었으나 술 후 조기 보행 시 몇 예에서는 고정의 실패 뿐만 아니라 K-강선의 전위가 초래되어 2예에서 K-강선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하였다. 세번째인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술기가 어렵고 수술시간이 길어 고령의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술 후 조기 재활이 가능하였으며 추시 상 임상적 결과도 우수하였다. 결론: 전자간 골절에서 인공골두치환술 후 대퇴부 골절편을 내고정하는 방법 중 인장 강선 방법과 대전자부 재부착 기구인 GTRD를 사용했던 례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골다공증이 심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권유될 수 있는 방법으로 술기가 간단한 인장 강선을 이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compare the fixation methods for reattaching a trochanteric fragment in a p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 cases of an unstable femur pertrochanteric fracture were analyzed and followed up for average of 19(6~40) months. There were 18 cases fixed with tension band wiring (group 1), 7 cases treated using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with K-wires (group 2) and 15 cases treated with the GTRD (Greater Trochanteric Reattachment Device) (group 3). Result: Group 1 was treated with simple a surgical procedure and the results were good. The second group had firm fixation postoperatively but required additional surgery in two cases to remove the K-wires because of wire migration after ambulation. Group 3 had relatively good results but required more dissection and a longer operating time. Conclusion: Tension band wiring or GTRD are good fixation methods for reattaching trochanteric fragments in pertrochanteric fractures. Moreover, tension band wiring is recommended for old osteoporotic patients due to a simple procedure and firm fixation. The use of modified tension band wiring using K-wire or a Steinmann-pin should not be used due to the possibility of distant mi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다양한 파장의 LED 조사를 통한 참다래 과실의 산 함량 조절

        백광현(Kwang-Hyun Baek),장명환(Myung Hwan Jang),곽용범(Yong Bum Kwack),이세원(Se Weon Lee),윤해근(Hae Keun Yun) 한국청정기술학회 2010 청정기술 Vol.16 No.2

        참다래(‘헤이워드’) 과실을 저온 및 상온 저장 중에, 여러 다른 파장의 light emitting diode (LED) 광원을 조사한 후 과실의 경도, 당도 및 산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과실 경도는 4℃보다 25℃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1주 동안 LED 파장을 조사했을 때, 440 nm와 660 nm의 LED 광원을 처리한 참다래가 암실처리 보다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380 nm UV등과 470 nm 백색 LED를 처리한 과실은 암실의 조건에 비하여 경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밀봉을 한 참다래는 공기 중에 개방된 참다래보다 모든 처리구에서 경도가 더 높았다. 당도는 25℃에서 공기 중에 개방한 경우, 470 nm 백색 LED 처리구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나 암조건과 380nm UV등 처리에서는 15℃Brix 이상을 나타내었다. 참다래 과실의 산함량은 660 nm 적색 LED 처리구에서 52% 감소하였다. 밀봉된 참다래에서 440 nm 청색 LED, 470 nm 백색 LED, 660 nm 적색 LED 광원을 처리하였을 때, 암실에 놓여진 참다래보다 산함량이 각각 52.6, 55.6 및 52.8% 감소하였다. 참다래에 대한 다양한 파장의 LED 조사효과 중에서, 산함량의 감소는 향후 참다래 과실의 수확 후 후숙기간을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ED 광원은 정확하고 매우 좁은 영역의 파장을 적은 용량의 전력 소모량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청정 기술로 분류되며, 이러한 LED 광원을 이용한 참다래 과실의 산도 조절은 기존의 에틸렌 등의 화학물 처리보다 안전한 친환경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청정기술이라 평가된다. The physiological roles of various wavelength of light emitting diode (LED) on ‘Hayward’ kiwifruit experiencing after-ripening were investigated. Various wavelengths from LED light source were irradiated on kiwifruits kept in plastic bags or under open air at 25℃. During two weeks of storage, firmness of Hayward kiwifruits was decreased by 25℃ treatment than by 4℃ treatment. In the 25℃ storage condition, the firmness of kiwifruits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380 nm UV and 470nm white LED light source. Sweetness of kiwifruits treated with 380 nm UV LED and dark condition at 25℃ increased higher than 15℃Brix. The acidity of kiwifruits under open air was decreased 52% by incubating at 25℃ with 660 nm red LED treatment. The acidity of kiwifruits in plastic bags was decreased 52.6, 55.6, 52.8% by the treatment of 440 nm blue, 470 nm white and 660 nm red LED light source,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kiwifruits incubated in darkness at 25℃. Decreased acidity irradiated by 660 nm red LED light source can be applied for regulating periods of the kiwifruit after-ripening process. LED light sources emit very narrow wavelength with a power-saving mode, therefore, the usage of these LED light source for regulating the after-ripening process can be classified as a clean biotechnology producing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kiwifrui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의 대퇴전자간 분쇄골절 치료 시 내고정술과 인공관절 반치환술간의 임상결과 비교

        문창윤 ( Chang Yun Moon ),지종훈 ( Jong Hun Ji ),박상은 ( Sang Eun Park ),김영율 ( Young Yul Kim ),이세원 ( Se Weon Lee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고령 환자의 불안정성 대퇴전자간 골절에서 무작위로 전향적으로 시행한 내고정술과 고관절 부분 치환술간의 연령별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0세 이상 고령에서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로 내고정이나 고관절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62예에 대해 최소 12개월(12개월~36개월) 추시 관찰하여 SF-36을 통해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내고정을 시행한 군은30명,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군은 32명이다. 임상 결과 분석은 SF-36을 이용하였으며 SPSS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70대에서는 동통, 파행, 보조기 사용 여부 항목에서 부분 치환술 군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80대에서는 파행 항목에서만 부분 치환술 군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나머지 항목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고정군에서 고정물 실패가 4예 있었고, 부분 치환술 군에서 감염에 의한 실패가 2예, 탈구로 인한 재치환술이 2예 있었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 시 내고정술보다 초기 안정성으로 동통이 적고 조기 기동이 가능한 고관절 부분 치환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prospectively randomized surgeries between internal fixation and hemiarthroplasty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62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at underwent internal fixation or hemiarthroplast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the clinical outcomes with using the SF-36.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internal fixation and 32 cases were treated with hemiarthroplasty. The clinical outcomes, as assessed by using the SF-36,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Hemiarthroplasty show a better result than internal fixation for pain, limping and the support scales in the 70~79 years old group, and the limping scale was also better in the over 80 years old group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age. Four cases of internal fixation failed due to loss of fixation (3) and nonunion (1), and 4 cases of hemiarthroplasty failed due to infection (2) and revision for dislocation (2). Conclusion: Primary hemiarthroplasty should be more beneficial than osteosynthesis, such as performing internal fixation,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because of the reduced pain and early ambulation that are due to the early stab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