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를 이용한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의 정확성과 임상적 결과: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견봉 쇄골 접근법

        이상훈,황석민,Lhee, Sang-Hoon,Hwang, Seok-Mi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목적: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와 상완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한 후 주사요법의 정확성이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외상이 없고, 약물 치료 및 물리 치료를 받았으나 만족할 만한 호전을 보이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총 33명으로 남자 15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55.1세(42~72세)였다. 이를 대상으로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해 스테로이드 칵테일 10 ml(triamcinolone 1 ml(40 mg/ml), lidocaine 4 ml(2%), normal saline 5 ml)와 조영제 5 ml ($Telebrix^{(R)}$, Guerbet, France)를 주입하였으며, 이후 바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주사의 견관절 관절강 내 주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경우, 부분적으로 들어간 경우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경우로 3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군에서 주사요법 전, 후 수동적 운동범위 및 VAS score를 이용한 통증 완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3례 중 25례(76%)에서 조영제가 정확히 관절강 내로 주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례(18%)에서는 관절강에 부분적으로 조영제가 관찰되었고, 2례(6%)에서는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에서 관찰되었다.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11도(80~140도), 외회전은 48도(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4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30~90도)로 호전되었다(p<0.01).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20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1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9(135~140도)도, 외회전은 78도(50~90도)로 호전된 결과가 관찰되었다(p<0.01).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환자수의 부족으로 통계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았다. 시술 전, 후 VAS 점수의 변화는 조영제가 관절강 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7.1점(3~9점)에서 2.6점(0~5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7.5점(7~9점)에서 3.3점(2~4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7.5점에서 2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당뇨 환자군과 비 당뇨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임상적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호전되었다. 결론: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하에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한 견관절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는 기존의 방법들보다 좋은 정확도(94%)를 보고하였으며, 이 중 관절강 바깥으로 새어나간 군과 새어나가지 않은 군 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clinical outcome of ultrasound-guided glenohumeral joint steroid injection on adhesive capsuliti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dhesive capsulitis by MRI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did not improve their symptom with physical therapy and NSAIDS treatment more than 6 month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atients who showed any other shoulder pathology or history if trauma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33 patients including 15 males and 18 femal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being 55.1 (age 42~72). Cocktail of steroid, lidocaine, saline and contrast medium injected inside shoulder glenohumeral joint using novel approach (which we called acromioclavicular approach) under ultrasound guidance. Clinical outcome was measured through passive range of motion and VAS scoring system. Results: Based on radiographic findings,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kage of contrast medium; perfect confinement of contrast-medium inside the capsule, partial leakage of the medium and contrast-medium found at outside the joint. Total 25 cases (76%) out of 33 cases showed perfect confinement of contrast-medium inside the glenohumeral joint. Partial leakage was observed in 6 cases (18%), and contrast medium was observed outside of the glenohumeral joint in 2 cases (6%). Perfect-confinement group showed $111^{\circ}$($80{\sim}140^{\circ}$) of forward flexion and $48^{\circ}$($0{\sim}90^{\circ}$) of external rotation before injection, and improved to $134^{\circ}$($90{\sim}150^{\circ}$) of forward flexion and $70^{\circ}$($30{\sim}90^{\circ}$) of external rotation after injection (p<0.01). Partial leakage showed $120^{\circ}$($90{\sim}150^{\circ}$) of forward flexion and $70^{\circ}$($10{\sim}90^{\circ}$) of external rotation before injection, and improved to $139^{\circ}$($135{\sim}140^{\circ}$) of forward flexion and $78^{\circ}$($50{\sim}90^{\circ}$) of external rotation after injection (p<0.01). VAS score improved from 7.1 (score 3~9) to 2.6 (score 0~5) (p<0.01) in perfect confinement group, from 7.5 (score 7~9) to 3.3 (score 2~4) (p<0.01) in partial leakage group. Two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Accuracy of Acromioclavicular approach was 94% which is better than any other methods published so far. Partial leakage of the injection material did not show inferior result compared to perfect injection.

      • KCI등재

        견갑골 운동장애

        박진영(Jin-Young Park),이상훈(Sang-Hoon Lhee),오정환(Jeong Hwan),김홍겸(Hong Kyum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그동안 견관절과 견봉하 관절에 대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많은 의사들의 관심분야로 각광받아왔다. 그러나 그에 비해서 견갑골과 그 주위근육들은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견갑골의 운동장애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기본적으로 견관절의 움직임은 언제나 견갑골의 운동을 동반하게 되어있고, 견관절의 운동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는 직접적으로 견관절 움직임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결과 및 결론: 특히 운동선수에 있어서는 견갑골의 움직임과 견고한 고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견갑골의 움직임과 중요성에 대해서 조명해보고자 한다. Purpose: Scapular dyskinesis is an alteration in the normal position or motion of the scapula during coupled scapulohumeral movements. Vast majority of shoulder pathologies are known to be related with scapular motion abnormalities. Because there being enthusiasm about scapular pathology in recent literatures, understanding scapular dyskinesis seems to be an important subject. The authors describe the importance of scapular abnormality in terms of shoulder pathology. Materials and Methods: Usually the inhibition or disorganization of activation patterns in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lead to scapular dyskinesis. This motion abnormality has more important values in Elite Athletes because it might be the sign of future shoulder pathology; for example, SLAP and internal impingement. Treatment of scapular dyskinesis is directed at managing underlying causes and restoring normal scapular muscle activation patterns by kinetic chain-based rehabilitation protocols. Treatmen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secondary shoulder injuries. Results and Conclusion: Understanding scapular pathology may be the main key to approach to the shoulder pathology. Also treating scapular pathology might be important in preventing secondary shoulder injuries.

      • KCI등재

        오구견봉인대만을 이용한 술식과 견봉골편을 포함한 오구견봉인대를 이용한 변형 Weaver and Dunn 술식에서의 만성 견봉쇄골관절 손상 치료결과 추시

        박진영(Jin-Young Park),강승완(Seung-Wan Kang),이상훈(Sang-Hoon Lhee),서중배(Jung-Bae Seo),이승준(Seung Jun L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저자들은 만성 견봉쇄골 관절 손상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중, 오구견봉인대만을 이용한 변형 Weaver-Dunn 술식과 Shoji 등에 의해 소개된 골편이 부착된 오구견봉인대 전위술식간의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인 평가를 통해 양군간의 치료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만성 견봉쇄골관절 손상으로 진단받은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0명은 오구견봉인대만을 이용한 변형 Weaver-Dunn 술식을 이용하여 수술하였고, 나머지 30명은 골편을 이용한 술식을 통하여 수술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13.1 개월과 14.9 개월이었다. 결과: 술 후 1년째의 변형 Weaver-Dunn 군과 골편 이용군의 평균 오구쇄골간격, VAS 점수 및 ASES 점수는 3.8 mm (-3 to 6 mm); 3 mm (-2 to 6 mm), 3.5 (1.0 to 7.0); 4.2 (1.0 to 7.5) and 91.1 (81.66 to 95); 79.6 (31.66 to 95)였다. 두 군간의 방사선학적, 기능적 평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두 군의 실패환자는 각각 2명, 1명이었다. 결론: Shoji 술식군에서 상대적으로 재전위정도가 낮은 양상임을 알 수 있었고, 변형 Weaver-Dunn 술식에 비견할 만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reatment results of two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for chronic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Fifty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between January 1997 and June 2009 were includ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different groups. Patients in the first group (n=20) were treated using a modified Weaver and Dunn method using a simple coracoacromial ligament transfer method. Patients in the other group (n=30) were treated with acromial bone-block transfer containing coracoacromial ligament. Mean follow-up times for the two groups were 13.1 and 14.9 months, respectively. Results: At 1 year postoperatively, mean coracoclavicular distance, the VAS score and the ASES score for the Weaver-Dunn method group; for the bone block transfer method group were 3.8 mm (-3 to 6 mm), 3.5 (1.0 to 7.0) and 91.1 (81.66 to 95); 3 mm (-2 to 6 mm), 4.2 (1.0 to 7.5) and 79.6 (31.66 to 9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diologic (p=0.377) and functional (p=0.093)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Failures in the former and latter group were, respectively, two and one. Conclusion: The bone block transfer method shows a tendency to maintain coracoclavicular distance and appeared to yield similar results as the modified Weaver Dun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