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개선을 위한 제언

        이산하 ( Lee San Ha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연세법현논총 Vol.2 No.1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로는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생산되며 빅데이터가 산업의 주요 키워드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이런 시대상황에 발맞추려는 노력의 차원으로 2020년에 불필요한 중복 규제를 없앤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의 개정안을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개인과 기업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질 것이라 기대 받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의료 관련 데이터에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자의무기록의 보급률이 높으며, 전 국민의 건강보험정보가 확보되어 있어 보건의료데이터 산업이 발전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보건의료데이터는 특정 환경을 조작해서 수집한 데이터가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 일반적인 과정을 통해 수집되는 Real World Data(RWD)로서, 보다 사실과 가까운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의료서비스의 향상, 의약품 부작용 방지, 질병 조기 발견 등 공익적 목적으로의 활용성이 높다. 그러나 보건의료데이터는 민감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며, 데이터 유출 시 다른 개인정보에 비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데이터 정보 활용의 규제 필요성과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관련 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와 관련된 법률, 가이드라인, 그리고 정책들을 분석하여 보건의료데이터 관리 및 활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현재 다양한 법과 가이드라인을 제·개정하며 개인정보 보호와 연구 개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아직 많은 논의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일찍부터 의료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사회적 요구를 수용해 법률과 정책을 수립한 미국, 유럽연합, 그리고 영국과의 비교법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법제의 특징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정보주체의 통제권 보호와 의료 빅데이터의 경제적 활용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사회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 overwhelming amount of data has been generated, making big data a key focus in various industries. In response to this era, efforts have been made to align with the trend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Data 3 Law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Credit Information Act) in 2020 in South Korea, aimed at eliminating unnecessary duplicate regulation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vision will broaden the scope for individuals and businesses to utilize information. This movement is also significantly impacting the rapidly expanding field of medical data. South Korea, with a high adoption rat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comprehensive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for all citizens, is favorably position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care data industry. Healthcare data, collected through standard processes in real-world environments, is referred to as Real World Data (RWD). Its significance lies in obtaining research results closer to reality, making it highly valuable for improving healthcare services, preventing adverse effects of pharmaceuticals, and early detection of diseases for public welfare purposes. However, healthcare data contains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and a breach could result in severe consequences compared to other types of personal data leaks. Therefore, it is crucial to systematically establish regulations 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in a situation where the necessity of regulation for healthcare data utilization and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in sharp contrast. In light of this, the present study analyzes domestic laws, guidelines, and policies related to healthcare big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care data management and utilization. Despite ongoing efforts to revise and enact various laws and guidelines to balanc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 is still much discussion and improvement needed. Furthermore,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th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have established laws and policies early on to accommodate both the utilization and protection of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societal demand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institutional and societal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simultaneously protect the control rights of information subjects and promote the economic utility of healthcare big data in line with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 과일 종류에 따른 돼지고기 연육효과

        김해인 ( Hae In Kim ),심예선 ( Ye Seon Shim ),이산하 ( San Ha Lee ),임소현 ( So Hyeon Lim ),최혜진 ( Hye Jin Choi ),김문주 ( Moon Ju Kim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teolytic enzymes contained in fruits, ginger, pear, and kiwi were used to measure Warner Bratzler shear force, tensile strength and collagen content of the pork hind legs in a refrigerator at 4 ℃ for 45 hours. Pork had large differences in fat content in each region. Especially, pork hind legs have been classified as non-preferred meat because it is a low fat region and it is hard to make tender texture after cooking. Meat quality depends on texture, especially tendernes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soften meat and methods have been used to soften meat using proteolytic enzymes. Warner bratzler shear force values of all treatments were analyzed to be very tender and the shear force value of the control was also very low at 2.33 kg/0.5 inch2. The total collage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ut insoluble collagen was the lowest at 0.1318g/100g in the kiwi samples. The highest of soluble collagen was also 0.2378g / 100g in the kiwi samp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group containing the control group.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Kiwi juice had the best tenderization effect on port m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