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0대 국회 「공직선거법」 개정 과정을 통해 본 정치관계법 개정 절차 개선의 필요성: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개정의견 제출권을 중심으로

        박성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 『選擧硏究』 Vol.1 No.15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requires deliberation to consider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ystem in its revision. However, the 20th National Assembly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as a representative case that showed that election rules can be revised according to the will of a specific political party or established politicians. Although the purpose of the amendment in this case was to expand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it showed that if the amendment procedure is maintained, amendments that threaten the people's sovereignty can be pass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established politicians. Therefore, the current political relations law revision procedure needs improvement.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 improvement plan is to ensure that the current legislators who have no choice but to become parties to the political-related law are not responsible for both the initiative and review of the bill. To this end, the right to submit revision opinions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institu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Although it is not at the level of the government's right to submit bills, there is a way to make it mandatory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undergo a legal review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hen revising political-related laws like the UK Election Commission. 우리의 「공직선거법」은 그 개정에 있어 각각의 제도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고려할 수 있는 숙의가 필요한데, 지난 제20대 국회에서의 「공직선거법」 개정 과정은 극단적인 대립을 패스트 트랙이라는 안건신속처리제도를 통해 해결하여 합리적인 토론이 부족하다는 야당의 항의 속에 표 대결로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여야동수로 구성된 특별위원회에서의 합의를 통한 의결을 관행으로 하고 있는 현행의 정치 관계법 개정 절차에서 제20대 국회의 「공직선거법」 개정 사례는 국민주권 보장과 민주주의 실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의 규칙을 특정 정당 혹은 기성 정치권의 의사에 따라 개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였다. 비록 개정안의 취지는 국민주권의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개정 절차를 유지할 경우 국민주권을 위협하는 개정안이 기성 정치권의 의사에 따라서 통과될 수 있는 선례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현행의 정치관계법 개정 절차는 개선이 필요하다. 개선 방안의 요건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치관계법의 당사자가 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입법자들이 법률안에 대한 발의와 심사를 모두 담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개정의견 제출권을 정부의 법률안 제출권의 수준으로 강화하거나, 영국 및 캐나다의 선거관리기구 사례처럼 개정절차에 대한 선거관리기구의 권한을 강화하도록 법률에 규정하는 방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속하는 독립위원회에서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와 같은 성격의 독립 법제 기구를 통해 정치관계법 개정에 대해 연구하고 법률안을 제시하는 방안 등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선거에 임박하여 정치관계법이 개정되는 것을 감안하여, 정치관계법의 당사자인 입법자들은 법률안 심사 절차 내에서 법률안의 합헌성 판단을 받을 수 있는 위헌심사절차를추가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독립적 헌법기관으로서 선거기관의 탄생 : 제2공화국 중앙선거위원회의 창설과 폐쇄

        최선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 『選擧硏究』 Vol.1 No.9

        The Syngman Rhee regime intervened extensively at every election, committing all kinds of vote rigging, including manipulating by the government and bribing voters. State institutions and officials used the power of public to win elections or win the ruling party without keeping neutrality in the election. At the time when they were adopted with out any clear plans and large-scale cuts were frequent, the public officials had no choice but to mind the regime. The police officially intervened in the elections, and the election commission ‘subordinate’ to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became a nominal institution. Because of experiencing the election commission that was subordinate to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limitlessly through the illegal election of 3 ․ 15, there was a growing consensus that an independent election body was necessary for a clean election. On June 23, 1960,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CEC)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e military who took power in May 16 military coup considered the bureaucrats as “corrupt” co-workers of the former regime and announced the “Basic Credentials of the Public Service Personnel” on June 23, 1961 to cut 35,684 people on a grand scale. For CEC, its public officials were cut and the budget was reduced so the institution was closed. Because Park Chung-hee announced the plan to transfer power, there was going to be an election in 1963, and at that time an independent and fair election committee was needed. Even though it was not originally intended to be shut down, the reason why the election committee was closed for cutting public officials was to decide the election committee was not needed right now since there was no election until 1963. The old idea that the problem raised when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as established as a permanent body in 1960, in other words, the election committee was needed only for elections eventually led to the closure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이승만 정권은 선거 때마다 광범위하게 개입하여 관권선거, 금권선거 등 온갖 선거부정을 자행했다. 국가기관과 공무원은 선거에서 중립을 지키지 않고 권력자의 당선이나 집권당의 승리를 위해 공권력을 이용했다. 주먹구구식으로 채용되고 또 대규모 감원이 빈번했던 당시 상황에서 공무원들은 정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경찰이 노골적으로 선거에 개입했고 내무부에 ‘종속된’ 선거위원회는 유명무실한 기관이 되었다. 내무부에 종속된 선거위원회의 한계를 3 ․ 15부정선거를 통해 적나라하게 경험했기에 공명선거를 위해서는 독립적인 선거기관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1960년 6월 23일 한국역사에서 최초로 독립적인 헌법기관으로 중앙선거위원회가 창설되었다. 5 ․ 16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장악한 군부는 관료들을 전임 정권의 ‘부패한’ 협력자로 간주하고 1961년 6월 23일 「공무원 인사정리 기본요강」을 발표하며 대대적인 숙정에 나서서 모두35,684명을 감원하였다. 중앙선거위원회 역시 공무원 감원에 휩쓸려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 기관은 폐쇄되었다. 박정희가 민정이양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에 1963년 선거가 있을 예정이었고, 이때가 되면 독립적이고 공정한 선거위원회가 필요했다. 애초 기관폐쇄 대상이 아니었음에도 공무원 정리 실적을 위해 선거위원회가 폐쇄된 이유는 1963년 이전까지는 선거가 없기 때문에 선거위원회가 당장은 필요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1960년 중앙선거위원회를 상설기구로 설립할 때 제기되었던 문제, 즉 선거위원회는 선거 때만 필요한 조직이 아니냐는 해묵은 인식이 결국 중앙선거위원회의 폐쇄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선거관리 신뢰확보를 위한 시민참여 확대방안

        조은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選擧硏究』 Vol.1 No.8

        In this study I studied the method of increasing citizen participation for election management. Through previous studies, I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and government trust.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public confidence can be secured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needs of NGO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 found that the demand for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in pro-balloting and counting procedures were prominent.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and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citizen to observe in order to secure the election management trust. The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not only plays a role in monitoring the corruption of the election process but also plays a complementary role in proving the fair election management process of Election Commiss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xpa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is direction to pursue despite the decreas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It suggests that the Election Commission needs to look for more aggressive and bold changes to secure true trust. 본 연구에서는 선거관리 신뢰확보를 위한 시민참여 확대방안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를통해 우선 시민참여와 정부신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시민참여를 통해 정부신뢰가 확보될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난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시민단체의 요구사항분석 결과, 사전투표와 개표 절차에 대한 참관‧참여 요구가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투 ․ 개표 절차사무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참관권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선거관리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시민참여 방안으로 일반시민의 참관권 보장 및 강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민참여 확대는 선거과정의부정을 감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의 투명한 선거관리 과정을 증명해주는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므로, 시민참여 확대는 행정편의성 저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진정한 신뢰확보를 위하여 선거관리위원회가 보다 적극적이고과감한 변화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선거운동 정보의 전송제한 법안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김영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 『選擧硏究』 Vol.1 No.9

        The ques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ampaign information law, It i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the election commission, candidates (spare) and voters. The Election Commission executes the regulations fairly, the candidates(spare) thoroughly observe the rules, and voters report violators.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has made the campaign for using mobile phones a living. However, there have been side effects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a smooth campaign, causing voters to file complaints.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 it is because candidates (spare) are using election campaign information in an outlaw manner that no one can transmit it against an explicit rejection by an informant. In order for voters to report illegal election campaign information, they must make a direct impression of their willingness to reject the candidate(spare). Candidates(spare) use methods such as sending fake phone numbers or not answering calls to prevent rejection. Second, reporting of illegal campaigning information by voters is complicated and tricky. The requirements for reporting include screen shots of illegally received text, recording of explicit rejections, and screen shots of re-received text. Third, the Election Commission has a shortage of manpower and budget. The fair election support team lacks expertise. Methods for securing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First, strengthen penalties for those who violate the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Second, the organization of reporting illegal election campaigns is integrated into the election commission. Third, the reporting process of illegal electioneering is simplified. Fourth, the body of burden of proof of illegal election campaigns is changed from voter to candidate(spare). Fifth, extend telephone for sending campaign information and add e-mail address. Sixth, the request to delete personal information is made by the Election Commission. Seventh, it is mandatory for candidates(spare) to take public office election law. Eighth, improve the system of election law violation reporting telephone ‘1390.’ 1. 연구의 목적이제 선거는 사회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약 2년 주기로 한 번씩 선거를 한다. 2018년 6월13일 실시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무려 7가지 종류의 선거를 하였다. 선거도 정보화사회의 흐름에 따라 유권자의 휴대전화기를 통한 선거운동이 「공직선거법」에서 허용됨에 따라 (예비)후보자가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유권자 개인정보침해라는 단점도 나타나고 있다. 유권자의 의사에 반하거나,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예비)후보자의 선거운동에 유권자의 개인정보가 이용되어 유권자는 매우 불안하다. 이와관련한 항의성 민원이 선관위에 급증하고 있지만 선관위는 근본대책이 없다. 따라서 그 원인을파악 ․ 분석하여 항의성 민원을 최소화함으로써 선관위의 신뢰도를 제고시켜 나가고자 한다. 2. 관련 「공직선거법」 집행실태1) 관련 법조항: 「공직선거법」 제82조의5(선거운동정보의 전송제한)제1항 “누구든지 정보수신자의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에 반하여 선거운동 목적의 정보를 전송하여서는 안 된다.” 여기서 누구든지는 유권자 ․ (예비)후보자 등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모두 포함된다. 문제는 ‘정보수신자의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에 반하여’를 반대해석하면 ‘정보수신자의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에 반하지 않으면’ 「공직선거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2) (예비)후보자의 선거운동: 같은 법 제2조 각호에서 선거운동정보를 전송 시 전화번호, 불법수집정보 신고 전화번호, 수신거부 의사표시의 조치 및 방법을 명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예비)후보자가 허위전화번호 기재, 전화 받지 않기 등의 탈법적인 방법을 이용하면 유권자는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표시를 할 수 없어 불법 선거운동정보를 수신하고도 「공직선거법」 위반신고를 할 수 없다. 3. 유권자․(예비)후보자․선관위의 문제점1) 유권자의 신고조건 3가지: 불법 선거운동정보를 수신하면 첫째, 스크린샷, 둘째,(예비)후보자와 통화하여 명시적인 수신거부 의사표시를 한 녹취, 셋째, 재 수신된 스크린샷 등의입증자료를 갖추어야 신고할 수 있는데 이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워 사실상 신고는 불가능하다. 2) (예비)후보자의 탈법: 허위전화번호 기재, 전화 받지 않기 등의 방법으로 유권자가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 표시를 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녹취 등의 신고 입증자료를 갖추지 못하도록 하여 신고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3) 선관위 감독기능: 선관위의 인력 및 예산 한계로 현장 단속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공정선거지원단의 전문성 미흡으로 ‘선거운동정보의 전송제한’ 규정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있다. 4. 결론 및 제언첫째, 「공직선거법」 위반자의 처벌을 강화한다. 둘째, 불법 선거운동의 신고기관을 선관위로 일원화한다. 셋째, 불법 선거운동의 신고절차를 간소화한다. 넷째, 불법 선거운동정보의 입증책임 주체를 유권자에서 (예비)후보자로 변경한다. 다섯째, 선거운동정보의 전송용 전화 증설 및 전자우편주소를 추가한다. 여섯째, 유권자의 개인정보 삭제 요청을 선관위가 대행한다. 일곱째, (예비)후보자의 「공직선거법」 수강 의무화, 등록 시 수강증을 첨부하도록 한다. 여덟째, 「공직선거법」 위반 신고 전화 ‘1390’의 시스템에서 위치확인 절차를 삭제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 정책선거의 현황과 과제

        윤종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 『選擧硏究』 Vol.1 No.7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policy voting and suggests 10 possible tasks to induce policy-oriented competition in Korean politics. Since the 2006 local election, manifesto has been playing a good methodological alternative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voting. However, there are always some limitations because politicians are not willing to accept manifesto regulation. This paper provides short-term and long-term,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tasks in order to consolidate policy-oriented voting in Korea. It can not be argued that bringing about issue-oriented competition takes time and energy in a society as a whole. 이 글은 우리나라 정책선거의 현황과 향후 개선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과거 선거에 비해후보자 간 정책 차이와 정책선거를 투표의 기준으로 활용하는 유권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정책선거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매니페스토에 대한 인지도와 필요성, 그리고 후보지지 결정에의 영향력 등이 제고된 것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2006년 처음 실시 당시에 매니페스토 정책선거가 많은 주목을 받았던 것과 달리 최근 선거에서는 관심과 열정이 다소 감소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다보니 후보자와 정당들이 매니페스토 작성에 덜 적극성을 보이고 여전히 실현가능성이 낮은 검증되지 않은 공약을 남발해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글은 우리나라 정책선거의 현주소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선거 정착을 위한 10개의 단기적, 중장기적 개선과제를 4가지 유형분류를 통해 제시하였다. 제도적 차원에서 단기 과제로는 당내 후보 선출 시기의 법제화, 공약 검증기구의 설립, 공약 평가의 서열화 허용의 3가지, 중장기 과제로는 양당 권력독점구도의 완화, 매니페스토의 대중성 강화, 정당정책연구소의 정책기능 강화의 3가지를 제시하였다. 비제도적인 환경적 차원에서 단기 과제로는 후보자 검증의 강화, 시민운동의 중립성 강화의 2가지, 중장기 과제로는 정당 중심의 정책선거의 정착, 민주시민교육의 확대의 2가지를 제시하였다. 서구 민주주의에 비해 비교적 짧은 민주주의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서구적 의미의 정책선거를 정착시키는 것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행히 과거의 맹목적 지역주의 투표행태가 3김의 정치적 퇴장과 함께 완화되기 시작하면서 2002년 대선에서 이념 요인이 선거의 중요한 투표 준거로 등장하였고, 2006년 지방선거에서 매니페스토가 도입되면서 정책선거의 기틀이 본격적으로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정당, 후보자, 유권자 모두가 정책선거의 중요성을 인식할 때 제도적 개선도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전투표제도의 효과에 대한 분석: 2014년에서 2020년까지 실시된 전국단위 선거를 중심으로

        김정곤,권영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 『選擧硏究』 Vol.1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ffect of mobilizing voters who would have abstained without the early voting system since 2014 when the early voting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turnout. To this end, the voting behavior of voters was classified into abstention, election day voting, convenient early voting, and pure early voting, and the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from the voter's consciousness survey for each election were used, such as turnout, absentee turnout, early vote rate, and voter consciousness surveys in various el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previous studies claiming that the mobilizing effect was insignificant and thus little effect of improving the turnout rate, the early voting system showed a meaningful mobilizing effect an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turnout. The mobilizing effect is as follows: 2014 local elections 3.63%p,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s 6.94%p, 2017 presidential election 7.96%p, 2018 local elections 6.47%p,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s 7.47%p. The enhancing turnout effect of early voting replacing absentee voting is as follows: 2014 local elections 1.47%p,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s 4.83%p, 2017 presidential election 5.56%p, 2018 local elections 4.31%p, 2020 national assembly elections 5.36%p 본 연구는 사전투표제도가 도입된 2014년 이후 사전투표제가 없었다면 기권하였을 유권자들의 동원효과와 투표율 제고 효과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를 기권과 선거일 투표, 편의사전투표, 순수사전투표로 분류한 후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험적 분석에는 각종 선거에서 나타난 투표율, 부재자투표율, 사전투표율 및 각각의 선거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 동원효과는 미미해서 투표율 제고 효과가 거의 없다는 주장과 달리 사전투표제도는 의미 있는 동원효과와 투표율 제고 효과를 나타내었다. 먼저 동원효과는 2014년 전국동시지방선거 3.63%p, 2016년 국회의원선거 6.94%p, 2017년 대통령선거 7.96%p,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6.47%p, 2020년 국회의원선거 7.47%p를 기록하였다. 부재자투표제를 대체한 사전투표제만의 투표율 제고 효과는 2014년 전국동시지방선거 1.47%p, 2016년 국회의원선거 4.83%p, 2017년 대통령선거 5.56%p,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4.31%p, 2020년 국회의원선거 5.36%p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실태 및 개선방안 고찰

        김순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 『選擧硏究』 Vol.1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situations and deterrent factors of the electoral neutrality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and suggest the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ir electoral neutrality. To the end, this article first debated the theories on definitions and significance of political neutrality and electoral neutrality, and then established the analytical framework to delve into the deterrent fac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lectoral neutrality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The next chapter examined the contemporary situations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electoral neutrality through the diverse sources of official statistics and media data. The following chapter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electoral neutrality in terms of four variables - environmental context,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structural aspect, and human aspect. The final chapter suggested the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electoral neutrality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deterrent factors of their electoral neutrality. The methods of research mainly depended on the document research referring to academic researches, government statistics, and media data.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missing points of document research, targeting a small number of street-level public servants and local politicians. 본 연구는 시‧군‧구 기초단체 수준의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실태와 저해요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이들의 선거중립 제고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은 정치적 중립과 그 일환인 선거중립의 개념과 의의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저해요인 및 제고방안을 고찰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실태를 다양한 공식 통계자료 및 언론자료 등을 인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에는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저해요인을 환경적 맥락, 법제적 측면, 구조적 측면, 인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선공무원의 선거중립 저해요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이들의 선거중립제고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서적, 학술논문, 정부통계자료, 언론기사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를 주로 하고, 약간의 일선공무원 및 지방정치인 등을 대상으로 한 면접조사를 보충적으로 실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도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와 공정한 선거제도 시행 방안을 중심으로

        이창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 『選擧硏究』 Vol.1 No.12

        India has maintained a parliamentary democracy since its independence from Britain. The history of Indian elections is that after the first legislative election in 1952, there were 17 general elections by 2019, and a governmen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India is called the world's largest democracy, and its citizens have shown high confidence in democracy. Nevertheless, India has been active in discussions about reforming the electoral system since the 1970s to this day. In particular, there are three issues. First, it is abou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ency and the range of the small constituency system and the large constituency system. The voting method is a matter concerning the voting method for candidates or political parties. India's election system reform is different from election system. India is being discussed in terms of ensuring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elections and preventing political corruption. The promotion of India's electoral reform has been pursued to improve equity. India has amended its constitution to improve the election system so that individuals and political parties can freely participate in and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In particular, an environment was created to run candidates who had no criminal recor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candidates. He also made it possible to promote fair and transparent election management by strengthening the independent role of the Election Commission. The reform of the Indian electoral system has evolved to improve the fairness of the electoral system, but at a detailed level,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country's political history, to resolve issues that arise during the election process. The reform of the electoral system, while changing the institutional prescription, could have been promoted. India's electoral system is being actively reformed by civil society group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is conspicuous. 인도는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일관되게 의회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의 선거역사는 1952년 제1회 하원의원 선거를 치룬 이후에 2019년 까지 모두 17번의 총선이 있었고, 선거의 결과에 따라 정권이 수립되었다. 인도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로 불리고 있으며, 인도 국민도 민주주의에 대해 높은 신뢰를 보이고 있다. 인도는 197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선거제도의 개혁에 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세 가지이다. 첫째, 선거구 확정에 관한 내용으로 소선거구제 또는 대선거구제의 범위 확정에 관한 내용이며, 둘째, 의석결정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서 다수대표제 또는 비례대표제에 관한 것이며, 셋째, 투표방식에 관한 내용으로 후보자 또는 정당에 대한 투표방식에 관한 사항이다. 인도의 선거제도 개혁은 우리나라의 선거제도와는 다르다. 인도는 선거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확보 그리고 정치 부패의 방지라는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인도의 선거제도 개혁의 추진은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인도는 헌법을 개정하여 개인, 정당들의 자유로운 선거참여와 정치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선거제도를 개선하였다. 특히, 후보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범죄경력이 없는 후보가 입후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인도 선거관리위원회의 독립적인 역할강화를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관리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도의 선거제도의 개혁은 선거제도의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으나 세부적인 차원에서는 인도의 정치사적 경험에 입각하여 선거과정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처방을 달리하면서 선거제도의 개혁이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도의 선거제도 개혁은 시민단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민의 참여가 눈에 띈다.

      • KCI등재후보

        기탁금제도의 헌법적 타당성에 대한 검토

        길용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 『選擧硏究』 Vol.1 No.9

        The trust money system is intended to prevent candidates from being excessively elected by depositing a certain amount of money on the candidates and imposing monetary sanctions on the candidates in order to make them return all or a part of their money to the national treasury. The existence of the constitutional validity of the trust money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in recent year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se discussions, reflecting these points. Whether the trust money system is unconstitutional or not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wo major perspectives. First, the problem of the trust money system itself, the problem of the validity of the amount of the second trust money, and the problem of the return condition of the trust money national treasury is concerned. This will raise questions about restrictions on, such as th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right to take charge of public affairs and the principle of equal elections, and whether such restrictions will be violated. The basic stan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ith regard to the trust money system is that it is constitutional to require candidates to trust money in a parliamentary election. However, the level of such requirement is considered in legislative policy matters. However, there have been recent discussions regarding the issue of the trust money system, and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and objections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showing how the court has changed the trust money system through other existing cases. In Korea’s electoral system, the fact that the trust money system is virtually ineffective. Candidates who do not have financial sponsors do not have the ability to find alternatives, despite the fact that. However serious they may be in an election and exercise their right to take charge of public affairs, it is against their constitution to blockade it for financial reasons. We hope that research on a system that can replace or supplement the trust money system will become active. 기탁금제도는 후보자로 하여금 일정액의 금원을 기탁하게 하고 후보자가 선거에서 일정 수준의 득표를 하지 못할 때 기탁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국고에 귀속시키는 방법으로 금전적 제재를가함으로써, 후보자의 무분별한 난립을 방지하고, 당선인에게 가급적 다수표를 몰아줌으로써 정국의 안정을 기하며, 아울러 후보자의 성실성을 담보하려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기탁금제도의 헌법상 타당성여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근래 이러한 논의에기초하여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 판결이 되고 있다. 기탁금제도의 위헌성여부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기탁금제도 자체의 문제, 둘째 기탁금액수의 적정성 문제 및 기탁금국고귀속과 반환조건에 관한 문제이다. 이로 인해 헌법상 보장된공무담임권, 평등선거의 원칙 등의 제한 및 침해여부가 문제되는 것이다. 헌법재판소의 기탁금제도에 관한 기본적 입장은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 입후보자에게 기탁금을 요구하는 것은 헌법상 적합한 것이며, 다만 그 규모의 수준은 입법정책적 사안으로 보는 것이라 할 것이다. 다만 최근 들어 기탁금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논의가 나오고, 이에 헌법재판소의 판결도 반대의견 등을 통해 기존과 다른 진취적인 판단이 나오는 바, 최근 사건을 통해 헌법재판소가 기탁금제도에 관해 어떠한 변화된 모습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종래 헌법재판소의 주된 판단은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에 관한 것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비례대표국회의원 선거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되기 시작하면서, 결국 헌재 2016. 12. 29. 2015헌마1160 등 판결을 통해 공직선거법 제56조 제1항 제2호 중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 관한 부분이헌법불합치 판결을 받았다. 특히 헌재 2018. 1. 25. 2016헌마541에서 지역구국회의원선거예비후보자가 당의 공천심사에서 탈락하고 후보자등록을 하지 않았을 경우 기탁금을 돌려주지 않는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고 판단하였다. 해당 판결은 목적 정당성과 방법의 적정성은 긍정하였으나 심판대상조항으로 인해 정당 공천관리위원회의 심사에서 탈락한 예비후보자가 소속 정당을 탈당하고 본선거의 후보자로 등록한다면 오히려 무분별한 후보자 난립의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인지하여, 이는 후보자의 난립을 방지하여 후보자의 수를 적정한 범위로 제한하고 당선자의 득표율을 높임으로써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기탁금제도의 취지와 조화되지 아니하고, 정당이 국민의 정치적 의사를 형성함에 있어 담당자이며 매개자로서 기능하는 정당제 민주주의의 발전에도 바람직하지 아니한 점을 고려하여 최소성의 원칙과 법익의 균형성을 부정하였다. 다만 예비후보자 기탁금제도는 경제력이 없고 경제적 후원자가 없는 자에게 있어 선거참여의기회, 예비후보자로 나서는 것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면이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점은 이진성, 김이수, 강일원 재판관의 경우에도 지적하고 있다. 결국 예비후보자 기탁금납입제도는 방법의 적정성 자체가 의심이 든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재ㆍ보궐선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정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7 『選擧硏究』 Vol.1 No.8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secure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representatives while appropriately eliminating the financial burden of ‘election costs’ caused by frequent by-elections. Especially, after the local elections, there are high voices to argu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because of the increase in re-election and by-election and concerns about the election cost and low turnou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by-election and examine the ways of improving the electoral system by examining the improvement measures. Especially, I will review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by-elections through overseas cases, focusing on the “next runner-up system” in Japan,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by-election system, discussions are focused on reducing the number of elections or paying the cost to the cause providers. The revision of the public election law in 2015 has reduced the number of by-elections that were held twice a year. Many people argue that the person who provided the reasons for the by-election have to pay the election cost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the state or municipalities. It is possible to consider not only the cause provider but also the party to pay a part of the election expenses, or to restrict the party from recommending candidates for the party to the re-election. On the other hand, some person argue that it is forbidden for incumbents to run for election to resign during his/her term to run for another election. However, if such a restriction on the candidacy of candidates for public office is limited, it may be an excessive restriction on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And in the case of the Gu/Si/Gun council elect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opting the runner-up election system because it adopts the multi-member constituency. 잦은 선거로 인한 ‘선거피로’와 ‘과다한 선거 비용’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을 적절하게 해소하면서 대표의 충원과 대표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선거 실시 이후 재 ․ 보궐선거가 급증하면서 선거 비용의 문제와 낮은 투표율로 인한 대표성의 약화를 우려하여 제도적 개선방안을 주장하는 목소리들이 높다. 본고에서는재 ․ 보궐선거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리하고 정치권과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선거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일본에서 실시되고 있는 ‘차점자 당선제도’를 중심으로 해외사례를 통해 재 ․ 보궐선거의 개선방향을 고찰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도출한다. 재 ․ 보궐선거제도의 개선방안으로는 선거 횟수를 줄이거나 원인제공자에게 선거 비용을 부담시키는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2015년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기존에1년에 두 차례 실시되던 재 ․ 보궐선거를 1회로 축소하였으며, 현재 가장 많이 논의되는 제도적개선방안은 재 ․ 보궐선거의 발생 시 그 원인을 제공한 당사자에게 선거 비용의 일부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국고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것이다. 최근에는 원인제공자뿐 아니라 그를 추천한 정당에게 귀책사유를 물어 선거 비용 일부를 부담시키거나 해당 재 ․ 보궐선거에 소속 정당의 후보자를 추천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재 ․ 보궐선거 실시 사유의 상당수는 다른 선거 출마를 위해 현직자가 임기중에 사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사례를 줄이기 위해 현직자의 사퇴를 제한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다만 이처럼 사퇴자의 공직선거 출마를 제한할 경우 이는 공직자에 대한 과도한 피선거권제한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한편 기초의회의원선거의 경우 중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차점자 당선방식을 도입하는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일본은 선거일 이후 당선승낙기간 또는 3개월 이내에 사퇴, 사망이나 사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 보궐선거 실시에 따른 유권자의 혼란, 선거실시에 따른 번거로움, 선거 비용 낭비 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점자 당선제도를 도입하였다. 중의원선거에서는 1993년 이전 시기에 선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결원이 발생하였을 경우, 차점자에게 의석을 승계하는 조상보충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4년 소선거구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차점자 승계방식은 폐지되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 선거에서도 최다 득표자 1인을당선인으로 하는 제도적 특징으로 차점자에 승계방식을 금지하고 있다. 참의원의원선거, 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는 현재에도 차점자에 대한 당선제도를 현재에도 운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본과 같이 선거 실시 이후 일정 기간 이내에 발생하는 결원 보충을 차점자 승계방식으로 실시한다면, 선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