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尼師今代 초기 斯盧國의 干位의 성립과 분화

        이부오(Lee, Bu-oh) 한국상고사학회 2002 한국상고사학보 Vol.36 No.-

        본고는 이사금대 초기 干位의 성립과 분화를 통해서 사로국의 지배구조가 재편되는 상황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거서간 말기에 유력집단의 서열화가 심화되고 지배권력이 일부 집단에 집중되면서 이사금이 출현했다. 그 결과 유력집단 대표들은 자치적 기반을 유지한 채 이사금 통치조직의 職任을 맡으면서 干을 칭했다. 이사금은 이를 매개로 유력집단의 자치적 위계를 간접적으로 통제했다. 기존의 邑落 干은 部主로 공인되어 자치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사로국 차원의 사안에 대해서는 이러한 권한을 박탈당했으며 이사금의 통치에도 협조해야 했다. 이에 干位는 자치적 집단의 대표인 동시에 이사금 통지조직 내 職任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후 간위가 서열화되면서 파사대까지 伊湌, 波珍湌, 阿湌으로 분화했다. 이는 집단별 서열과 개인적 위상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위호였다. 이를 통해 干群 위호의 신료적 성격이 강화되었으며, 수여 대상은 유력집단 대표뿐만 아니라 그 보위자까지 확산되었다. 그 결과 이사금 통치조직의 職任은 등급화되었다. 部主로서의 干은 여전히 제한적 자치권을 유지했으나 점차 이사금의 신료적 존재로 변화했다. 이상을 통해 이사금의 통치권이 체계적으로 행사되는 한편, 몇몇 집단의 배타적 우월성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유력집단의 자치적 기반이 완전히 해체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사금의 지배력은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early Nisageum period in which the ruling system of Saro state was reorganized through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subdivision of Kan-wi. At the late Kosogan period Nasageum emerged as ranks of influential clans formed and the ruling power of the state concentrated on a few of them. As a result, representatives of the influential clans were assigned official duties of Nisageum ruling system without losing their home rule. They were called Kan. Nisageum could govern indirectly the hierachy of the Upnak were authorized as Pu-ju and kept their right of self-government. However they were deprived of the right over state-leveled policy and had to support the leadership of Nisageum. It changed Kan-wi into an official post of Nisageum ruling system as well as a representative of a self-governing clan. After that until Pass period. Kan-wi formed ranks subdivided into Ichan. Pajinchan and Achan. Those titles reflected the rank of a group to which one belonged as well as one's personal position. Those titles of Kan group emphasized its function as a staff of Nisageum ruling system. Gradually the Kan group extended its range from the representatives of influential clans to their assistants. As a result, there formed ranks among official posts in Nisageum ruling system. As Pu-ju, Kan exercised limited right of self-government but gradually it changed into a kind of official post right of self-government but gradually it changed into a kind of official post of Nisageum. Through the system like above Nisageum could rule the state systematically and also 2-3 core clans including Nisageum clan could preserve their exclusive superiority. However, Nisageum ruling system had its limits in that the self-ruling foundation of influential clans did not totally fall down.

      • KCI등재

        中國史書의 서술 맥락을 통해 본 ≪三國志≫ 韓條의 辰韓과 辰王

        이부오(Lee, Bu-oh)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6

        본고는 ≪삼국지≫ 동이전에 나타난 辰韓과 辰王의 層位를 중심으로 3세기 중엽 진한의 실체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通行本 ≪삼국지≫ 동이전 한조에서는 변·진한 12국이 屬한 대상, 이들이 대대로 왕을 위탁했던 대상, 그리고 자력으로 왕이 되지 못했던 주체가 辰王이라 했으나, 원본에서는 모두 `辰韓`이었다고 추정된다. 필사본 단계에서 이를 `진한`으로 표기한 자료와 `진왕`으로 표기한 자료가 각각 ≪普書≫ 계통과 통행본 ≪삼국지≫ 계통으로 계승되었다. 여기서 변·진한 12국이 屬한 `辰韓`은 이전의 수 세대 동안 마한 목지국왕이 수행하여 변·진한이 스스로 기능할 수 없었던 `王`의 역할과 대비되었다. 전자는 正始 7년 중심으로 魏代의 상황을 설명했고, 후자는 辰韓 諸國의 성립 이후 위대 이전의 상황을 나타냈다. 전자의 단계에서는 진한 12국의 분립성과 `진한`에 의한 통합성이 이중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는 국들 사이의 세력 차등을 기반으로 `진한`이 12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진한`은 魏郡縣과의 교섭에서 대표권을 행사했다. 개별 국이 분립했다는 서술은 각 거수들이 이러한 대표권을 수용하면서도 자치권을 유지했음을 의미한다. 魏代에 변·진한 12국이 속한 `辰韓`과 과거 마한 목지국왕에게 의탁했던 辰王은 ≪위략≫에서도 언급되었다고 추정된다. ≪후한서≫ 동이열전이 전자를 생략하고 후자를 강조한 것은 후한대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후자의 역할을 수행한 시기는 기원전 1세기 이후이다. 진왕 칭호는 옛 진국이었던 한반도 남부에 대한 상징적 대표기능에서 출발했는데, 魏郡縣은 목지국 진왕의 대표기능이 마한의 일부와 변한에 한정된다고 인식했다. ≪삼국지≫ 한조에서 優呼를 더한 진한 臣智가 보이지 않는 것은 진한이 별개의 交涉圈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太康 연간에 진한왕이 西普에 조공한 것은 `진한`의 급격한 성장보다 이러한 통솔권의 연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nd a clue about the reality of the Jinhan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emphasised on the stratum of narrative about Jinhan(辰韓) and Jinwang found in the paragraph Han of the ≪Samkukji(三國志)≫. He was called `Jinwang` who had ruled the 12Kuk(國)`s, who had done a role of the King for generations so who had not been a King by himself. However, I think that `Jinhan` was written in a meaning of `Jinwang` in the original of this book. The notation of `Jinwang` and `Jinwang` in the early manuscripts was used in the ≪Chinsoe(普書)≫ and the current ≪Samkukji≫ respectively. `Jinhan`, who had ruled the 12Kuk`s, was mentioned compared with a role that The King of MokchiKuk(目支國) had performed for generations. The former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year A. D. 246, Wei(魏) dynasty, and the latter described from the birth of `Jinhan` to the just before of Wei dynasty. The separation between 12Kuk`s and unification by `Jinhan` were described compositely for the former situation. This shows that `Jinhan` had a power of representation for 12Kuk`s at the negotiations with Wei Chinese Kun(郡)`s. Koesu(渠帥) of each Kuk`s allowed the `Jinhan` to represent their authorities, while maintaining autonomy. `Jinhan` in the Wei(魏) dynasty and `Jinwang` who had existed prior to the Wei(魏) dynasty were also described in ≪Wiryak(魏略)≫. Because the `Jinwang` was made much of in the paragraph Han of the ≪Huhanseo(後漢書)≫, the `Jinhan` was omitted. The title of `Jinwang` was emerged from the symbolic representative power on The ChinKuk(辰國) existed before. But, Wei Chinese Kun`s recognized that the representative power by `Jinwang` was limited to Byunhan(弁韓) and a part of Mahan(馬韓). There is no Shinji() of `Jinhan` who had a superior title in the paragraph Han of the ≪Samkukji≫. It means that this region was the separated units at the foreign negotiations. The King of `Jinhan` negotiated with West Chin(西晋) in the late 3rd century, which derived from the Wei(魏)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초기 기년문제에 대한 재고찰

        이부오(Bu Oh Lee) 한국고대학회 1999 先史와 古代 Vol.13 No.-

        The genealogical record of Sillabonki(新羅本紀) in 『Samkuksaki(三國史記)』 shows some omissions and changes of order in royal generations. Because of this, the chronology before King Nae-mul(奈勿) is different from the real years. This study is for settling this chronological problems and clarifying the real chronology shown by the early document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aro State between B.C. 2nd century and A.D. 1st century was contracted in the reign of Hyokkose(赫居世). Afterwards, Namhae(南解), Yuri (儒理), and T`arhae(脫解) were the kings of Silla from the late 1st century to the mid-2nd century, and P`asa(婆裟) in the late 2nd century. Chima(祗摩) and IIsong(逸聖) were on the throne from the late 2nd century to the early 3rd century. Adalla(阿達羅) reigned in the mid-3rd century, Porhyu(伐休) and Naehae(奈解) from the mid-3rd century to the late-3rd century, and Chobun(助賁)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late 310s. Followed is Chomhae(沾解) until late 320s. Mich`u(味鄒) became the king around 330s. Yurye(儒禮) and Kirim(基臨)`s generation is around 340s, and Hurhae(訖解) from late 340s to the year 356.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latter generations` historical events were inserted in the reign of the Kings listed above. Those facts are shown conspicuously in documents about military actions and the local ruling in the reign of T`arhae and P`asa. This was to solve the problem of deficient data and emphasize the fact that there was a fuming point in foreign trade and conquest under those two kings. The insertions of latter generations` historical events dosed from Ilsong and Adalla`s reign. From these generations, some documents which mixed latter generations` events were also limited to records of battles related to notable persons. After Yurye`s reign, except a few mistakes, those kinds of documents almost disappeared. Considering these facts, the early documents of Sillabonki in 『Samkuksaki』 can present more abundant dat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11년 발행 고등학교 ≪한국사≫에 나타난 고대사 서술의 변화

        이부오(Lee, Bu-oh)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4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의 고대사 서술이 고등학교 《국사》에 비해 변화한 점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br/> 《한국사》는 상호주의적 태도,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 탐구력 강화 등 2007 교육과정 《역사》에서 추구했던 교육목표를 대부분 계승했다. 반면 민족과 역사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기존 《국사》의 목표에 가까워졌다. 집필기준에서는 민족사에 대한 자긍심과 애정을 강조했다. 교육목표에서는 민족주의의 해소를 강조하면서도 집필기준에서는 민족주의를 강조했던 기존 《국사》의 이중성인 《한국사》에서도 재현되었다.<br/> 분야별로는 정치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확대되고 사회사?경제사?문화사 부분이 크게 축소됨으로써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룬다는 원칙에서 멀어졌다. 제한된 분량에 많은 내용을 눌러 담으면서 탐구력?상상력?판단력을 함양한다는 목표와도 어긋나게 되었다. 학교급별 연계성도 부실해졌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요 요소의 맥락을 중심으로 서술해야 한다.<br/> 대부분의 교과서는 연맹체-고대국가 단계 사이에 연맹왕국 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전후한 변화 과정을 모호하게 기술함으로써 국가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 삼국통일 이후는 ‘남북극시대’ 또는 ‘통일신라와 발해’로 설정되었는데, 후자가 당시의 실상에 더 가깝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부적절한 기술과 오류가 지나치게 많으므로 조속히 시정되어야 한다.<br/> 서술의 관점에서는 기존 《국사》의 민족주의적 편향성이 그대로 계승되었다. 이 때문에 목표지향적 서술이 역사교육의 본질을 훼손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게 되었다. 향후 《한국사》의 개정 과정에서는 목표지향적 서술을 지양하고 실증성을 바탕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br/> 탐구력?사고력 향상을 위한 활동 자료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침을 반영해 훨씬 다양해졌다. 이 중에서 사실확인형은 핵심적인 내용으로 한정하는 편이 효과적일 것이다. 체험형은 더욱 보강될 필요가 있다. 가치판단형은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 결론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