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크컨버터의 편평비 변화에 따른 유동특성 및 성능 연구

        이병철(Byungchul Lee),신세현(Sehyun Shin),김철(Cheol Kim),문수연(Suyeon Moon),장재덕(Jaeduk Jang),주인식(Insik J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3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changes of the torque ratio, input capacity factor, and internal flow characteristics of a torque converter with a variance in flatness ratios we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present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full three-dimensional turbulent flows. The present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torque ratio decreased and the input capacity factor increased as the flatness ratio decreased. The increase of the input capacity factor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volume flow rate since the flow area of a stator increased. The decrease of the torque ratio was due to the reduction of a stator torque caused by the decrease of angular momentum. The solidity of the stator became significantly smaller as the flatness ratio became smaller. The solidity played an important parameter in designing the torque converter with a narrow profile since the torque ratio was reduced as the solidity decreased.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근대적 자각 -「눈감고 간다」를 중심으로-

        이병철 ( Lee Byungchul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2

        이 논문은 윤동주의 대표작 중 하나인 「눈감고 간다」를 중심으로 윤동주 시에 나타난 근대적 자각의 흔적들을 고찰하고 있다. 윤동주의 생애와 작품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적 초자아가 근대적 자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신(神) 중심의 세계관이 인본주의에 기반을 둔 실천적 신앙으로 변모하는 양상에 주목하면서, 식민지 백성과 일본 유학생이라는 윤동주 내면의 두 정체성간 충돌, 또 근대적 세계와 전 근대적 고향 공동체 사이의 길항 등의 흔적들을 추적하고 있다. 「눈감고 간다」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은 기독교 신앙에 대한 의지, 일제치하에 서의 각성과 전진의 촉구, 정지용 사숙의 결과 등으로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감았던 눈을 와짝 떠라”를 ‘관념적 신앙에서 실천적 신앙으로의 전환’과 ‘근대성에 대한 자각’이라는 주제를 적용해 읽을 때 이 글은 선행 연구들과는 다른 각도와 층위에서 발언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게 된다. 정지용이 일본 유학 생활에서 근대적 인식과 조선인으로서의 민족의식을 함께 함양한 것처럼 윤동주도 유학을 통해 스스로의 각성으로 근대에 눈을 뜨고, 근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조국 회복의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신앙은 윤동주가 근대적 주체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갱신하고 극복해야 할 자기 안팎의 한계였다. 신앙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품어 안고 기존의 한계를 넘는 포월(包越)을 시도할 때, 윤동주는 개인의 자유의지에 기반을 둔 실천적 신앙을 통해 일제라는 부조리에 저항함으로써 신앙인이자 근대시민이 모두 되고자 했다. 인본주의와 실존주의가 근대성의 근간이라고 할 때, 신으로부터 독립해 인간 자유의지를 실현하는 것과 일제에 의해 강제로 주입된 치욕적 근대에서 벗어나 스스로 근대의 주체가 되는 것은 신앙인이자 식민지인, 그리고 근대시민이었던 윤동주에게 가장 중요한 지상과제였다. 윤동주는 실천적 신앙과 근대로의 주체적 전환을 따로 떼어놓지 않고 단일한 방법론 안에서 통합하려 했다. 그 구체적인 방법론은 근대라는 새로운 세상에 대한 자발적 학습, 그리고 ‘저항’이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ces of Yun Dong-ju’s modern awakening in his poems with a focus on 「Go with Eyes Closed」, one of his greatest works. Focusing on the changing pattern from his god-based world view to his practical faith based on humanism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his Christian superego, which had huge impacts on his life and works, to his modern ego, the study traced a clash between his two identities inside him, a citizen of a colony and a foreign student studying in Japan, and also the competition between the modern world and a premodern community in his hometown.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Go with Eyes Closed」 focus on his will for Christian faith, call for the awakening and progress under the Japanese rule, and outcomes of his emulation of Jeong Ji-yong. The study, however, secures a place to make remarks in different angles and layers from previous studies by applying the topics, “conversion from conceptual faith to practical faith” and “awakening to modernity,” to the reading of “Open years closed eyes wide.” Just like Jeong Ji-yong cultivated his modern perceptions and national consciousness as a Joseon man while studying in Japan, Yun opened his eyes to modern times based on his own awakening and searched for methodologies to restore his homeland based on the modern perceptions during his study in Japan. In this process, his faith represented his limitations in and outside that he must renew and overcome to become a modern subject. As he attempted at ‘Powol’(include&go beyond) to overcome the old limits by embracing his faith instead of discarding it, he tried to be a religious man and modern citizen by resisting the absurdities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his practical faith based on his free will. As humanism and existentialism were the basis of modernity, his supreme tasks were to realize his free will as a human being by being independent from a god and become a modern subject by escaping from the humiliating modern times forced by the ruling Japanese as a believer, colonial man, and modern citizen. He tried to integrate practical faith and conversion to a modern subject into a single methodology rather than separating them. His specific methodology involved voluntary study of a new world in modern times and “resistance.”

      • 제 2 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단형서사 텍스트와 계몽교육의 가치 지향

        이병철 ( Byungchul Lee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5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5 No.-

        근대라는 시공간은 일제 강점의 식민지 상황과 애국을 포함한 구시대적 봉건의식을 탈피하려는 근대 지향적 계몽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의 의식적 변화는 근대 미디어 매체인 신문들을 통해 또는 다양한 문학적 글쓰기 양식을 통해 축적된 면모가 드러나기에 이른다. 이것은 곧 1890년대부터 발행된 신문과 잡지, 학회지를 바탕으로 차츰 자리를 확보해 오면서 1900년대에 이르러 소설적 면모를 발견할 수 있는 구체적 형상화에 영향을 준다. 근대는 복잡하고 빠른 변화 속에서 국가적 위기와 사회.문화적 혼란을 겪으면서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서사들은 신문이나 잡지의 논설란을 중심으로 기서나 잡보에도 다양하게 실려 있었다. 이에 본고의 텍스트 설정은 다수의 신문들이나 잡지를 통해 형성된 1896년부터 1910년까지를 토대로 각종 신문들에 수록된 단형의 서사를 근저로 하였다. 『독립신문(1896)』,『조선크리스도인회보/대한크리스도인회보(1897)』, 『그리스도신문(1897)』,『매일신문(1898)』,『제국신문(1898)』등의 텍스트를 통해 글쓴이의 전달 욕망과 독자와의 관계 속에서 신문을 토대로 구현된 단형서사들을 편중되지 않게 선별해 논의해 보았다. 다양한 형태의 신문들 속에서 형성된 서사들의 올바른 이해는 무엇보다 그것이 담아내는 시대적 모습과 관련해 담론 구현의 미세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과정으로 이 시기에 드러난 담론 양상은 계몽교육이란 코드를 논변과 서사를 바탕으로, 문학적 글쓰기 양식의 다양한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의 다양한 시도를 모색하는 과정으로 문답형식의 대화체와 몽유형식, 우화형식을 중심으로 하는 단형서사의 서사 구성력과 글쓰기양상을 구명해 보았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중점을 둔 것은 단형의 서사물이 지닌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 서술 형태의 면모는 물론 그 속에 녹아나는 계몽교육의 지도와 배치에 비중을 두었다. 아울러 문답형식의 대화체나 몽유형식의 활용은 우화형식의 표현 기법과 함께 서사 구현에 있어 탄탄한 텍스트의 구성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문학적 글쓰기 양식은 근대라는 특정 시기에 새롭게 대두된형태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전대의 구소설이나 한문단편, 이후 신소설에서도 자주 시도되는 서사 구조의 한 형식이기에 근대라는 시공간을 통해 형성된 서사들은 전대의 전통적 서사 유형과 이후 신소설 사이에 교량적 역할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독립된 텍스트의 면모도 발견할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 하겠다. Chapter3 discussed the aspect of embodying the discourse shown in the monolithic narration in the enlightened period with a focus on the catechetical dialogic style, Dream-Based nd the allegorical style. In this process, this study attached importance to the aspect of the form of description and the creative consciousness melted down in it with an emphasis on the descriptive structure embedded in the monolithic description, among other things. First of all, the editorial-centered discourse refers to the editorial-centered discourse structure compared to the narration-centered discourse and took a form of developing the editorial as the prior stage of forming the narration-centered discourse. But in the editorial-centered discours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iscourse was weakened a was weakened and instead the narration-centered discourse wad reinforced. This performed a role in motivating the readership to have an interest as the expedient for effective delivery.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iscourse structure centered towards narration was favor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writer or the excessive interference and control received from the outside. Moreover, the projection of writers`` consciousness through the figure appearing in the center of the description or the inner hint of the description itself while not making the direct intention exposed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descriptive structure can be said to be the advanced look in the perfection of the descriptive text. In short, in discussing the particular literary style of the monolithic narration or description, in the enlightened period, it is a matter of course to take into account thesituation of the times, the enlightened period. And the monolithic narration of the enlightened period is considerable in the expressive form of the content or the quantitative aspect of the works. Accordingl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reflected by the writing and the creative intention of the writer and the readership, it is thought that it is a task to conduct detailed studies on literary works through many materials in partic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