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박소촌화』 所載 <마포유일정> 연구

        이병직(Lee, Byong-J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3 No.-

        이 글은 18세기 여러 야담집을 비롯하여 각종 문헌에 수록된 강상효녀담의 하나인 <마포>를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시기와 창작의식을 검토하고 서사문학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강상효녀담은 1709년 무렵 형성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동윤의 <마포>에 기록된 관련 정보를 근거로 할 때 1700년을 전후하여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마포>의 사건 내용은 초기 강상효녀담인 이홍덕의 전과 유사하며, 강상효녀의 효열과 시비의 충렬을 기린다는 목적 또한 동일하다. 하지만 <마포>에서는 여아의 의리를 문제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작품에 등장하는 관련인물을 평가하는 것으로 내용을 확대하였다. 이동윤은 <마포>를 통해 노론 우위의 당파적 입장을 분명히 하였고, 관련 인물인 정유악의 비판과 이천기의 옹호를 통해 의리 문제를 강조하기 위해 강상효녀담을 적절하게 이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마포>를 비롯한 강상효녀담은 문헌과 구연 등 다양한 전승경로가 있다. 초기 강상효녀를 다룬 작품에서는 ‘복수’를 완성한 여주인공의 절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후대로 갈수록 수용하는 사람의 취향이나 기록자의 지향가치에 따라 내용에서 다양한 변이가 일어났다. <마포>는 강상효녀담의 형성 시기, 창작의식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개별 작품이 어떤 구연 과정을 거쳐 문헌에 정착되는가 하는 점, 이 과정에서 이야기꾼으로서의 존재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서사문학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supposed to clarify the birth period of work, creative motive, and the meaning of epic literacy focused on <Mafo>, which is one of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collected in many writings. It is said that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were formed around 1709. But we can guess they could be formed judging in 1700 from the basis of <Mafo> written by Lee DongYoon. The story of <Mafo> was similar to that of GangSang filial daughter in the early time. And in the terms of commemorating a daughter"s filial piety and a servant"s unswerving loyalty, it seems that these two had similar intention. But <Mafo> had enlarged the daughter"s obligation more seriously. Lee DongYoon clarified the faction attitude of conservative party through <Mafo>. Also he emphasized obligation matter by criticizing Jong YooAk and defending Lee CheonGee.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like <Mafo> have been passed through literature works and oral narration. Especially, as time goes by, these stories have changed a lot by the people"s aptitude and writers" directivity value. <Mafo> has special meaning as a data to search for the originating time and creative motive of GangSang filial daughter stories. We can figure out that this work has a big epic literature meaning because the writer of this story had potential as a storyteller and how each work could be passed and settled in literature documents.

      • KCI등재

        『박소촌화』 所載 과거담의 특징과 의미

        이병직(Lee, Byong-Ji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이 글의 목적은 『박소촌화』 소재 과거담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동윤은 과거시험을 치른 직접 경험에서부터 집안의 친인척, 노론 학맥의 문인들, 문헌 및 구전 등으로 수용한 것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다양한 전승경로를 통해 『박소촌화』에 수록하였다. 『박소촌화』에는 과거시험의 출제과목, 시험방법, 시험제도의 변경에 관한 내용을 비롯하여 회방연과 생진계, 풍수, 과거 공부에 관련된 갖가지 사회풍습이 소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18세기 과거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박소촌화』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과거담 일화는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그 존재의의를 부각시켰다. 일부 일화는 야담의 면모를 갖추고 있어, 일화에서 야담으로의 변모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움이 된다. 이동윤은 과문절도, 매문, 대리답안작성, 정실관계로 부정합격을 기획하는 행위 등을 비롯하여 수많은 과거부정과 폐단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과거부정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마련하지 못했지만 과거부정에 얽힌 다양한 사례를 남김으로써 후세의 경계를 삼은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동윤이 남긴 과거담은 이전의 문헌 설화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시대 윤기가 남긴 과거 관련 글과 비교할 때 내용의 깊이나 짜임새는 부족하지만 다양성과 서사적 이야기를 갖추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박소촌화』 소재 과거담은 조선조 선비들의 과거에 대한 미시생활사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aim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tate examination stories in 『ParkSoChoneWha』. Lee DongYoon wrote many stories in 『ParkSoChoneWha』, including the experience of the state examination, the literary men in the same member, and documentary records, and transmission by mouth. There were the test subj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the method of examination, and the changes of examination system in 『ParkSoChoneWha』. Also, it introduced a variety of social customs that had something to do with HoeBangYeon, assembly meeting, SangJinGae, geomancy, and the state examination. These stories eventually helped us understand social culture about the state examination in that age. The leading characters in the story had good manners and abilities, but they were not historically famous people. It contributed to emerging the existence meaning. Also, Lee DongYoon illustrated a number of examination absurdity and the vice cases, which were stealing, drawing up the answering sheet by other people, and passing the examination dishonestly. Since these stories taught a good lesson to the following generation, this writing seemed to be highly evaluated. The state examination stories written by Lee DongYoon had very peculiar characters that couldn't be found in the earlier books. Compared to the stories by Yoon Gee, these stories included the diversity and epic stories. The state examination in 『ParkSoChone Wha』 had particularly good points in terms of revealing a way of life by the elite groups in Chosun Dynasty era.

      • KCI등재

        20C초 몽유록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

        이병직(Lee, Byeong-Jik)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19세기 말 20세기 초는 서세동점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려는 담론이 무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면모를 1900년대 무렵에 창작된 몽유록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현실 인식의 방식은 몽유담 내에서 작자의 분신인 서술자가 특정 인물을 내세워 대화와 토론으로 현실의 위기를 파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조선 내부의 부조리한 측면과 외부의 서구 열강 및 일제의 침탈이었다. 이 시기 지식인은 각자가 처한 위치와 조건에 따라 그 대응 양상을 달리하여 각 작품에 구체화시켰다. 김광수는 일본의 침탈에는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근대 서구 문물에 대해서는 비판 없이 그 장점을 수용하려는 자세를 보였다. 유원표는 세계 정세의 변화를 누구보다도 정확하게 판단하였으며, 일본의 한국 침탈을 경계하면서도 아시아 연대론을 주장하였다. 박은식은 국권 상실을 완전히 경험한 뒤 만주로 망명하여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을 한 결과 교육을 통하여 신국민을 양성하고 평등주의를 모색하였다. 세 사람이 처한 상황과 활동에 따라 현실 인식의 내용과 그 대처 방식에 차이가 있고, 또 그 나름대로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학의 적극적인 현실 참여라든지 대화를 통하여 독자를 설득하려는 서술 전략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There were many arguments to recognize the crisis that the Western countries had invaded the Eastern countries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The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s.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se arguments through dreaming story which was created in the 1900s. The narrator, the writer’s other self tried to comprehend the real danger through discussion and argument by a particular person in a story. This was the ways to cope with the urgent situations in those days. The urgent situations were the inner absurd aspects in Choseun Dynasty and many invasions by western countries, including Japan. Kim Gwang Sue had very critical attitude toward Japan Invasion. but he had positive attitude about western modernization and accepted them without any criticism. You Won Poo made an accurate judgement about the world’s changing wave. So he claimed that not only Asian countries should keep cooperative power against the Western power, but also the armed forces should be put on a special alert against Japan. Park Eun Shik came to Manju as an exile after he had experienced the loss of national rights. He took time for self-examination about the direction which Korea would move forward. Therefore, he made some conclusions that they had to produce the new people and create the equal opportunity in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ree people’s situations and activities, they had different styles of reality recognition and confronting ways. It was clear that they had some limitations. But they got some positive valuation because they participated in reality positively through literal works and designed narrative strategy to persuade readers through convers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이현경전>의 이본 연구 (pp.159-197)

        이병직(Lee, Byong-Ji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이 글은 의 이본을 소개 검토하여 善本을 선정하고, 주요 이본을 대비하여 계열을 살펴본 뒤 후대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필사 간기가 앞서 보이는 이본 작품 명칭이 이고, 18세기 소설 상황을 알려 주는 문헌에 ‘니현경’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는 것으로 볼 때, 작품 명칭은 이 바람직하다. 善本은 완본의 형태이고 다른 이본에 비해 오탈자나 첨가가 적은 기축년에 필사된 사재동 A본이 타당하다. 사재동본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특징인 여성우월 남성열등의 남녀불균형이 심화되어 있고, 수학-과거급제-출정입공-지위극대화’의 입공서사가 온전히 구사되어 있으며, 이현경의 남장 노출을 둘러싼 지리한 공방과 결혼 이후 갈등이 장황하게 펼쳐진다. 이밖에 경북대본은 정자의 궁체로 필사되어 있고 표현이 정제되어 있다. 세부 장면 묘사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인물간의 관계가 세밀하고 성격 묘사가 생동적이다. 전반적으로 이현경의 능력이 남성에 비해 우월하지만, 남성 인물의 자존심이나 가부장적 사고가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있다. 그리고 활자본은 이현경 수학담의 유무에 따라 8회본과 12회본으로 나뉜다. 8회본은 이현경 수학담이 유일하게 존재하고 양충이라는 인물이 새롭게 등장한다. 활자본 역시 장면이나 인물의 세부 묘사에서 내용이 축소되었고, 남녀간의 갈등이 완화되어 있으며 남성을 배려하는 차원으로 서술되어 있다. 은 가상의 모본에서 전승되어 단국대본, 박순호본, 사재동 A?B본이 한 계열을 이루고, 경북대본이 또 한 계열을 이룬다. 활자본은 사재동본을 계승하되 경북대본을 참조하여 다시 8회본과 12회본 두 계열로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이본간의 차이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다. 여성영웅소설사에서 이 초기 작품이고, 대중적인 흥미가 후대 여성영웅소설의 인기에 밀려 전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은 후대로 갈수록 사건의 세부 묘사가 생략되거나 축소되고, 인물 관계에서 남성의 체통이 강조되거나 부각되며, 문체 및 표현에서도 초기 필사본의 정제되지 않은 어투가 후대에는 정제되고 순화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다. This theme is to aim to choose texts and verify the properties of the main texts and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in the later ages. It is rational that this writing's title is . That's because is the earliest work title in the publishing period. Also the character of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A is the best literature among the texts of . This work contained all the stories. It had few mistakes and didn't add anything to the sto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texts are as follows. text had the complete properties of heroines' novels in the early age. As KyeongBookDae text was read in the palace, it emphasized men's self-esteem and patriarchism thinking. The printing books are divided into 8th and 12th sections. The fact that LeeHyunKyeong was studying was presented in the 8th section. But the later texts didn't contain the story too much. consisted of two aspects. DanKookDae, ParkSunHo, and SaJaeDong formed one group. The other one was KyeongBookDae text. Printing text was made in reference to SaJaeDong and KyeongBookDae text. This work was the early heroine's novel. But this work ran short of the interests and exciting parts. So people didn't read this book. As time went by, many things in the work have changed a lot. The accident of the story was diminished. It focused on male character. And also the writing style was changed into a respect manner of talking.

      • KCI등재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이병직(Lee, Byeong-Ji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2 No.-

        이 글은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이 작품에서 어떤 기능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점을 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송사소설에서는 재물에 대한 인간의 탐욕 때문에 대립과 음모가 일어나고, 송사가 발생하여 재판이 진행되며, 심지어 살인까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재물은 송사의 발생 동인이 되며 서사가 진행되는데 있어 핵심 소재가 된다. 또한 재물은 재판 과정에서 뇌물의 기능을 하여 잘못된 판결로 귀결됨으로써 사회의 부조리를 담고 있다. 한편, 재물은 어려움에 처한 인물이 위기를 벗어나는 수단이 되거나 결핍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었다.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재물 관련 송사소설은 현실적인 소재와 일상의 인물이 등장하여 현실적인 인과논리로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사실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재물은 물질적인 이해득실에 따라 비뚤어진 인간관계를 조성하고, 신분관계의 역전을 일으키기도 하며, 친소의 거리를 조장하는 의미를 가진다. 재물 관련 송사소설은 동일 소재 다른 서사물에 비해 인물간의 대립관계가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현장을 생동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현상의 핍진한 반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scrutinize what function the property has in a law court novel and what is means. The function of property represented in a law court novel is like this. In a law court, human greed about the property causes people to have a feeling of confrontation, to make the trial and even to commit murder. Therefore, the property plays a big role in making the incident forward. Also, people use the property as a means of bribery. It makes the court the wrong judgement which leads to the absurdity of society. Sometimes it is used as a way of getting out of the trouble when people are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property given in a law court novel has many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property reflects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makes the incident forward according to reality rules, Second, it forms invalid human relationships and whether he has big property or not has something to make a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Lastly, this law court novel reveals the complicated conflicts which people make with property.

      • KCI등재

        <이현경전>의 후대적 수용과 의미

        이병직(Lee, Byong-Jik)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이 글은 <이현경전>이 후대 소설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으며, 소설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현경전>의 사건 구조, 인물의 성격과 관계, 여성의식의 특징을 준거로 후대 작품과의 관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현경전>을 직간접 수용한 것으로 짐작되는 작품은 여성영웅소설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부장양문록>과 <정수정전>을 들 수 있고, 가문소설로는 <유이양문록>이 분명하며, 개화기에 신문에 개작 연재된 작품으로 <여영웅>이 있음이 확인된다. 이들 작품은 다른 갈래의 소설과 부단한 상호 작용을 하면서도 서사구조나 인물 형상 등에서 <이현경전>과 관련이 밀접하다. 따라서 <이현경전>은 18세기부터 개화기에 이르기까지 후대 작품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문학 작품은 다른 작품과의 상호 작용이 끊임없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이현경전>의 소설사적 의미를 세 가지 정도 짚어 보았다. 첫째, <이현경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입공담 모형을 완성하였으며, 여기에 신분노출담과 부부대립담 등을 두루 갖춤으로써 후대에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여성영웅소설이라는 하위 유형을 지속적으로 탄생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된다. 둘째, <이현경전>에는 복수가문이 존재하고, 겹혼인에서 비롯된 갈등 및 처첩 갈등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은 <유이양문록>과 같은 가문소설에서도 발견되는 요소로 여성영웅소설과 가문소설 간의 갈래교섭을 살펴볼 수 있다는 근거가 된다. 셋째, <이현경전>은 후대에 필사본, 신문 연재본, 활자본 등과 같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본 또는 개작으로 변모 계승되면서 독자 대중에게 유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남녀 독자 모두를 고려하여 내용이 손질된 이본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신문에 연재되면서 새로운 시대 상황을 반영하기도 하였다. 이 점에서 소설의 대중화와 통속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적합한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This thesis tries to figure out how much <LeeHyunKyeongJeon> has been related to novels of future generations and clarify what this work has meant in the novel history. The structure of events, character's personality and women's consciousness can be the criteria for judging how much this work has influenced on future generations' novels. In this work, a woman disguised herself as a man and achieved a great accomplishment, but she had some conflict because of marriage. The character's personality was superior to men's in many aspects. And the work had a characteristic that women showed wonderful self esteem. Judging from this criteria, the works which have been influenced by <LeeHyunKyeongJeon> are as follows. There are <BooJangYangMoonLock> and <JeongSuoJeongJeion> in the field of heroine novels. <YouLeeYangMoonLock> is the part of family novel world. Also Heroine is a serial story publicized in the newspaper. <LeeHyunKyeongJeon> has three meanings in the novel history. First, <LeeHyunKyeongJeon> established the basic structure of heroine novels. And it played a big role in producing other diverse and unique heroine novels continuously in the future generations. Second, we can search for the connections between the heroine novels and family novels through this work. These works had structural similarity. Most of the readers were women. They had common experiences of reading. Next, <LeeHyunKyeongJeon> spread through the various media such as transcribed text by posterity, publicized text in the newspaper, and printed text. Therefore, We make a conclusion that this work can be an material for scrutinizing publicity and popularity that the novel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