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효석 문학에서의 지리 인식

        이민부(Minboo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4

        소설가 이효석은 한국 현대 문학에서 지리 인식이 작품에 가장 뚜렷이 반영된 작가이다. 그는 그의 많은 문학작품에서 지리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작품 속에서도 학술적인 지리 용어들을 자주 구사하고있다. 유럽의 문학과 한국의 문학을 비교할 때도 그 지리적인 바탕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가 일생 동안 살았던 지역인 평창, 경성, 평양 등과 여행지였던 하얼빈 등 당시 만주국의 도시들에 대한 지리적인 설명을 많이남기면서 일상 지리학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문학평론가들도 이효석에 대해 향토성과 세계성 측면에서 지리 인식을 언급하고 있다. 이효석 문학의 지리 인식 연구는 문학지리학의 하나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Lee Hyoseok, one of the great authors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mostly reflected the geographical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his many literary works. He particular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gional geography in writing works and used many geographical items for his works. He stressed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European literature. His works present well the geography of daily life about his living places such as the Pyeongchang, Kyeongseong, and Pyeongyang and his tour cities in Manchuria including Harbin. In Korean literary world, the criticisms interpreted geographical identities such as regional localism and globalism for his works. The geographical perception in Lee Hyoseok’s literature maybe suggests a new direction of Korea’s literary geography.

      • KCI우수등재

        풍토의 지리학적 개념 분석

        이민부(Minboo Lee),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는 풍토 사용 문헌에 대한 서지학적 분석이다.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온 풍토라는 은유적이고 다의적인 개념을 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풍토의 개념적 기원은 지역과 장소에 대한 인간과 자연의 통합적 특성에서 출발하였다. 풍토는 인간의 정체성 형성, 지역의 특성 구축, 정치적 의미체계, 지역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기제, 나아가 예술의 토대로서 다양한 방면에 걸쳐 우리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풍토에 대한 개념적 의미와 유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풍토는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 삶에 영향을 주는 지리적 요소이며, 동시에 일상생활의 역사지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풍토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를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geographically the metaphorical and polysemous concepts of ‘Pungto(meaning the natural feature in the region)’, which have been daily used, mainly by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The study presents that the origin of concepts of the’ Pungto’ should be regarded as integrative characteristics of nature and humanity in the region and place. The case analyse demonstrates that the human identity, regional characteristics, political application, curious attention to region and foundation of art in the particular region and pla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Pungto’ mean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life in long time and the historical records in the region and place. This analysis expects the opportunity of starting point in geographical studies about ‘Pungto’.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이민부 ( Minboo Lee ),김걸 ( Kir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UN 인간환경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제시되었고, 1992년 브라질의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UN 환경개발회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이 주요 의제가 되었다. UN의 권고에 따라 2000년 9월 한국에서도 정부 주도의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격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지속가능발전위원회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은 `사회통합, 환경보호, 경제성장`의 연계였다. 그 동안 한국 지리학자들이 수행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연구 주제들은 주로 도시와 지역의 개발과 촌락의 보전에 대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나 지속가능성의 현실적인 적용에 대한 비판을 보면, 경제성장을 우선시하고 환경이 부차적으로 인식되거나 개념 중심의 형식적인 구호가 될 가능성 높다는 점과 선진국 중심의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담론만을 다루었다는 점 등이다. 즉 이론적 담론에 머물러 실질적인 정책 실현으로 구체화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리교육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계성을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을 제시하는데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혹은 지속가능성교육은 지역, 공간, 장소를 주제로 하는 지리교육과 지리학에 매우 적합하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글로벌 지리(세계지리)와 국가지리(한국지리), 지역지리가 공간적으로 연결이 되면 더 많은 성과를 이루어 낼 것이다.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first suggested at the UN Conference on Human and Environment(UNCHE) in Stockholm, Sweden in 1972. In 1992, the main agendum of the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UNCED) held in Rio de Janeiro, Brazil was sustainable development. On September in 2000, Korea had founded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PCSD)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as suggested by the UN. The concepts of PCSD were `social integ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growth.`The study topics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ers have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regions, and the preservation of villages. Considering the criticism on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it may prioritize economic development and put the environment behind it or become a formal slogan, a concept for the advanced countries only, or Neoliberalist globalization discourse. These criticisms should be considered when realizing the relevan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ibliographicall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r sustainability education is very suitable for geography education focusing regions, spaces, and places.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global geography, national geography, and local geography are spatially conn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