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이모영(Lee, Mo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을 미술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각적 경험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지각적 경험의 주요 이론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이 구체적으로 어떤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미술의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미술은 통합적 사고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통합적 사고방식은 미술의 이해는 물론 발견과 통찰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로 미술은 다양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삶에서 다양한 의견을 장려하고, 다름에 대한 개방성과 관용을 발달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로 미술은 소통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로 대립되는 견해가 존재할 때, 미술은 각각의 견해를 고유한 개별적 특수성을 통해 지각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미술은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미술교육에서 지각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본 논의는 미술이 우리의 삶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미술교육이 공교육의 현장에서 왜 등한시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거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for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ve experience in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issues raised on the social function of arts. For this, the paper will describe the concept of perceptive experience in detail and analyze major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ve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e significant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 of arts was discussed. The significant functions of arts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aspects were as followings. First, ar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grated way of thinking. This integrated way of thinking served a very critical role for the understanding of arts as well as the process of artistic discovery and insight. Secon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the sense of diversity and openness. Therefore, art education takes a very significant role to encourage the display of various opinions in life and develop the sense of openness as well as tolerance to differences. And third, arts served the function to accelerate communication. When confronting ideas exist, arts provides a very effective means to derive more ideal acts by helping people perceive each opinion by viewing others'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such approach, arts can greatly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onfrontation and complication spread in our society. The study that has approached the art education in terms of significance and role of perception is expected to provide the persuasive theoretical bases when it com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art in our lives and stress the art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예술심리치료에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의 치유적 함의

        이모영(Lee Mo-yo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본 논의의 목적은 예술심리치료에서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예술심리치료에서 왜 체화된 인지가 중요한가? 체화된 인지와 예술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예술의 치유적 효과에 대한 체화된 인지의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체화된 인지는 몸을 매개로 한 마음의 무의식적 측면을 강조함으로서 심리적 문제에 대한 기 존의 논의에서 많은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둘째로, 예술은 몸을 매개로 한 체화된 마 음을 표현하고 확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여 주요한 인지적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로, 예술은 체화된 마음을 표출하고 확장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우리 를 활성화시키고, 이완시키고, 세계와 관계를 맺도록 하고, 마음을 변화시켜 의미를 새 롭게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치유적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체화된 인지의 치유적 함 의에 대한 본 논의는 이론적 체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는 예술심리치료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여 예술심리치료의 학문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예술심리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healing im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in arts psychotherapy.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lected: Why is the embodied cognition important in arts psychotherapy? How specifically is the embodied cognition related with art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embodied 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healing implications of the art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embodied cognition emphasizes the unconscious aspect of the mind which takes the body as the medium, requesting many changes in the existing argument on psychological issues. Second, the arts provide effective methods that express and expand the embodied mind which takes the body as the medium to engage in major cognitive functions. Third, the arts provide effective means of expressing and expanding embodied cognition to activate and relax us, and enable us build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change our minds to construct a new meaning to facilitate healing. This paper on such healing implications of embodied cognition is expected to make an enormous contribution to intensifying the academic identity of arts psychotherapy and improving social consciousness toward arts psychotherapy by providing a crucial theoretical basis for arts psychotherapy which is lacking a theoretic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이모영(Lee Mo-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를 활용해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의 인지심리학적 기초를 형성하는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이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주요 특징들이 최근의 뇌신경 과학적 연구에 의해 어떻게 지지되는지, 그리고 창의성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각적 사고는 추상적 개념에 의한 논리적 사고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논리적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알고리즘의 기계적 사용을 피하게 해주어 사고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시각적 사고는 구성요소들을 동시적, 전체적으로 고려하게 함으로써 구조와 맥락의 이해를 촉진하고, 주어진 요소들의 역동적인 전환을 쉽게 해서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사고와 창의성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에 기초하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시각적 이미지 분석하기’, ‘구조적 특징 파악하기’, ‘대상을 직접 경험하기’, ‘심상 활용하기’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xecutive plans to foster creativity through visual thinking training in art education. On a practical scale the majo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thinking that forms the cognitive psychological basis of art were analyzed, and how they can be reinforced by the recent neuroscientific research was then investigated.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of visu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also examined. As a result, visual thinking helps avoid the mechanical use of an algorithm deriving from logical thinking based on abstract concepts, therefore facilitating the flexibility of thinking. In addition, visual thinking helps consider its constituents in a simultaneous, wholesome manner so that the given elements can be dynamically converted and the existing problems can be effectively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contemplation as to the relation between visual thinking and creativity, practical schemes expected to foster creativity in art education were suggested. In detail, some of the suggestions include ‘analyzing visual images’, ‘comprehen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experiencing objects in person’ and ‘utilizing mental images’. However, this research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visual thinking is the only way to enhance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s indicated by a number of theories with regard to creativity, a logical investigation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is also a crucial element that leads to creativity. The reason being is that the two cognitive processes must be balanced in a harmonious manner to ensure the optimal results of creative thinking just as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s of the brain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s of neuroscience of the brain. Nevertheless, visual thinking has been emphasized merely because its importance has been neglected. All in all, the activation of visual thinking, whose potential effects have been hidden behind the veil of negligence, to enhance creativity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art education.

      • KCI등재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가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함축적 의미에 관한 고찰

        이모영(Lee Mo-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2

        본 연구는 미술의 인지심리학적 기초를 형성하는 시각적 사고의 개념을 분석해보고, 이 시각 적 사고의 개념이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함축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적사고 개념을 통한 미술교육에 관한 고찰은 미술의 인식적 기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이 올바르게 평가되어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시각적 사고는 시각 정보나 시각 이미지를 조작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인지적 과정이다. 시각적 사고는 특히 전체상황에서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상호작용 효과를 처리함으로써 예술작품의 창조와 감상은 물론 창의적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술은 직접 경험의 형태로 대상의 본질적 특징을 발견하고 창조하는 인식의 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이를 통해 마음속에 잠재되어 있는 자발적인 창조의 욕구를 자극하고 사물을 탐구하고 발견하는 보편적 인식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는 삶의 중요한 한 영역임이 분명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cept of visual thinking which serves a cognitive basis for art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is concept in art education. A study on art education through visual thinking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gnitive functions of art and serves theoretical underpinnings for re-evaluat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rt education. Visual thinking is an activ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makes information processing possible by manipulating visual information and visual images. Visual thin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creative ideas and creating and evaluating art works by effectively processing interactions which are operative in the entire mechanism. Hence, art serves as a means of cognition which enables artists to discover and captur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through direct experience.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urse of general cognitive development, which helps to stimulate the need of creativity on the one hand and explore and discover objects on the other.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art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which is worthy of much attention.

      • KCI등재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모영(Lee, Mo-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논문은 사고유발기능을 중심으로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미지의 사고 유발기능이 실제 사례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꼴라쥬 미술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심층면접 을 통해 이미지의 사고유발기능을 중심으로 이미지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지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는 대상 에 주의를 기울여 더욱 면밀히 처리하도록 하고, 몰입을 증가시켜 사고를 유발하며 이를 통해 대화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본 연구는 우리 인간 인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도 유익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focusing on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the image. Collages artworks were developed to determine how specifically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an image takes effect in actual cases. In addition, the cognitive respons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n the image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the imag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he image performs the function to concentrate attention on a specific object and to process it more thoroughly. The image increases the immersion of the participants, evoked thought and activated conversation. This study prob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and is expected to greatly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 into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art.

      • KCI등재

        공감능력 개발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

        이모영(Lee, Mo-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본 연구는 공감능력 개발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을 시각적 사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적 사고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 시각적 사고의 개념이 공감능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교육이 구체적으로 공감능력을 개발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공감능력 개발을 위한 미술교육의 시각적 사고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미술교육은 지각의 민감성을 증가시킨다. 둘째로, 미술교육은 체화된 인지를 강화하고, 행위 유발성을 증가시킨다. 셋째로, 미술교육은 대상의 개별적 특수성올 지각하도록 하고, 사물을 다양한 관점에서 상이하게 인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세상을 더욱 열린 마음으로 대하도록 하고, 타인의 견해에 대해서도 더욱 개방적이고 수용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미술교육에 대한 본 논의는 미술교육이 삶에서 마주하는 많은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루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이는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consider about roles of art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empathic ability centered on discussion about visual thinking. For this. the perspective of visual thinking was written concretely. and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 of visual thinking and emphatic ability was analyzed. Furthermore. based on this. the roles of art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empathic ability was evaluated in detail. The roles of art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empathic ability are as follow: first. art education stimulates sensitivity of perception. For development of empathic ability that understands feelings and emotions of others. one needs to recognize tiny difference toward the subject by others and to develop sensitivity of perception that allows different experiences toward the subject. Second. art education reinforces embodied cognition and stimulates induction of actions. Images in art education reinforces embodied knowledge by physical experiences through perception. Furthermore. this embodied knowledge is directly related to our minds. and it stimulates concrete behaviors more conveniently. Third. art education allows one to recognize individual specialty of the subject and to recognize the subject in various and different perspectives. Through this. it allows one to treat the world with more opened mind. and it also allows one to be more open-minded and comprehending toward others' opinions. The discussion about art education persuasively shows that art education takes very significant role in resolving many practical problems in people's lives. Moreover, this role is expected to be great contribution for giving prominence to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예술과 인지의 경계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모영 ( M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3 No.-

        예술이 인지의 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생각은 학문의 역사에서 그 뚜렷한 기반을 지니고 있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예술은 그 특성상 주관적이고, 장식적이며 그리고 정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최소한 과학적 사고가 지배하는 현대 학문의 주류적 사고에서 예술은 이해와 소통의 한 형식으로 인식론적 이슈들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예술이 실제로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문과 교육의 장면에서 그 중요성이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와 같은 견해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21세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이미지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이미지로 이해하고 소통하는 우리 인간의 원초적인 의사소통방식을 부활시키고 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필요한 지식을 실시간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하는 수단으로 더 이상 경쟁력의 척도가 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기보다는,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고, 대상을 색다르게 경험하고, 의미와 감동을 체험하기를 원한다. 이와 같은 문화 트렌드의 변화에서 예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가 대상을 보고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하고, 타인의 고통을 공감하고 연민의 정을 느끼고, 풍부한 상상력을 갖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마음의 작용들은 우리 삶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렌드의 변화는 이해와 소통의 한 방식으로 예술에 대해 주목하는 계기가 되고 있고, 우리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인지의 한 방식으로 직접보고, 듣고, 만지고, 경험하면서 이해하는 인간인지방식에 대해 새롭게 조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연구는 예술과 인지의 경계 문제를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은 인지의 한 형식으로 우리의 앎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또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을 표현하도록 하고, 사물에 새로운 방식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고, 생각을 촉발하고 재구성하도록 한다. 예술은 또한 우리의 마음을 움직여 공감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행동하도록 함으로서 지식의 실천적 경향을 강화하고, 소통하도록 함으로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인지의 한 방식으로 예술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인간인지는 물론 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여 지식을 진보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예술이 인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인간의 이해가 예술의 인지적 기능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학문에서는 물론 삶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주지주의 교육 시스템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인간의 건강과 심리적 문제를 다루는 치료의 분야에서도 대안적인 방법들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예술이 삶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인지의 한 형식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드러내 보임으로서 예술과 예술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dea that art can function as a method of cognition does not have a clear base in the history of learning. Generally, art has been considered as subjective, decorative, and emotional regarding its characteristics. At least it has been considered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that is irrelevant to epistemological issues in the mainstream thought of the modern academics which are dominated by scientific thought. As a result, the important of art is not fully recognized in the scene of academics and education although art is in fact closely related with our lives. However, grea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is view recently. The advance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enabled the processing of images and thereby reviving the basic communication method man who understands and communicates through images. As people became capable of accessing the knowledge they need in real time through internet search, having great knowledge no longer became the criterion for competitive strength as a means to differentiate one from others. Therefore, people wish to create new knowledge, experience things in different ways, and also experience meaning and impression rather than simply obtaining knowledge. Ar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long with such changes in the cultural trend. The importance of the workings of the mind such as feeling beauty from an object, feeling impressed, feeling sympathy with other people``s pain and feeling the sentiment of pity, and thinking creatively with exuberant imagination is gradually growing in our lives. This type of change in trend is becoming a chance to pay attention to art as a method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shedding new light on man``s method of cognition which is to understand things by directly seeing, hearing, touching, and experiencing them, the most natural method of cognition of man, is rising. For such reasons,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 of the border between art and cognition focussing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As a result, art appeared to perform a very important function for our knowing as a form of cognition. Art lets people to express what cannot be explained in words or what is difficult to explain, give attention to objects in new methods, and unleash and reconstruct ideas. Art also moves our minds to enable emphatic understanding and act based on it to intensify the practical tendency of knowledge and communicate with it and plays an important function in eliminating social conflict.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art as a method of cognition is expect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xpanding of understanding about human cognition as well as art and also to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by expanding the prospect of research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Moreover, if it is a fact that art is closely related with cognition and man``s understanding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then a great change would take place in learning and also life. There would be a change in the intellectualist education system, and alternative methods could be discussed in the field of treatment that deals with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issue of man. Especially, it would be possible to contribute much to the intensification of art and art education by revealing that art can carry out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a form of cognition that understands and constitutes life.

      • KCI등재

        예술적 창조성과 시각적 사고: 예술창조 과정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이모영 ( M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6 美學·藝術學硏究 Vol.23 No.-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nto the importance of visu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In detail,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elf reports` made by a number of artis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arises unconsciously, automatically, and abruptly for the most part, and it is then adjusted and controlled by perceptual images rather than linguistic concepts. In contrast, numerous cognitive psychologists regard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as a universal, cognitive process as well as an intentional, rational proces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ystematic search. Nevertheless, such analyses are subject to a number of biases in that they oversimplify the complex mental phenomena involv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within the frame of the cognitive psychological principles. A recent neuroscience research has demonstrated a new type of thinking which acts quite differently from a logical investigation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ft hemisphere of the human brain carries out an analytic processing of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an image whereas the right hemisphere executes an synthetic, simultaneous processing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spatial relationship. Such processing by the right hemisphere manifests numerous characteristics identical to those of the process of visually processing information. Visual thinking helps avoid a mechanical use of an algorithm stemming from linguistic concepts, and are very much effective for reorganizing problems in that they facilitate a dynamic conversion of given elements, considering the constituent elements simultaneously as well as comprehensively with use of a visual image as a medium.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visual thinking helps conceptualize new ideas for an artwork,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works, which are expected to be a harmonious, coherent entity.

      • KCI등재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 시각적 사고 ' 개념이 지니는 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모영(Mo Young Lee) 한국미학예술학회 2000 美學·藝術學硏究 Vol.12 No.-

        N/A The issue of creativity in the artistic area, in that more original words of art must be created as compared to other area, has been long regarded as an important theme.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it significance of the concept `visual thinking` in artistic creativ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s four questions that can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artistic creativity. The first question is on difference between process of problem solving and process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second question discusses whether creative process is achieved gradually or suddenly. The role of unconsciousness in creativity is being discussed by the third question, and finally, the topic of whether mental image can facilitate artistic creativity` is dealt with.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by discussing the four mentioned problem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oncept `visu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