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정수의 1811년 연행과 대외 인식의 노정

        이명제(Lee, Myung-ja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3

        명청교체 이후 조선 지식인들은 조선을 중화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로 격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경주하였다. 조선 지식인들의 노력은 종족ㆍ지리ㆍ문화적 측면에서 중화의 지위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문화적 측면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청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중화문화를 내면화하는 문제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된 것과 달리 청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커져만 갔다. 즉 청조의 치세가 안정 될수록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청을 사유하는 방식이 분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李鼎受(1783~1834)가 활동하였던 19세기 전반의 서울지역은 다양한 사유들이 충돌하던 시․공간이었다. 한편에서는 18세기 후반 청 문물의 수용을 주장하였던 북학파들의 영향력이 아직 남아있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辛酉邪獄등을 통해 새로운 사상이 탄압당하고 외척 가문 중심의 권세가들이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고 있었다. 이정수는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용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대청관을 내놓았다. 그는 우선 조선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강조하는 한편 고조선의 지리적 강역을 공유하고 있었던 청과 경계 짓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청은 ‘이적’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받았다. 이적으로서의 청의 지위는 오삼계론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이정수는 송시열과 김창업, 그리고 일부 북학파에 의해 이루어진 오삼계에 대한 긍정과 청에 대한 이해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하지만 세계질서에 대한 이정수의 이해는 전통적인 시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정수는 외국조빙조에서 중국 정사 외국전의 전통에 따라 중국과 해외제국들에 대한 조공․책봉 관계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정수는 서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내었다. 그는 서양의 학문을 금수의 가르침이라고 표현하며 西洋禽獸論을 전개한다. 즉 이정수의 대외인식은 전통적인 중화와 이적의 구도가 여전히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계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儒學과 西學, 혹은 反儒學의 새로운 기준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정수의 문화적 화이관이 19세기 전반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긴밀한 연관을 맺으며 확장된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Ming-Qing transition, Chosun’s intellects made efforts to elevate Chosun as the only successor of Chinese civilization. Their efforts were made in a way to acquire the status of being China in racial, geograph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among them, the utmost effort was made culturally. Meanwhile, they also discussed how to deem Qing continuously. Although the matter of internalizing Chinese culture proceeded rather smoothly, their awareness of Qing differed further. In other words, as the reign of Qing became stabilized, the way of deeming Qing between ideology and reality began to be divided. In Seoul during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Lee Jeong-soo (李鼎受: 1783~1834) worked actively, a variety of ideas conflicted. Even though Bukhak School insisting the acceptance of Qing’s civiliz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still influential, new ideas were suppressed through Sinyusaok (辛酉邪獄) or such and the powerful centered around the families of maternal relatives were obtaining the political lead. Lee Jeong-soo accepted diverse opinions from Chosun intellects in the 18th century and presented his own unique view to Qing. First of all, he emphasized Chosun’s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and then, he tried setting boundary from Qing which was sharing territory with Gochosun geographically. Through this, Qing was assigned with its identity as ‘ijeok’. Qing’s status as ijeok was once again verified by Osamgyeron. Lee Jeong-soo did severely criticize the affirmation of Osamgye practiced by Song Siyeol and Kim Changeop and some of the Bukhak School members and reconsideration on understanding of Qing. However, Lee Jeong-soo’s understanding of world order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ewpoint. Lee Jeong-soo did stress the relations of jogong․installation towards China and foreign empires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political affairs to China in Oegukjobingjo. Also, Lee Jeong-soo revealed his severe hostility against the West. Insisting that Western sciences are the teachings of birds and beasts, he developed Seoyanggeumsuron (西洋禽獸論). In brief, Lee Jeong-soo’s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was still significantly grounded on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China and igeok, and when this is extended to the scope of the world, it is converted to the new criteria of Confucianism (儒學), Seohak (西學), and anti-Confucianism (反儒學).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Lee Jeong-soo’s cultural Hwaigwa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becoming extended.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일고

        이명제 ( Myung Jae Lee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7 No.-

        『燕行雜錄』은 1822년 연행에 참여한 조선 지식인의 저작이다. 『연행잡록』은 16권 16책의 거질로 중국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내용과 인문지리학적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은 『연행잡록』이 포괄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이 북경과 중국을 넘어 세계를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다. 『연행잡록』의 지리적 외연의 확장은 대청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청조가 번영을 구가하면서 18세기부터 조선 지식인의 청조에 대한 평가는 변화하기 시작하는데, 특히 ‘북학파’라 불리는 일련의 지식인 그룹에 의하여 청조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연행잡록』은 이러한 18세기 연행의 성과들을 수용하면서도 이전 시기에 비하여 무비판적으로 청조를 긍정하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8세기의 지식인들이 청조를 세밀한 관찰의 대상으로 여긴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청조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의존의 대상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세계관을 재구축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연행잡록』은 청조를 천하의 중심으로 인정하고 기존에 포섭되지 않았던 여러 국가들을 청조 중심의 질서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우선 명말의 지리서인 『廣輿記』의 체재와 내용을 수용하여 명대에 구축되어 있던 중화질서를 청조에 이식하였다. 두 번째로는 『광여기』에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 西學 수용의 논리였던 ‘중국원류설’을 차용하여 중화질서로 포섭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연행잡록』에 드러나는 대외인식의 단면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북학으로 대변되는 18세기 후반의 성과를 일정부분 수용하면서도 청조에 대한 종속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재정립하는 과정이었다. Yeonhaengjamnok (燕行雜錄) is a travelogue of the 1822 envoy from Joseon to Qing, which is written by an anonymous Joseon intellectual. It contains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of Chinese humanities, sociology, and geography at the time, in vast volume.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ravelogue has an especially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book is representing a widened world view of the author who grasped the world outside China. This widened perception of the world was derived from the shifting view on Qing China in chuson at the time. As Qing enjoyed its prosperity,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started to see Q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 group of scholars called ‘Bukakpa (School of Northen Studies)’ among the intelligentsia of Joseon pursued to learn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Qing and tried to see Qing with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e author of Yeonhaengjamnok accepted this new perspective and expressed an uncritica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Qing’s prosperity in his book. He regarded Qing as something his country should rely on, unlike those Bukakpa scholars who tried to carefully observe and analyze Qing. His perspective on Qing is well reflected on his widened world view. In Yeonhaengjamnok, Qing is described a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ose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cino-centric order of Ming are newly accepted as a part of Qing’s new hegemony. The author adopted the world view of a renowned geography a book from the late Ming China, Guangyuji (廣輿記), and established Qing’s world order based on that. He also accepted ‘the theory of Chinese Origi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used it to insert the areas that were not included in Guangyuji into Qing’s world order.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widened world view represented in Yeonhaengjamnok. The changed perspective enables ones to understand the re-establishing process of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world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to see how the tradition of Northen Studies in 18th century was appreciated in the following century.

      • 直四角形 密閉空間內의 速度分布

        李明帝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84 硏究論文集 Vol.2 No.-

        自然對流를 하는 直四角形 密閉空間內의 流體의 流動을 Navier-stokes equation을 數値的으로 풀어 解析했다. 密閉空間內의 垂直과 水平速度는 Grashoft수와 더불어 增加하고 最大垂直速度는 空間上端部에 存在하고 最大水平速度는 空間의 中心에 位置하는 것이 밝혀졌다. A two dimensional rectangular enclosure heated from below was considered. Primitive Navier-stokes equation and energy equation were solved numerically. The velocity components were detdrmin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velocity were increased with Grashoft Number. The maximmum verical velocity existed on the upper end of space. The maximum horizontal velocity existed on the center of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