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칡청국장이 난소절제 흰쥐의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이명예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one metabolism of ovariectomized ra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rowroot chungkukjang supplemented with more intensified isoflavone than general chungkukjang. Further mo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ikea (Korean fermented rice punch) manufactured with the arrowroot chungkukjang was also investigated. In preparation of chungkukjang, the optimized steaming time and fermentation period of the bean were 30 minutes at 121℃ and 48 hours at 40℃, respectively. The slime content (freezed dried poweder of silme material of chungkukjang) of chungkukjang prepared in above optimized condition was 4.25 % (w/w),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1,469 μg/g, genistein was 350.56 μg/g, and daizaein content was 223.66 μg/g, respectively. The slime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5.85%) in soybean-chungkukjang. The calcium content in sokchung-chungkukjang and soybean-chungkukjang were 267.01 mg% and 187.03 mg%, respectively. The genistein content of sokchung- chungkukjang was 535.67 μg/g to the highest value, then soybean- chungkukjang followed with 413.33 μg/g. The content of genistin of soybean-chungkukjang and seoritae-chungkukjang was 505.22 μg/g and 358.22 μg/g, respectively. The amount of daidzin and daidzein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soybean-chungkukjang with 269.30 μg/g and 357.5 μg/g, respectively. Total isoflavone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eoritae -chungkukjang and soybean-chungkukjang marking 1,440 μg/g and 1,381 μg/g each. According to sensory test, soybean-chungkukjang produced a little of bitterness and off-flavor, while the color and taste were the highest value. Arrowroot-chungkukjang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dditions of isoflavone powder (AI) such as 0, 1.76 (AC1-chungkukjang), 3.52 (AC2- chungkukjang), and 7.11 (AC2-chungkukjang) g/kg. As a result, the slime material content was the highest (7.35%) in preparation of AC2-chungkukjang. As AI increases, comparing to control, calcium content increased by ranged of 10.06-11.31%, genistein content were increased by ranged of 39.40-56.21%, daidzein content by ranged of 47.2~58.8%, and daidzin by ranged of 37.5-62.3% Forty-nine fe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200 ± 10 g)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NC (normal control group), SH (sham group), OV (ovariotomy control group), OV0 (generic chungkukjang-fed after ovariotomy group, isoflavone content 1.35 g/kg), OV1 (arrowroot chungkukjang-fed after ovariotomy group, isoflavone content 1.76 g/kg), OV2 (arrowroot chunggukjang-fed after ovariotomy group, isoflavone content 2.54 g/kg), and OV3 (arrowroot chunggukjang-fed after ovariotomy group, isoflavone content 3.11 g/kg). All rats were fed on experimental diet and deionized water (ad libitum) for 9 weeks after op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weight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V group, compared to the SH and NC groups (p<0.05). Meanwhile, the body weight of AC (arrowroot chungkukjang)-fed groups decreased, compared to OV group. Food intake of all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For food efficiency ratio, AC-fed groups were lower than OV group. To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V0 (generic chungkukjang -fed groups), OV1, OV2 and OV3 groups were around 11.2%-15.0% higher than OV group and their bone mineral contents (BMC) were around 7.0%-18.3% higher than OV group. In addition, for BMC and BMC per weight, AC-fed groups and OV0 group were 11.1-33.3% and 27.2-30.3%, respectively, higher than OV group, with special effect in OV2 group. In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LP) study, OV2 and OV3 group were 42.82% and 39.77% decreases, respectively, compared to OV group. Serum Ca+2 concentration was higher in OV2 (9.43 mg/dL) and OV3 (9.31 mg/dL) than OV (7.56 mg/dL). Creatinine levels in AC-fed groups and OV0 group were lower than OV group and the as the content of isoflavone got higher, the levels got decreased. Parathyroid hormone (PTH) content in AC-fed and OV0 groups were lower than OV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isoflavone. Serum calcitonin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OV2 group 37.48%, OV3 and OV0 group increased to 29.08% and to 24.95%, respectively, compared to OV group. Growth hormone (GH) content of OV group was the highest. However, after feeding AC-fed group, GH decreased, specially the highest decrease (63.64%) appeared to OV2 group. Compared to OV group, the serum estrogen concentration of AC-fed and OV0 group was increased and osteocalcin contents decreased ranged from 17.11% to 36.94%, Total-cholesterol and the triglyceride content in serum of OV2, OV3 and OV0 group were shown lower than OV group and especially OV3 group decreased with 25.41% for triglyceride. For HDL-cholesterol content of the serum, AC-fed and OV0 groups were higher than OV group, and for LDL-cholesterol content, al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V group in the order of OV2<OV0<OV3<OV1. The shikea was manufactured with hard-boiled rice in addition of AI (frozen-dry arrowroot isoflavone power). The amount of AI added was 10, 30, 50, and 70% (w/w) to the weight of hard-boiled rice. The total sugar content was increased to from 8.0 to 9.9 Brix as the rate of Al addition rised-up. Calcium content increased to range of 33.1-103.7 mg/g (w/w) when adding Al. When AI added, total isoflavone content in shikea increased to 1.84-3.29 times as R10 (control). The genistein content increased to 3.11-4.42 times. The daidzein content increased also to about 2.58-6.49 times. The daidzin content increased to 1.21-6.41 tim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test, R9 (AI 10% addition) of all the groups showed the lowest off-flavor and was the highest in taste. As a result, it was explained that R9 in the prepared groups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level. 청국장에 isoflavone이 다량 함유된 칡뿌리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일반 청국장보다 isoflavone 함량이 강화된 칡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난소절제 흰쥐의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칡청국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외식산업 현장에서의 칡청국장의 이용성을 검토코자 칡청국장을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하였으며, isoflavone의 함량 변화를 포함한 칡청국장 식혜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 제조 시 콩의 증자시간 및 발효기간을 조사한 결과 최적 증자시간은 121℃에서 30분, 발효기간은 40℃에서 48시간이었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청국장의 점질물 함량은 4.25%였으며, genistein 및 daizaein함량은 각각 350.56 μg/g, 223.66 μg/g, total isoflavone 함량은 1,469 μg/g이었다. 콩의 종류별(대두, 서리태, 속청, 약콩)로 제조한 청국장의 점질물 함량은 대두청국장이 5.85%로 가장 높았으며, 칼슘 함량은 속청청국장이 267.01 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약콩 및 대두청국장이 각각 187.03 mg%, 181.71 mg%이었다. Genistein의 함량은 속청청국장이 535.67 μg/g, 대두청국장이 413.33 μg/g이었고 genistin의 함량은 서리태 청국장이 505.22 μg/g, 대두청국장이 358.22 μg/g이었다. Daidzein과 daidzin의 함량은 대두청국장이 각각 269.30 μg/g, 357.5 μg/g로 가장 높았다. Total isoflavone은 서리태청국장과 대두청국장이 각각 1,440 μg/g과 1,381 μg/g으로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대두청국장은 쓴맛, 이취가 낮고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종합적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동결건조한 칡 isoflavone분말(AI)의 첨가량을 0, 1.76, 3.52 및 7.11 g/kg으로 달리하여 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점질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AI를 3.52 g/kg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AC2-청국장)의 점질물 함량이 7.36%로 가장 높았으며, AI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칼슘 함량도 10.06~11.31% 증가하였다. Isoflavone의 함량은 AI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여 genistein은 39.40~56.21%, daidzein은 47.2~58.8%, daidzin은 37.5~62.3% 증가하였다. 실험군을 NC(정상군), SH(sham 군), OV군(난소절제 대조군), OV0(난소절제 후 일반청국장 급여군, isoflavone 함량 1.35 g/kg), OV1군(난소절제 후 칡청국장 급여군, isoflavone 함량 1.76 g/kg), OV2군(난소절제 후 칡청국장 급여군, isoflavone 함량 2.54 g/kg) 및 OV3군(난소절제 후 칡청국장 급여군, isoflavone 함량 3.11 g/kg)의 7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한 쥐의 식이섭취량은 모든 군에서 15.67~17.63 g/day 범위였으며,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OV군이 가장 높았으나 AC(칡청국장 분말) 급여군들은 O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AC 급여군 및 OV0 군이 OV군에 비해 약 11.2%~15.0%, 골 함량은 7.0%~18.3% 높았다. 또한 체중 당 골밀도와 골 함량은 AC 급여군과 OV0 군이 OV군에 비해 각각 11.1~33.3%, 27.2~30.3% 높았고 특히 OV2군에서 효과적이었다. ALP(alkalin phosphatase)의 활성은 OV2 및 OV3군이 OV군에 비해 각각 42.82%와 39.77% 감소하였다. 혈청 내 Ca 함량은 OV2, OV3 및 OV0군이 OV군보다는 높았다. 뇨를 통한 칼슘, 인 및 creatinine의 배설량은 AC 급여군 및 OV0군이 OV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isoflavone의 함량이 높을수록 OV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혈청 내 Parathyroid hormone(PTH)과 osteocalcin 함량은 AC와 일반청국장 급여군에서 OV군에 비해 그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isoflavone의 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growth hormone(GH) 함량은 OV군에 비해 OV2군(0.04 ng/mL)의 경우 63.64%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calcitonin과 estrogen 함량은 AC 급여군과 OV0군이 OV군에 비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calcionin의 경우는 24.95%~37.48% 증가하였다. 혈청 내 total-cholesterol 함량은 OV2, OV3 및 OV0군이 OV군에 비해 29.73~29.93% 낮았고, 혈청 내 중성지질의 함량 역시 AC 및 일반청국장 급여 군이 OV군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는데 특히 OV3군은 25.41% 감소하였다. 또한 HDL-cholesterol 함량은 모든 군에서 OV군에 비해 높았고 LDL- cholesterol 함량은 OV2<OV0<OV3<OV1의 순으로 OV군에 비해 낮았다. AI(동결건조 한 칡 isoflavone 분말)를 고두밥 중량의 10, 30, 50, 70% 되게 혼합하여 제조한 식혜의 당도는 AI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높았다(8.0~9.9° Brix). 식혜의 칼슘 함량은 AI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10.37~3.21 mg% 범위였다. Total isoflavone 함량은 AI 첨가 식혜가 R10(일반 식혜)에 비해 1.84~3.29배 높았고, genistein 3.11~4.42배, daidzein은 2.58~6.49배, daidzin은 1.21~6.41배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식혜의 관능검사 결과 R9(AI 10%)가 이취는 가장 낮고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았다. AI를 첨가한 식혜(R7, R9)와 일반 식혜(R10)를 4℃에서 21일간 저장한 후 pH를 측정한 결과 AI를 첨가한 식혜의 pH가 일반식혜에 비해 높았다.

      • 만성 편마비 환자의 피부분절 전기자극이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 수축에 미치는 영향

        이명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환자에게 손가락 굽힘근에 해당하는 피부분절(C8)에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강직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근수축과 손 기능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뇌졸중 진단을 받은 지 6개월이 경과된 만성 편마비 환자 11명(남 9명, 여 2명)이었다. 피부분절 전기자극은 경피신경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강직근의 피부분절에 20분간 고주파(100 ㎐)와 가시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저강도로 실시하였다. 피부분절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강직억제 효과에 대하여 전기생리학적인 변화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근수축 개시 및 종료 지연시간과 동시수축 비의 변화로 알아보았고, 기능적인 변화는 Box and Block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 요인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손가락 펴기 동작을 실시하는 동안 폄근의 개시 지연시간은 피부분절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에 유의하게 단축되었고, 종료 지연은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그러나,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의 변화는 전기자극 전·후와 전기자극 동안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Box and Block test의 결과는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손가락 굽힘근에 실시한 피부분절 전기자극 방법은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를 감소시키지 못했으나, 근수축의 개시 및 종료 지연시간 단축과 손 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손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치료에 있어 피부분절 전기자극 적용과 동시에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기능적인 과제 활동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effects of dermatomal electric stimulation on reducing spasticity in hemiplegic patients through finger muscle contraction and on hand function. Eleven hemiplegic patients (nine male, two female), who had suffered strokes more than 6 months earlier, participated in the study. Electric stimulation of the finger flexors’ dermatome (C8) was carried out for one 20-minute session using low intensity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 (TENS) at an impulse frequency of 100 Hz.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was recorded during isometric finger extension under three conditions (before, during, and after stimulation) and the Box and Block test. The EMG dat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elay in finger extensor contra-ction onset and offset, and the co-contraction ratio of the finger flexor and extens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delay in finger extensor muscle contraction onset and offset was significant among the three conditions (p<0.05); the co-contraction ratio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0.05); and the Box and Block test changed significantly (p<0.05). Dermatomal electric stimulation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pasticity and shortening the delay in finger extensor muscle contraction onset and offset, although it failed to reduce the co-contraction ratio of the finger flexor and extensors. Furthermore, dermatomal electric stimulation can be combined with functional task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rehabilitation of hemiplegic patients.

      • 노인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명예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spective that many old adults are healthy, active, and productive,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ployment on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employment is linked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ere assessed. Posi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psychological wellness, self-mastery, and sense of happiness. Negative dimension was measured by depression. Data from N=434 persons aged 60 or over who were living in Choong Chung Province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6% of the respondents(N=113) was employed. About half of employed older adults had jobs for financial needs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jobs. Seco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ployment in older adulthoo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negative dimension of mental health. That is, those who were employed report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did those who were not employed. The beneficial effects of employment remained meaningfully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age of older adults. Third, the investigation o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employment has their effec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employment on mental health are mediated by self-esteem and life-satisfaction.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노년기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충남에 거주하면서 취업하고 있는 노인 113명과 미취업노인 321명 총 43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취업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고, 정신건강의 지표로 심리적 안녕감, 행복감, 자기숙달감,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인 취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메카니즘을 분석하기 위하여 심리적 매개변수를 투입하였으며, 매개변수로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첫째, 현재 취업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인 이유’로 취업하고 있는 노인들이 가장 많았으며(54.7%), 과반수 이상이 취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과 관련해서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섯 명 중 두 명의 노인이 ??임금??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미취업 노인을 대상으로 취업 관련 욕구를 조사한 결과, 다섯 명 중 약 네 명의 노인들이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취업하고 있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일자리가 없어서’가 46.6%,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24.5%로서 대다수의 노인들이 본인들의 의지로 미취업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서 취업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취업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취업 노인들의 우울감 수준이 미취업 노인보다 더 낮아, 취업은 정신건강의 부정적 차원(우울감)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성별, 연령)이 고려된 후에도 유의미하게 남아있었다. 넷째, 취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의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심리적 매개변수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투입한 결과, 노년기 취업은 자존감과 생활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정신건강(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연구

        이명예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의 조직공정성이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하고, 그 효과와 크기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남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를 위해 배부된 설문지 중 회수 사용된 설문지 332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으로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혁신행동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성남시 공무원이 인식하는 절차공정성은 분배공정성보다 혁신행동에 2배 정도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호작용공정성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공정성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영향력에서는 하위요인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비슷한 수준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에서는 하위요인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순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무원의 혁신행동은 개인의 능력에 따른 합리적인 성과평가와 보상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하는 분배공정성과 이에 대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절차공정성이 갖춰질 때 잠재 능력과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호작용공정성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공조직에서 상급자와의 심리적인 측면과 관계가 크므로 상호존중의 분위기가 조성될 때 자기효능감이나 조직몰입을 통해 혁신적 업무행동의 수준이 증가한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공공부문에 있어서 조직공정성과 혁신행동에 대한 요구가 점증하고 있는 실정에서 관료조직이 안고 있는 문제를 제거하고 행정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혁신행동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조직의 공정성은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을 통해서 혁신행동에 이르게 될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의 조직공정성,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실증함에 따라, 현재 지방자치단체 행정의 실상을 파악하고, 향후 행정조직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그 방법을 찾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표집대상을 다양하게 하고, 매개변수 및 조절변수를 달리하는 모형의 연구는 혁신행동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