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年) 개정(改正) 교육(敎育) 과정(課程)에 따른 한문(漢文) 교과서(敎科書) 『검정(檢定) 기준(基準)』과 『편찬상(編纂上)의 유의점(留意點)』의 특징(特徵)과 문제점(問題點)

        이돈석 ( Don Suk Lee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40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검정 기준』과 『편찬상의 유의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특징을 점검하고 한문 교과서 검정 제도의 문제는 무엇이며 이에 따른 보완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한다. 우선,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검정 기준』과 『편찬상의 유의점』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반복되어지는 기준들은 과감하게 제거하고 교과서 집필에 있어 최소한의 기준인 `공통 기준`만을 제시고 나머지 부분은 집필진들이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는 새로운 검정 방법이 새로운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되어진다. 다음으로 일반적, 추상적으로 진술되어 있는 『검정 기준』과 『편찬상의 유의점』을 가지고 교과서 합격, 불합격을 심사 하는 검인정 제도를 과감하게 타파하고 교과서 집필에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 해설서』를 지금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교과서 집필의 최소 기준으로써의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외형 체계`를 교과서 가격이 상승된다는 이유만으로 억제하고 있어 시각 매체에 길들여진 학생들에게 흥미를 잃게 만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의 `외형 체계`에 대한 기준을 삭제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 해 줄 수 있는 창의적 교과서를 집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을 종합 했을 때 교과서의 검인정 제도를 유지 할 것이 아니라 교과서 집필의 최소 기준만을 제시하여 교과서를 검정하거나 교과서를 자유롭게 발행할 수 있는 자유 발행제로의 이행이 요구되어진다. A new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been applied to the educational situation by textbooks. However, in Korea, when the textbooks are published, they are based on `standards for authorizing` and `instructions for publishing textbooks`, not on curriculum. This thesis is focused on reveal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uthorizing system by analyzing the `common standards` and `standards by subjects`, which are presented in `standards for authorizing` and `instructions for publishing textbooks` which are used in bo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ew revised curriculum in 2007. First, standards which are applied to both curriculums are almost same. As a result, `standards for authorizing` and `instructions for publishing textbooks` don`t play an effective role in publishing helpful textbooks. This shows that, rather than `standards for authorizing` and `instructions for publishing textbooks`, `the guide for curriculum` should be a standard for authorizing textbooks. Also, the current standards for authorizing textbooks force the publishing companies not to change the physical factors of textbooks, such as size, color, paper quality, which makes students lose interest in textbooks.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hat the current official approval system be abolished and the new system for publishing textbooks, that is free publishing system, be introduced.

      • KCI등재

        光復 以後 大學入學 試驗에서의 ‘漢文’領域 位相變化에 關한 一考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5 No.-

        우리나라의 대학입학 시험은 국가 주도의 대학입학 시험과 대학별 고사가 병존하였다. 국가 주도의 체계적 대학입학 시험은 1969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약 40년 동안 시행되었다. 대학별 고사는 1969학년도부터 1980학년도까지 시행되었다가 폐지되고 다시 1994학년도에 부활하였다. ``漢文``영역의 출제와 관련하여 국가 주도의 대학입학 시험이 시행된 1969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약 40년 동안 ``漢文``영역이 대학입학 시험에서 제외된 횟수는 16회였다. 그 중 3회는 한글전용 정책으로 교과서에서 ``漢文``영역이 사라졌기 때문이고 2회는 ``漢文科目``이 새롭게 신설되었으나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학습자들이 응시할 때까지 출제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1994학년도 이후 11회 동안 출제되지 못하고 2005학년도에 와서 다시 대입 시험과목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이와 다르게 대학별 고사에서는 1969학년도부터 폐지될 때까지 ``漢文``영역이 지속적으로 출제되었다. 결국, 국가에서는 ``漢文``영역의 교육적 필요성이나 의의에 따라 출제 여부를 판단한 것이 아닌 어문정책이나 교육과정의 적용과 선택과목의 확대 같은 외적 요인으로 출제 여부를 판단하였고, 대학에서는 기초학문으로 ``漢文``영역을 바라보았기 때문에 이런 이중적이 모습이 계속된 것이다. ``漢文``영역은 국어과목의 기초뿐 아니라 언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대학에 입학하여 修學할 수 있는 기초 영역이라는 점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이제는 ``漢文``영역을 ``제2외국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어의 한 영역, 즉 국어의 도구적 역할을 하는 영역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혹은 언어 영역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South Korea, the college entrance exam has been practiced for about 40 years, from 1969 to 2009. When it comes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period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part is period of entrance exam by colleges and the other is period of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rom 1969 until entrance exam by colleges was abolished,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as considered to be an essential element in the exam. That was because it was recognized as a foundation for college education and constant research. On the other hand, in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at started in 1994, the importance of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as ignored, which was because the national educational authorities judged it not by basis for learning but on the ground of external elements, such as language policy, curriculum, and extension of elective courses. After all, in response to claims of universities, the authorities couldn`t help including classical chinese as a elective subject in the National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Nonetheless, such measure was not beyond the level of recognition that classical chinese was only a second language.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offers not only necessary tools for Korean language research, but also important basis for college education. Furthermore, better acquisi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To sum up, it is time to think of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as a domain of Korean language, not as a second language. In other words, it is time to focus on the instrumental role of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 KCI등재

        1972년(年) 한문(漢文) 교과(敎科) 위상(位相) 변화(變化)에 대(對)한 단상(斷想)

        이돈석 ( Don Suk Lee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중·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은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부터이다. 한문과목이 학교 교육 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설정되기 전에도 한문 교육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한문 교과를 독립 교과로 인정한 1972년의 조치는 한문 교육을 위한 일대 전환점을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 1972년 한문 교과의 위상 변화까지 한문 교육은 매우 혼란한 시기를 겪어 왔다. 갑오개혁 이후부터 우리글을 `국문`, 우리말을 `국어`라고 부른 자각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글에 대한 새로운 자각은 개화파 인사들이 중심을 이루었고 그들 중 한글에 지속적 관심을 가진 이들이 이후의 어문 정책을 주도하게 된다. 그들은 35년간 억눌렸던 우리말을 되찾아 한글을 전용하자는 감상적 애국주의에 기초하여 국가의 어문 정책을 결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자, 한문은 척결의 대상이 되었고 봉건적, 부정적 요소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그 후 박정희 대통령은 한글전용 정책을 근본적으로 지지하여 1968년 10월 25일에 「한글 전용 촉진 7개 사항」을 발표하고 70년 1월 1일부터 모든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을 금지 시킨다. 또한, 외적으로 북한과의 경쟁적 어문정책으로 한글 전용을 촉진시켰으며, 대일 무역과 경제 협력으로 한문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한문 교과의 위상변화를 주도한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언어 사회적 격동기에 한문과 위상 변화를 내적으로는 몇몇 권력을 손에 쥔 정책자에 의해 어문 정책이 주도된 점과 외적으로 북한과 일본과의 관계를 주목하여 1972년 한문교과 위상 변화에 영향을 미친 斷想을 논의하고자 한다. Since a Law of Education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were amended in 1972, Chinese literature has had an independent status in secondary schools. Although Chinese literature had been taught before 1972, it had been regarded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e law that gave the Chinese literature an independent status laid the groundwork for great change in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Until 1972,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had suffered from a difficult, embarrassing time. Since the Gabo Reform of 1894, there had been self-awakening movements that called Korean language `Gookmoon` in writing and `Gookuh` in speaking, both of which mean that Korean language is our national language. Those who supported the enlightenment triggered the conscious movements. After that, those who were constantly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led the language policy in Korea. However, the policy was based on the sentimental nationalism that we should restore the primary status of Hangeul(Korean language) that had been taken away by Chinese Literature and use the Korean language exclusively. As a result,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characters were thought of as negative, feudal things and objects of fighting. In addition, Park Chunghee, the former president in South Korea, supported exclusive use of Hangeul policy, so he announced the Seven Measures for Promoting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on 25th October, 1968, then forbade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very official document from 1st January, 1970. In addition, the competition with North Korea in language policy intensifi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trade and economical cooperation with Japan suggested that the change in declining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required. This thesis is focused on showing that, during the social conversion time, the language policy was led by the power men and those linguists who support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political, economical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n and Japan affected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한문(漢文)과 한국사교육요소(韓國史敎育要素)의 상보성(相補性)에 대(對)한 탐색(探索)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8 No.1

        최근 통합, 융합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의 등장은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한때 통합수업, 통합논술 등의 모습으로 교육 현장에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의 중등학교 교육이 각 교과 영역에 따라 학습되기 때문에 각 영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기인한 것 같다. 한국과 같은 수평적 교과목의 구성은 학습자가 각 교과 간 학습한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교과 간 상보성, 혹은 교과 간 통합 수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 모형이 등장하고 있다. ‘한문’과 ‘한국사’ 교과목은 각각의 다른 교과 영역이지만 두 교과의 교육내용 요소가 밀접하므로 교과 간 도움이 될 수 있는 상보성을 모색할 수 있다. 우선, 2009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문 교과의 목표와 한국사 교과의 목표에 대한 비교를 통해 한문과 한국사는 보편적 교육 목표가 매우 유사하여 각 교과 간 유기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사 교육에서 한문의 어휘(한자어), 문화의 교육 내용이 도구적 역할을 충분히 할 수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문 텍스트의 객관적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그 자료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종합적 탐구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various theories related to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re recently emerged. This theories is influencing to the educational arena as an integral class, integral essay and so on. This phenomenon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idea which the curriculum areas could not b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Korean secondary education is studied according to each subject areas. The horizontal formation for school subject in Korea has caused a problem that the students should connect with each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s organically by themselves. This problem causes the emergence of new formation of the teaching model like the complementarity or integral classes between each curriculums. The Classical Chinese works as the subject on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urriculum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and the contents are also various. In these works, historical records or true for deeds of the Lord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classical”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History” before the 19th centuries are similar to the subject on “Chinese classical” curriculum as well as are the different curriculum area for each other. However, we can seek the complementarity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because both of them are closely related and supportable to each other.

      • KCI등재

        대학교양한자교육(大學敎養漢字敎育)의 현황(現況)과 교재분석(敎材分析)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교양교육은 영어의 ‘liberal education’을 우리말로 번역한 용어로 자유 교육이 라고도 한다. 이는 사회적 유용성과는 거리가 먼 인간의 정신을 자유롭게 하는 교육이다. 현재 대학의 교양교육도 중세 대학 교양교육과 유사한 개념으로 전공 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기초 능력 배양과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수 있는 기본적인 교양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종래의 대학 교양 한문 강좌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문·사·철을 막론하고 한국·중국의 고전을 망라했던 ‘한문’ 강좌는 줄어드는 반면 ‘한자’ 강좌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교양’ 또는 ‘기초’라고 명명되었던 강좌명도 ‘실용’이나 ‘생활’로 바뀌고 있다. 이른바 지성의 전당이라는 대학에서도 한자가 어엿한 과목의 하나로 개설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즉, 이러한 한자교육과 관련된 교양 과목의 개설은 지금까지 대학에서 敎授되었던 漢字로 기록된 文言文인 한문 고전에 대한 학습 보다는 ‘실용’, ‘생활’과 같이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필요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漢字나 語彙학습을 통해 올바른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 기초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고는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 운용되는 교양 한문의 현황과 대학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검토해보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볼 것이다. The current cultual education in University has a purpose that the students acquire the fundamental ability for the efficient study on major subject as well as the basic culture for human life like the medieval 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y. Now, however, the 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y is changing. The number of lecture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hich cover the classic for Korean and China regardles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re dwindling, while the number of lectur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re remarkab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name of lectures also change from "Culture" or "Basic" into "Practicability" or "Life".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ecome one of the lectures in university even called as "a hall of intelligence". The open of such a cultural lecture relevant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eans the concentration on improvement for any basic ability to use right words and help learning the other subjects. We will review this situation on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the cultural subject in University and the textbook currently being used in University and then will find any problem or improvement.

      • KCI등재

        한국전쟁(韓國戰爭時)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사적(史的) 고찰(考察)-쟁점(爭點) 용어(用語)를 중심(中心)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한문교육의 내용과 위상은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문교육 자체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문교육사 연구에 대한 실증적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미비하였다. 다만 1955년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어 교육과정사와 관련된 문헌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 근거가 확실하다. 해방이후부터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기 전까지의 한문교육과 관련된 실증적 자료는 부족하다. 이는 그동안 한문교육의 위상과 같은 외재적 요인으로 한문 과목의 필요성과 관련된 연구에 내용이 집중되었고 내재적으로는 연구자들이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실증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던 戰時 中 한문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신문 기사와 각종 자료를 발굴하여 한문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이나 용어, 발표 시기에 대한 진위 여부를 밝혀 보았다. 그 중 전시 한문 교육과 관련된 용어인 ‘戰時敎育特別措置要綱’과 ‘戰時學習指導要項’, ‘漢字指導要項’, ‘常用漢字’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The contents and phase of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refore, the historical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self to understand these changes was an essential a sphere. Until now, however, collect and organize the lack of empirical data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owever, because it remains the History of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the primary curriculum in 1955 that is certainly based. However, it is the fact for the lack of the empirical date relate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rule and before publishing the primary curriculum. For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externally focused o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needs of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s, such as the phas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nternally on the research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s, terminology and the time announced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uring war, who had not been examined empirically, are found out the truth with discovering the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the various materials.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의 사서(四書) 교육(敎育) 내용(內容)에 대(對)한 고찰(考察)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四書는 漢文學뿐만 아니라 漢文敎育에서 기초적 교육내용이라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문교과교육에서 四書敎育은 한국한문학에서의 四書敎育과 다른 특수성이 있다. 이는 중등학교에서 교과서를 통해 교육되어지기 때문이다. 중등학교에서 교육되어진다는 것은 결국 사서의 교육 내용을 교육의 목적에 맞도록 제재를 선정해야하며 사서에 대한 내용을 교과서에 가장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교육적 효율성을 제고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교육적 측면에서 기존의 사서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사서교육의 제재 선정의 문제점과 교과서 체제와 구성의 문제점, 그리고 사서교육의 중요한 내용인 유학철학과 관련된 내용이 소홀히 취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사서에 대한 교육과정이 부재한 현실을 지적하면서 ``四書敎育`` 나아가 ``經書敎育``에 대해 교육 내용을 조직화·체계화의 필요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생각해봄으로써 지금까지 사서교육이 단순히 ``중요하다``라는 추상적 생각에서 벗어나 한문교과 연구자뿐만 아니라 국가교육과정에서도 ``四書`` 나아가 ``經書``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내용, 목표, 성격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고 교육 내용과 영역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urse of Four Books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education has different feature from the one in Classical Chinese classics in Korea. The reason of this difference is that the course of education is made by the textbook of High school. It finally means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our Books in High school should be selected by fitting the subject according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n should be applied toward high efficiency of education. This thesis will find problem about such an education on The Four Books in High school and seek way for ideal education of The Four Books. And this will find difficulty for selecting subjects in current education for The Four Books and suggest new model for comprising test book contents. The Four Books is basic educational sector in Chinese classics as well as in Chinese education. There, however, is currentely not enough explanation about The Four Books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us,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contents of Chinese Education for The Four Books a swell as The Confucian classics should be suggested in the course of Education in High school.

      • KCI등재

        기획1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1) ; 한자교육(漢字敎育)의 미학적 접근 -자체변천(字體變遷)을 활용(活用)한 "형(形)","음(音)","의(義)" 통합교육(統合敎育)을 중심(中心)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東·西洋에서 ``美``를 바라보는 시각을 살펴보면 ``조화와 완전성``이 공통적인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漢字``에 대해 미학적으로 접근한다면 하나의 낱글자가 가지고 있는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漢字``와 ``敎育``이라는 어휘가 결합한 ``漢字敎育의 美學``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東·西洋의 ``美``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을 토대로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한자의 미``를 활용하여 ``字形``, ``字義``, ``字音``이라는 교육 내용 간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학습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여 교육내용을 완벽하게 지도하는 방법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자교육 내용 요소 간의 ``조화와 통합의 미``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자교육의 미학``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한자교육에 대한 미학적 접근은 한자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과거 교육내용만 반복하고 있는 현재의 문제를 한자교육 내용의 통합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point of both Eastern and Western view, "Aesthetic" is recognized as "Harmony and completeness" in common. According to its view, the Aesthetics can be recognized when each words who have "Shape", "Sound" and "Meaning"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How you can look at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hich is integrated both "Chinese Characters" and "Education". With base of common recognition on the Aesthetics in Eastern and Western,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Educational method that can make curiosity of learners through intimate integration of "Shape", "Sound" and "Meaning". Hope that you can look at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ough "Aesthetics of Harmony and Integration" in contents o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Aesthetic approach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suggest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s well as overcome current problem which is repeating past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새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매체활용법 모색(1) -한국고전종합DB 고전용어 시소러스의 특징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본고는 교육부 산하 학술연구 기관인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국고전종합DB의 ‘고전용어 시소러스’에 관한 다양한 활용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고전종합DB는 매우 다양한 자료가 서비스되고 있지만 인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만 중점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고에서는 시소러스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표제어와 패싯 기능을 활용한 검색 서비스’에서는 패싯 기능을 통해 검색결과를 축소시켜 검색자가 필요한 정보를 더욱 빠르고, 쉽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둘째, ‘효율적인 디렉토리 서비스’에서는 알고 싶은 주제는 있지만 어떤 검색어를 입력해야 할지 모를 때, 혹은 특정 시대나 지역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살펴보려 할 때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DB검색과 관계도 서비스’에서는 시소러스 검색 표제어가 한국고전종합DB와 연동되어 원문자료 및 번역자료까지 확인할수 있다는 점, 그리고 지금까지 검색한 모든 자료를 시각화된 디스플레이로 제공함으로써 ‘유의어’와 ‘관련어’, ‘하위어’ 간에 이동이 편리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he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is a database construction work that users find quality information widely with improvement of the search environment by grouping together various keywords into one keyword. Although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n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developed the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as of Sep. of 2005 and is providing this service, the most majors are unfamiliar with the service and seldom utilize them.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specific cases on the various usages of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with an introduction based on this critical mind.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d on "the Search service utilizing the function of Headword and Facet", "the Efficient directory service" and "the DB search and Relationship map".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a progress plan on the efficient "Korean Literatures Thesaurus".

      • KCI등재

        교육(敎育)의 3요소(要素)에 따른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의미(意味)에 관(關)한 일견(一見) -형식적(形式的) 한문교육(漢文敎育)을 중심(中心)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교육에서 교육의 3요소가 중요한 이유는 교육활동에서 이 3요소가 상호 실천적으로 교섭할 때 교육이 성립되며 그 가치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황 속에는 반드시 이 세 가지 요소가 존재하며 이 가운데 어느 것 하나도 빠지면 교육은 성립되지 않는다. 결국, 교육에서 교육의 3요소는 교육을 성립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漢文科 敎育``및 ``漢文敎科敎育``은 엄격히 말하면 ``漢文敎育``과 교육의 3요소에서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은 용어에서도 알수 있듯이 ``科``혹은 ``敎科``라는 개념으로 한정된다. 교과로서 ``漢文敎育``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교육법으로 제한되고 교재 측면에서도 교과서라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문교육이 이루어진다. 즉,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에서 교육을 주도하는 사람은 ``교사``이고 교육의 대상은 ``학생``, 교육내용은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다. 또한, 교육의 장소는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학교``라는 곳이다. 반면, 정규 학교교육 이외에 사회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한문교육``은 교수자, 학습자, 교재, 장소 등에 있어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및 ``대학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보다 법적 제한이 적기 때문에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한문교육``=``한문과 교육`` 및 ``한문교과교육``이라는 등식은 성립될 수 없으며, ``한문교육``은 ``한문과 교육``및 ``한문교과교육``을 모두 아우르고 두 용어보다 더욱 폭넓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때로 ``한문과 교육``, ``한문교과교육``, ``한문교육``의 개념을 모두 정규 학교 교육 속에서 이루어지는 ``한문교육``만으로 오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교육의 3요소에 따라 한문교육을 구분하여 연구영역 설정을 구체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문교육``이라는 용어를 보다 세밀화시켜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였다. ``한문교육``은 크게 ``형식적 한문교육``과 ``비형식적 한문교육``으로 구분된다. ``형식적 한문교육``은 ``한문교육``보다 작은 범위로 의도적으로, 또는 구체적인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교육의 3요소인 교수자, 학습자, 교재 등이 제한된다. 이 형식적 한문교육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대학에서 교육되는 ``대학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그리고 일반 ``사회 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으로 나누어지며 ``교과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 및 ``대학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은 ``사회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보다 교육의 3요소에서 제한 적이다. 한편, ``비형식적 한문교육``은 우리 문자생활과 동양문화권이라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데 교재가 필요하지 않고 사회로부터 받은 사회적 동화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생활 속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습득되는 한문, 혹은 현판, 간판 등을 통해 습득되는 한문도 한문교육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비형식적 한문교육도 ``한문교육``의 일환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In education, three factors of education-teacher, student, and textbook-complete the value of education by practically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That is, if any one of these three factors is left out, any educational activity can`t be completed. So, careful and specific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Strictly speaking, ``Chinese Literature Subject Education`` is very different from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each area of three factors of education. Because the scope of education is limited by subject or curriculum for ``Chinese Literature Subject Education``, only teacher and student are involved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educational materials are mainly based on the textbook. Finally, those are meant that the agent of education is a ``teacher``, the object of education is a ``stude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are based on ``textbooks`` for ``Chinese Literature Subject Education``. Furthermore, those activities take place in a ``school``, which is legally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s social education, not regular school education, can provide more variety of choices for teachers, students, textbooks, and places.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less restrictions legally in choosing them than ``Chinese Literature Subject Education``. Therefor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not equal to ``Classical Chinese Subject Education`` or ``Classical Chinese Department Education``. Rather, the former include the latter, so has a wider definition than the latter. The problem is that this diverse and distinct form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often mistaken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erformed only in regular school education. The point is that we should recognize this problem. We should separate out different form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epending on three factors of education, and then specifically determine an area of research. So, in this paper, I tried to bring forward new, specific defini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forms. One is ``Forma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other is ``Informa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orma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a smaller scope than informal education, and is performed based on intentional, definite plans. So, each domain of three factors of education-teacher, student, and textbook-is limited. Thi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divided in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social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Department education`` in regular school education. Surely, the latter is more restrictive in choosing three factors of education than the former. ``Informa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a kind of social assimilation. This form of education is possible because our letters and cultures are concern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This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unintentionally and unvoluntarily like acquiring Chinese Characters or Classical Chinese through signs or signboards in everyday life. Therefore, ``Informal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treated as a kind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