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성학대를 내용으로 한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반응 분석

        천희영(Hui Young Chun),이귀숙(Gui Sook Lee),신세니(Se Ni Shin)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year-old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42 five-yearold children and 2 of their teacher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observation, a diary record of the teacher`s class, and an interview with teachers about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in J and K daycare centers in Busan,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patterns of responses; consistent responses, awkward responses, and confused and frightened responses. These result imply that selecting picturebooks for sexual abus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needs to b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eading skills and sociocultural cognition regarding sexuality in general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그림책의 그림텍스트를 활용한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천희영(Chun Hui-Young),이귀숙(Lee Gui-Sook),신세니(Shin Se-N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성학대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그림책의 그림텍스트를 활용해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척도를 개발하여 사용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5곳과 초등학교 2곳의 만 4~6세 유아 299명이었다. 분석을 위한 초기의 문항 풀은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 몸의 자기 확신감, 감정 분별력, 성학대의 개념, 성학대 대처방법 등 4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를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 AMOS를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요인별 내적합치도, 상위와 하위 각 30%의 집단에 대한 요인별 집단 간 차이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척도는 ‘성학대의 개념에 대한 이해’,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 ‘성학대의 대처방안에 대한 이해’이라는 3가지 요인의 20문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척도’는 내적합치도와 문항변별도에서 유의미한 점수를 나타내어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측정을 위해 사용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성과 연령에 따른 성학대 이해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보다는 여아가, 그리고 연령이 많을수록 성학대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ation and acceptability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scale of sexual abuse using picture book. The participants were 299 children of four to six years old in Busan Korea. The 32 item pool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on the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exual abuse. For the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d t-tes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ponse to the scale were fitted to a 3-factors structure including the coping skills, the concept of sexual abuse, and victims. Second, the scale showed good or accep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Third for gender and age differences, girls had higher score than boys in coping skills and total scores. Also younger children had consistently lower scores on every factor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 성학대 예방교육을 위한 그림책의 내용분석

        천희영(Chun Hui-Young),이귀숙(Lee Gui-Sook),신세니(Shin Se-N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 성학대 관련 그림책에서 성학대의 인식적 요소와 대처 행동적 요소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성학대를 직접적으로 다룬 10권의 그림책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학대의 인식적 요소와 관련하여 유아의 ‘싫은 느낌’은 글 텍스트나 그림 텍스트 모두에서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 있으나, ‘성학대의 구체적인 행위’는 정확한 표현 보다는 간접적이고 은유적인 표현을 통해 그려지고 있었다. ‘성학대의 책임소재’에 관한 인식은 글 텍스트에서 성학대의 책임이 성인에게 있음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텍스트의 결말 부분에서 언급되고 있어 글 전체에서는 강조되어 드러나지 않았으며, ‘성학대의 피해자’는 대체로 순진하며 무력한 어린 여아로, 그리고 가해자는 평소 알고 지내던 성인에서부터 낯선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으나 대부분 남자 성인이었으며 친절과 위협적 행동을 동시에 보이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성학대의 대처 행동적 요소의 경우 ‘수동적인 대처’와 ‘거절하기, 도움청하기/ 폭로하기’등의 비교적 능동적인 대처가 골고루 등장하고 있었으나 작품별로 특정한 대처양식을 일관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부모 및 성인의 대처행동’은 정서적 지원과 현실적인 지원 모두를 포함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picture books describe the factors of cognitive and coping skills for young child sexual abuse(YCSA). For the study, 10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nd we foun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he factors of cognition of YCSA, 'hate feeling' was described clearly in the text and illustration. the 'sexual behaviors' were described metaphorically and indirectly. The 'locus of responsibility' wasn't described clearly, most of 'the victims' were simple hearted and powerless girls and most of 'the offenders' were male adults including both an acquaintance and stranger. Second, in the factors of coping skills, variety of passive and active skills like weeping, running away, shouting, and uncovering appeared, and parents and adults were helping children to recover traumatic experiences using both emotional and physical ways.

      • KCI등재
      • 이귀숙의 7개의 한국가곡에 관한 분석연구

        이귀숙 동덕여자대학교Art & Craft 연구소 2006 예술논총 Vol.8 No.-

        이귀숙의 7개의 한국가곡은 현대시를 바탕으로 작곡되어져 새로운 가곡형식 을 산출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시의 구조에서 벗어나 자유시의 형식에 따라 작곡 된 결과이다. 이러한 7개의 가곡에 나타난 시의 소재는 인간의 감정에 비유된 자 연과 연관되어 있으며 또한 이는 한국적인 정서가 배어나오는 근원이 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가곡의 형식 구조는 시의 내용과 길이에 따라 2부분, 3부분, 4부분으로 작곡되었다. 전통적으로 피아노 반주와 인성을 위한 독창가곡은 보통 성악부분(피아노 반주 포함)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낭만시대부터는 피아노 부분(피아노 서주, 간주, 후주)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성악부분(선율 & 피아노 반주)과 피 아노 부분과의 적절한 균형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었다. 가곡에서 피아노는 악기의 특성상 성악선율을 반주하는 것 외에 시의 내용을 암시하는 서주(Prelude), 시의 전개를 이끌어가는 간주(Interlude) 그리고 시의 전체적 내용을 마무리하는 후주 (Postlude)등 작품의 음악적 구조를 더욱 견고히 하는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귀숙의 가곡은 시의 내용을 음향적으로 잘 표출할 수 있는 피아노 부분에 비중을 두어 음악구조적인 변에 있어서 피아노와 성악의 동등한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귀숙의 7개 한국가곡의 화성적 토대는 고전·낭만시대의 조성구조로부터 벗어난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5음음계, 중세선법 등 다양한 음계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러한 음재료들을 기초로 성악부분은 한국적 내면정서가 깃든 자연스런 선율로 표출되고 피아노 부분은 한국적 화성이 현대적 음향으로 채색된다. 그러므로 이귀숙의 7개의 한국가곡들은 음악형식 및 구조적 비율 그리고 화성적 토대 변에 있어서 전통의 테두리 안에서 작곡가의 독자적인 현대적 음악어법으로 새롭게 작곡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이귀숙의 가곡들은 한국적인 요소와 서양적인 음악기법이 적절히 융합된 새로운 한국가곡 형식을 탄생시켰다. The Seven Korean Songs by Gui Sook Lee are based on contemporary free poetry, with the subjects being taken from diverse images of nature that reflect human emotions and evoke Korean spiritual depths. This poetry inspired the composer to use new formal designs that are constructed with two, three and four-part song forms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lengths of the poems. Traditionally, the primary emphasis in songs for solo voice and piano accompaniment is on the human voice. However, as styles shift from the Classic to the Romantic era, one fmds that the increased attention given to the piano leads to greater equality between voice and piano accompaniment. As in much nineteenth-century song, Gui Sook Lee's songs place great importance on the piano, using preludes, interludes and postludes to establish the mood and atmosphere of each song. An excellent balance is achieved between the solo piano sections and the parts featuring voice with piano accompaniment. In striving for this balance, she has demanded and achieved an altered technique of performance in the piano solo sections, with much of the motivic materials being shared between the piano parts and the vocal sections. Gui Sook Lee's harmonic style is a diverse one that is characterized by natural, harmonic, pentatonic, and medieval scales or modes. These harmonic vocabularies have been accepted and incorporated into her individual compositional techniques. Through her formal structures, harmonic language, sonorities, and other compositional devices, Gui Sook Lee's seven Korean art songs demonstrate her ability to integrate Korean spiritual elements with contemporary musical idioms. She uses Western instruments, but in ways that clearly evoke the Korean soul and spirit.

      • New experiments with Formal Structures in the Three Works by Gui Sook Lee

        이귀숙 동덕여자대학교Art & Craft 연구소 2007 예술논총 Vol.9 No.-

        As a composer who is highly conscious of formal structures, I have found myself experimenting in recent years with forms involving the process of departure from the original material and a varied return to that previously-stated material. Progressing from these experiments into a new formal outline, I have produced a mosaic form in one movement that is structured in several sections. To illustrate my experiments with new formal designs, three works, Motion for piano and orchestra (2001), Crustal Balls for violin, clarinet and piano (2005) and The Moment for solo piano (2007) will be offered as examples of mosaic structures. Alternating between slow and fast tempos, the pieces are constructed in mosaic forms which are subdivided into several parts. Approximately two-thirds of the way through each composition, I begin to reiterate ideas from the previous sections in a freer manner with motivic transformation. The works selected for this presentation consist of alternating slow-paced and animated sections that feature varied returns of previously stated thematic material. Music is perceived through the flow of time, and the listener can recognize what the piece says only after hearing the musi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this viewpoint, to comprehend the flow of music, the musical materials in the piece could be circulated in any order. The thematic materials in the first half of the compositions are juxtaposed in order as Parts A-B-C, and these contrasting ideas are then revisited in a different texture and reduced proportionally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piece. This process of statement and varied restatement leads to an economical, highly integrated one-movement composition that is easily perceived and well-received by the liste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