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참여 주체의 협력적 파트너십 인식 조사

        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정에 필요한 참여 주체의 협력적 파트너 십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실제 교과서 개발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 주체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협력적 파트너십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협력적 파트너십’은 구체적인 목적을 공유하는 집단 혹은 구성원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는 파트너십 관계에서 각 집단과 구성원이 서로의 책임과 역할을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합의하는 상호의존적 관계 양식을 의미한다.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구성한 설문 문항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참여 주체의 상호 인식 결과 집필진(80%)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인식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파트너십 성공 요인의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의사소통, 양립성, 갈등 관리, 신뢰, 상호의존, 공동운영통제의 요인이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협력적 파트너십의 성공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참여 주체 간 요인의 인식 차이를 확인한 MANOVA 분석 결과 의사소통, 양립성, 상호의존 요인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oretical about cooperative partnership and research the cooperative partnership cognition through the survey of the participation subjects who actually engaged at text development process. ‘The cooperative partnership’ is interdependence relation style which the group or member who share the concrete goal, actively consult each other while each recognize his responsibility and role and simultaneously respects other’s. The survey showed that textbook write group(80%) performs important role and as the result of the critical success factor analysis in developing textbook process cooperative partnership, communication, compatibility, conflict management, trust, interdependence, collaboration operation control is induced. As the result of the MANOVA analysis which confirm the cognition difference among the participants,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atibility, interdependence shows relevant of 0.5.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

        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교과 학습에서 교과 내용과 문식성은 모두 중요하며 상호보완적 관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제안하였다. 교과 내용과 언어 기능이 연계될 때에 교과 학습이 향상되고,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이 풍부해지면서 언어 기능도 향상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 교과 시간에 교과 내용을 배울 때 언어 기능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과 이원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내용을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문식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과학 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 다. 첫째, 과학과 교육과정에 ‘이원교육과정’(dual-track curriculum)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 개발 단계에 과학과 교육 전문가와 문식성 전문가가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셋째, 과학 교과 학습 주제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읽기 제재와 쓰기 과제를 과학 교과서에 제시해야 한다. 넷째, 과학 교과서에 ‘읽기와 과학 학습’ 코너, ‘과학 글쓰기’ 코너, ‘과학 글 읽기’ 코너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과학 교과 서에 ‘과학 교과 특수 기능’ 코너를 마련해야 한다. The relation of Subject content and literacy is complementary. By giving attention to this relation, in this study I suggested dual-track curriculum. When the student study abou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Science subject class, it is necessary to connect subject content with the language function. By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content and literacy, the student’s subject learning ability can be improved and by the abundant language use in context, the student’s literacy is also improved. In this study I observed respectively, the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Korean science textbook and subject literacy content which is reflected in American science textbook. I suggested desirable science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subject literacy on the ground of this study. 1. ‘Dual-track curriculum’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Science Studies curriculum. 2. Literacy specialist and Science Studies education specialist should be participate as core re-searchers at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cience subject textbook. 3. Various type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writing tasks about the Science Studies subject theme should be presented in Science Studies textbook. 4. In science textbooks, there should be a Read and Leaning corner and a science writing corner, and a science reading corner. 5. The science subject special skill corner should be provided in the science textbook.

      • KCI등재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견인하고 현장 교사들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체제와 내용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수 학습 현상 안에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위상과 기능을 갖는지를 정립하고, 최근 교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부상한 국어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 PCK 측면의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PCK라는 분석 기준을 토대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는 이전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판형과 디자인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배경 지식과 참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대강화’와 ‘상세화’의 딜레마 속에서 선택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수업의 성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 학습 과정의 실제를 구성함에 있어 해당 단원 및 차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수 학습의 과정 및 교수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build up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eacher’s guide book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CK and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teacher’s guide book development by an aspect of PCK. By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book I could have the implications as belows.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s contained pract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teaching as well as advanced format and design in external for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balance of both the process of elaboration and slimming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more concrete guidance of teaching’s direction is necessary in aspects of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mong the PCK components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teaching technique an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이경화(Lee, Kyeonghwa)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9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을 해석하고, 개정 누리과정을 성격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이 추구하는 ‘유아중심’을 ‘유아의 교육과정’과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의미로 풀이하였으며, ‘놀이중심’은 ‘놀이기반 교육과정’과 ‘놀이를 통한 배움’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공동체의 교육과정 참여’와 ‘자율적 교육과정 실천’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연구자는 개정 누리과정 실천을 위해 교사의 비판적 사유와 윤리적 실천 역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교사는 교육과정의 권리와 힘에 대해 그리고 배움∼가르침의 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귀 기울이기와 회절하기의 윤리적 행위를 통해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자율성을 실천해야 함을 제시하면서, 교사교육의 현실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essay was to interpret the latent meanings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teacher s competences for the curricular praxis. The researcher understood meanings of the child-centered’ as curriculum of young children and th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play-centered as playful learning and play-based curriculum , and the autonomy of curriculum as curriculum with communal involvement and becoming the curriculum .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have competencies for critical awareness and ethical act. Furthermore, it was explained that teachers constantly should put the questions about the rights and powers in the curriculum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and actualize the child-centered, the play-centered, and the curriculum autonomy through listening and diffrac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어 기초학력의 개념과 평가 개선 방안

        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어 기초학력의 개념 확장과 평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사회 변화에 따른 기초학력의 개념과 평가관의 변화를 고찰한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국어 기초학력 관련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결과 기초학력은 미래 사회에 살아갈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문해력, 수리력, 사회정서 역량을 의미한다. 국가 수준의 국어 기초학력 관련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평가 수준을 4수준에서 3수준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초학력진단보정시스템은 사이트 명칭을 평가 목적에 부합하도록 ‘교과학습 진단검사’로 수정하고, 교과 학습 진단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3R’s 검사지 제공 불필요하다. 그리고 교과 전문가 중심으로 평가 문항 타당도 및 신속성 개선하고, 평가 시기별 평가 요소의 불일치로 진전도 검사 무의미하므로 진전도 평가 삭제하여야 한다. 셋째, 국가수준 국어 기초학력 진단검사는 역량 중심의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명칭을 ‘문해력 평가’보다는 ‘국어 기초학력 평가’로 수정하고, 평가 학년 및 평가 주지를 명시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가지 개발 학년성과 문해 발달 단계의 일치시키고, <기초학력보장법>의 개념에 맞도록 3R’s 진단 검사 제공 필요하다. 또한 국어 교과 학습 평가가 아닌 국어의 범교과성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 개발하여야 한다. 결론 기초학력 개념은 다양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다양한 평가 목적에 맞게 다양한 기초학력 개념을 선택할 수 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역량 중심으로의 새로운 학력, 기초학력, 국어 기초학력 개념으로의 변화도 요구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 addi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prepared for national level evaluation tools related to basic Korean language skills. Resul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Conclusions The concept of basic academic ability is diverse and can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Various concepts of basic educa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evaluation purposes, an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change to the concept of new academic ability centered on competency, basic academic ability, and basic academic 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was also required.

      • KCI등재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고시문에 나타난 ‘유아’ 형상의 비판적 해석

        이경화(Kyeonghwa Lee)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고시문은 법률적 구속성을 가진 문서로서 유아교육 실제에 강력한 영향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적 담론으로서 작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시문에서 유아교육의 기본 전제이자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유아 존재를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1차 이후 현행 교육과정의 고시문에서 ‘유아’가 포함된 문장을 추출한 후,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 및 ‘유아’와 동시 출현하는 키워드의 빈도를 확인하고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 ‘생활’, ‘발달’ 등의 키워드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유아-발달’, ‘유아-생활’, ‘교사-유아’ 순으로 동시출현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에서 형상화 하는 ‘발달하는 유아’의 담론적 의미를 도출하는 한편,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발달주의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포스트휴먼 어린이(~어린이~)’로의 ‘유아’의 재형상화를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s a legal document which is publicly available, strongly influences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interpret the terminology used in reference to young children, which is the premi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sentences containing “young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the current curriculum.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solution, the frequency of keywords was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were check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keywords that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young child(ren)”. The information was visualized through a word tree, word cloud, and ego network. Based on this, the keyword frequency was found to be high for “education”, “life”, and “development”. Furthermore, “young child-development”, “young child-life”, and “teacher-young child” showed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in that order. Subsequently, the researcher critically discussed the developmentalist perspective on the term “young child”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refiguring it into a “post-human child(~child~).”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Kyeonghwa Lee(李京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7 No.7

        The author explor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ECE)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54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eachers frequently prepare young children for citizenship by using community-based rather than individualized goals. Furthermore, the majority cited knowledge related to a sustainable society, communal relationship-oriented values, and interpersonal skills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ECE. The research identified the participants’ conceptions of citizenship with regard to their national identity as Koreans. Moreover, the pedagogical possibilities in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a global citizen ident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의의와 과제

        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2009 개정 초등 국어교과서의 의의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해결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의의로는 ① 학년군제의 반영으로 계속성의 원리 구현, ② 통합적인 언어 활동의 강화 ③ 교수내용지식(PCK)를 고려한 교과서 활동 구성, ④ <국어 활동> 교과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 구현, ⑤ 연계성을 고려 한 국어 학습 지원, ⑥ 기초문식성 학습의 체계화를 들 수 있다. 향후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제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적인 통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둘째, 자기주도적인 원리로 ‘자기 지향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어>와 <국어 활동> 의 연계성을 보다 긴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통합적 국어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체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통합적 국어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여섯째, 초등 학습자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초등 국어교육 내용별 PCK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arch the meaning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o present the task and prospec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e meanings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are as follows. ① the realization of continuity by the reflection of the grades cluster curriculum ②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grated language activity ③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ctivity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④ the embodiment of the self-direct learning in korean language textbook activities ⑤ the systemization of the beginning literacy study. The tasks of the korean language elementary textbook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c integration of textbook is important factor. Second, self directivity is need to be reflected as the self-direct learning principle. Third,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it’s activities is necessary. Fourth, the study of the system and the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should be made for the integrating education. Fifth, the study of ‘the effective way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hould be made by the ground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each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

      • KCI등재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Lee, Kyeonghwa(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Since the 1990s, the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arriving for marriage and work in Korea has diversified the country’s population. This reshaping of the population has created a need for curriculum change in terms of how to prepare young children to become good citize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arly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54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wo semesters in 2016.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eachers frequently prepare young children for citizenship by using community-based rather than individualized goals. Furthermore, the majority cited knowledge related to a sustainable society, communal relationship-oriented values, and interpersonal skills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as important content areas for early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earch identified the participants’ conceptions of citizenship with regard to their national identity as South Korean. Moreover, the pedagogical possibilities in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a global citizen identit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탐구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54명을 대상으로 유아시민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인터뷰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들은 개인 지향의 목표보다 공동체 기반 목표에 중점을 두고 유아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공동체적 관계의 가치 그리고 대인간 상호작용기술을 유아시민교육의 중요한 교육내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시민정체성 개념을 도출하고, 유아기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적 전환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전통 육아문화에 대한 비교연구(Ⅰ)

        이경화(Lee Kye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면접조사를 통해 제주도 전통 육아문화 자료를 수집하고, 한반도 중심 한국 전통사회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그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출신의 자녀양육 경험이 있는 만 60세 이상 할머니 134명을 대상으로 자녀관, 태교실천, 신생아 관리, 주양육자, 수유 및 배변훈련, 심방의 역할, 주술적 처방의 7개 영역에 대해 준표준화 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 전통사회의 육아문화는 노동을 기반으로 하는 자립 지향적, 가족과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지향적, 심방과 주술을 매개로 하는 심리처방적 문화로서 그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rprets the meaning of traditional childbirth and care in the context of Jeju's traditional cultural value. Data in the study contain traditional childbirth and care from pre-birth to pre-kindergarten children in Jeju through interviews with elder women. Interviewees are 134 elder women over 60 who were born, and had had the experiences of parturition and nurturing in Jeju. Semi-standardiz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made to these women asking their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care. These interview materials were, first demographically quantified and analyzed in the seven areas - a view of child, prenatal care, new-born baby caring, main breeder, infant and toddler caring, Simbang(shaman), and incantatory prescription.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al childbirth and care in Jeju: First,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and care in Jeju are labor-oriented self-reliance culture. Second,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and care in Jeju are community-oriented culture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whole family and local people. Third, traditional customs of childbirth and care in Jeju are psycho-therapeutic culture utilizing Simbang and inca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