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성 연구

        이경한(Kyeong Han Yi),김민준(Min Jun Kim)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색을 중등학교와 후기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중 지식과 이해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능은 탐구기반 지리조사를 강조하는 자료의 조사, 분석, 해석, 추론하기를 중점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치와 태도는 자연환경의 보호, 감성, 책임감, 도덕성, 참여 등을 강조하였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핵심 지리개념을 공간, 장소, 스케일, 환경으로 제시하고, 이 개념들을 자연과 인문 과정, 환경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상호의존, 체계로 심화시키고 있다. 지리교육과정은 공간과 장소를 다중스케일 측면에서 살펴보고, 여기에 존재하는 자연적, 인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들이 만들어지는 과정, 더 나아가 이 모든 것들이 하나의 체계 속에서 상호의존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의 주요 주제는 자연지리, 인문지리와 지리조사로 조직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성이라는 화두를 중심으로 싱가포르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인식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지리교육과정은 지속가능발전을 생태주의의 핵심내용으로 제시한 후, 학생들을 환경정의를 삶 속에서 실천하는 미래시민으로 기르고자 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secondary and post-secondary geography curriculum in Singapore. An education objectiv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with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value and attitud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geography curriculum are mainly organised with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In skills inquiry of geography especially based on investigation, analysis, interpretation, inference etc. is emphasized. And in value and attitud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feeling, responsibility, morality, participation etc. are emphasized.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has key geographical concepts, based on space, place, scale, environment in secondary, and then deepen to physical and human processes, environment and cultural diversity, interdependence, and system in uppe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that it intends for students to view space and place with multi-scaling firstly, and then to respect physical and human diversity in there, and investigate the process of physical and human phenomena, and to consider their interdependence in system. Themes of geography curriculum are consisted of phys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geographical investigations. Mostly Singapore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s physical and human environment with sustainability which based on eco-cent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eography curriculum is to develop future citizens for environmental justice.

      • KCI등재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대안 모색

        이경한(Yi Kyeong Ha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의 각종 기관에서 제공하는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주의 멋을 역사경관에서 체험할 수 있으나, 전주시의 주요역사경관에 대한 체험 교육이 부족하다. 전주시가 전통도시임은 역사경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교육기회가 매우 적다. 다음으로 전주의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맛, 멋과 소리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이 세 전통문화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전주시가 조선 왕조 탄생도시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이를 체험할 수 있는 문화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그리고 전주의 근대문화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전주의 근대문화로는 카톨릭 성지 문화, 전봉준 장군을 위시한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입성, 근대영화의 본산임을 보여주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전주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풍요롭게 정교화되기 위해서는 유의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전통문화교육기관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둘째, 맛의 체험 프로그램을 비빔밥 중심에서 벗어나 전주의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음식 프로그램으로 확대시키고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리 체험의 장과 소리를 담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전주의 맛과 멋과 소리를 묶어서 체험할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주의 왕조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전주의 독특한 근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일곱째, 전주의 전통문화교육을 학교교육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TCEP) in Jeonju City, and suggested it s alternatives. And this study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major institutes of its education are culture institutes. And while culture institutes manage the education programs periodically and ordinarily, museums offer events programs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sharing amo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stitutes. Second, most of TCEP is focused on jeonju s zest. Relatively Jeonju s food and sound is little focused in TCEP. But Most people of jeonju and other regions cognize Jeonju s major culture as food and sound. So also TCEP will be more focused on food and sound cultures of Jeonju. Third, there are few experience education programs for Jeonju s historical landscape and royal city. And Jeonju s TCEP of zest, food and sound is offered separately. So to reenforce Jeonju s image on traditional culture, these programs will be wedded. Last, jeonju has many modern cultures, the catholic sacred land culture, revolution culture of Chosun Dynasty, and hometown of modern films. But there are few programs for modern culture in Jeonju. So, I think, modern culture and royal culture programs will be developed and offered more.

      • KCI등재
      • KCI등재

        교과서의 지역 정보에 관한 오류 분석 -전북을 중심으로-

        이경한 ( Kyeong Han Y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2

        I studied the region information of Jeonbuk Province, Korea and it`s fallacy patterns in the secondary textbooks. There are a various data in textbooks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region contents. In the textbooks there are many region informations about Jeonbuk`s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And region informations were presented as visual data than writing data. The fallacies of Jeonbuk region information have two types, the factual fallacy and the pseudo-fallacy. The factual fallacy ratio is 22.7%, and then it`s fallacy types was resulted as map presentation, history and culture, industry, place nam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pseudo-fallacy types are resulted in the omission of Jeonbuk`s cases in textbooks, the use of old data, irrelevance use of data. The typical case of the use of old data was the plan map of Saemanguem, Jeonbuk. The textbooks writers should search the fact of region information prior to writing textbooks because it will provide the false region information and misconception about the region to student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문제해결수업을 통한 도해력 신장방안 연구

        이경한(Kyeong Han Yi),배화정(Hwa Jung Bae)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8 No.1

        In geographical education, maps have valued as important means that understand geographical phenomena, instruments of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tools of research results. Graphicacy, an ability to comprehend maps is also important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it is considered as a basic knowledge form which should be dealt in geography and an essential ability to the children who are in a progressive developmental process. To make graphicacy education more efficient, teachers should be founded on the understanding of map concepts, and performed with student-focused rather than theory-focused expla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aphicacy extension model focused on student activity.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model, it was applied to a experimental group. The evaluation of the results was measured by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map-drawing(as evaluation of results of contents and process focused on instruction), the degree of lecture satisfaction, self-evaluation, colleague-evaluation, observation, and personal journal.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와 적용 -마을 숲 미기후 조사를 중심으로-

        이경한 ( Kyeong Han Y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지리 교과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G 고등학교 4명의 학생들과 만 6개월 동안 마을 숲의 미기후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프로젝트 학습은 지리 교과의 현장조사와 탐구를 연계시켜서 실시하여, 교실 지리 수업에 활기를 줄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장기간 자기 주도성을 가지고서 연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도와 활동성을 높여주었다. 프로젝트 소집단은 지리 탐구를 자원하고 학업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로 구성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교사의 지도에 따라서 보고서를 작성하는 능력이 우수하였다. 본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나 학습 의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질적인 소집단으로 구성될 때는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본 프로젝트 학습은 방과후 활동, 창의적 체험 활동, 방학, 자유학기제 등의 교내외의 교육과정 활동과 연계하여 지리수업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designed and applied project learning,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t in geography education. 4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ed this project on microclimate of village forest in Gangwha,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5 months. This project was performed with fieldwork and inquiry of geography learning. Also this project learning promot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geography through performing of students’ self direct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for long term. In this study they had no the difficulty on performing this project, because they were the volunteers and gifted students. They analyzed the investigation data, wrote the report well following teacher’s guide. It mean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or learning are the critical factors in project. So then I think this project learning will give active learning in geography classroom. But small group students who composed of different abilities may confront with the difficulties on performing this project learning. I think project learning will be adequately applied and used in geography classroom, and in extra curricular, especially weekend activity,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vacation activity, free semester etc.

      • KCI등재
      • KCI등재

        이러닝 환경 하에서 초등 사회과 선택형 학습의 설계 및 구현

        이경한(Yi Kyeong Han),김현주(Kim Hyun Ju) 교육종합연구원 2005 교육종합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e-Learning 환경에서 선택형 심화․보충학습을 설계하고 운영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 환경에서의 사회과 심화․보충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을 가능케 하여 사회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이해도를 증가시켰다. 둘째, 학생들은 e-Learning 환경에서 다양한 심화학습 과제, 보충학습 과제를 제시받고, 선택 학습활동을 함으로써 사회 학습에 대해서 보다 적극성을 보였다. 셋째, 학습자 자신이 학습 이해에 대한 자기 점검을 통해 심화․보충학습을 선택함으로써 학습자의 선택권이 존중되고,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을 준비하고 과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e-Learning 환경에서의 사회과 심화․보충학습은 기존의 사회과 수업보다 학습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고 수준별 학습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었다. 본 e-Learning 환경에서의 사회과 심화․보충형 학습은 학습자 개인의 능력과 흥미를 배려하는 데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는 개별화 수업, 수준별 수업, 자기 주도적 학습이 중요시되는 경우 그 가치가 더욱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designed the selective instruction on e-learning,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is instruction in primary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increased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n social studies, because it is possible for them to learn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on e-learning. Second, it encouraged students to learn social studies, as it is possible that teacher can give them a various deep tasks, and they do the selective learning activities. Third, it leade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s it give them the selection right of learning tasks and self-assessment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사회 탐구 영역의 지리 문제 설계 및 정교화 과정 - 2000 학년도를 중심으로 -

        이경한(Kyeong Han Yi)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9 No.2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geography questions design and it’s elaboration proces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Here I have dealt geography questions which I developed as question maker. I’d like to develop geography questions of Bloom’s understanding or application and analysis level. Geography questions, which designed on base of this mind, have been elaborated through discussion processes with another question makers in social inquiry domain. In this elaboration proces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possibility of falsity. But I know, over-consideration on the least possibility of falsity may make a distortion geography question into knowledge level ques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