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 교과서의 경제 단원에 나타난 소비자 교육 내용 분석

        이경윤(Lee, Kyung Yo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 경제 단원에 나타난 소비자 교육의 내용체계와 구성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교과서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이며, 분석의 단위는 문맥 단위로(content units)로 빈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대상은 4학년 2학기,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의 경제단원이다. 먼저 소비자 교육의 내용체계를 분석한 결과, ‘자원관리교육’이 가장 두드러지게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합리적 구매교육’과 ‘가치교육’은 그 다음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 소비자문제와 해결을 다루는 영역인 ‘시민의식 교육’은 단 한 차례도 다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소비자 교육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기능이나 태도 영역에 비해 지식 영역이 두드러지게 많이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기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서는 사회과 소비자 교육의 내용체계와 구성요소가 균형 있게 다루어져야 하며, 윤리적 소비에 대한 서술의 비중도 늘릴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s and components of consumer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conomic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unit was the context units, and the frequency of the analysis was determined to be shown in the textbook. The analysis showed that "resource management education" was the most prominent in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system, followed by "reasonable purchasing education" and "value education." However, "civilian consciousness education" has not been covered o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consumer education show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hey were more focused on knowledge than functional or attitude areas. Based on this study, the content system and components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balanced in the next socia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의 효과

        이경윤 ( Kyung Yoon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사회과 테크놀로지 활용의 이론적 토대로서 사회적 구성주의를 채택하고,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의 수업과 교사 주도 수업을 받은 집단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 중 내재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의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인 G, D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로 비교 집단은 교사 주도 수업을, 처치 집단은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을 받았다.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 2차 문제해결력 측정 문항의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습태도,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향상에서 집단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구성주의 접근의 수업은 교사 주도 수업보다 단순한 지식을 암기하는 영역을 제외한 지식·기능, 가치·태도, 행동 영역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양적 연구 결과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처치 집단 학생들은 제주도의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토론하였다고 진술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탐구력이 향상되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처치 집단 학생들은 인터넷에서 제주도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서로 공감하고 사회적 실재감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곧 높은 수업만족도와 수업참여도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chose social constructivism as the foundation of technology use in social studies, and intended to verify the efficacy of a class in which social constructivism was specifically applied.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cademic achievement, among scales measuring the comprehension leve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the prior knowledge factor. On the other h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cales measuring the level of problem-solv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prior knowledge factor and group factor.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ong-term learning effect, a second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was carried out 2 months after the end of the study.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rea of problem-solv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oup facto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learning attitud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the level of class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ly the group factor.

      • KCI등재

        web2.0을 활용한 초등 지역화 학습 방안 개발

        이경윤 ( Lee Kyung Yo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1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중요한 내용 조직 원리로써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지역화 학습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화 교과서가 단편적인 지역 자료를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가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화 학습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참여, 협력, 공유, 개방으로 특징지어지는 web2.0을 지역화 학습에 적용한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web2.0을 적용한 지역화 학습 전략은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학생들은 다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은 협력적인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략을 적용한 구체적인 지역화 학습 방안으로 디지털 아카이브의 형성, 타 지역 학생들과의 교류, 지역 문제 해결 방안 모색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s on web2.0 as a unifying solution for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web2.0 is an internet platform and culture that encourages sharing, openness,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web2.0, anyone can easily create new information and work with others to produce collaborative outcomes. This research considers web2.0 to be valuable when integrating technologies into regional learning classes, and suggests the methods of utilizing web2.0 during such classe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ree unified strategies were extracted. First, cooperative knowledges must be created by collaborating with a diverse array of people. Second, instructors must give assignments that are pragmatic, and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technologies necessary for accomplishing the assignments. Third, classes must be designed that are centered arou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ree cases of regional learning classes using such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시스템사고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 방안 모색

        이경윤(Lee, Kyung Yoon),조의호(Jo, Eui Ho),한춘희(Han, Choon Hee)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사회과에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 시민성의 함양을 목표로 하였지만, 복잡한 문제의 변수 사이의 순환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시스템사고에 주목하였다. 시스템사고를 통해 사회 문제에 관여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시스템사고의 의미와 방법을 알아보고,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초등사회과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단계는 ‘문제 확인 -> 기본 지식 습득 -> 시스템모델 설계 -> 시스템모델 검토 -> 해결책 제안 및 실행, 반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기준 [6사08-05]가 구현된 초등 6-2 교과서 2단원 내용 중 지구촌 환경 문제의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4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구성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Social Studies have so far aimed at cultivating rational citizenship, but there was a limi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complex problems and specifically suggesting solution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system thinking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ing this proble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roblem in dep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roblems through systems thinking and find a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i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method of systems thin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model applied with systems thinking was presented. The social studies class stage applying systems thinking is confirmation of problems ->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 system model design -> review of system model -> suggestio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solutions . The instructional lessons applying this model in this study correspond to the 15-17th session of Unit 2 of the elementary 6-2 textbook. In this study, by applying this mode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4th hour of searching for solutions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as reconstru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second part of the 6-2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 [6S08-05] was realized.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분석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의 관점에서-

        이경윤 ( Kyung Yoon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자기 조절 학습의 측면에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웹기반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사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 조절 학습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략들의 타당성을 확보한 후,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구현되어 있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전략의 Rehearsal tools와 Elaboration tools는 비교적 잘 구현되어 있었지만 Organization tools는 보완이 필요하였다. 둘째, 메타 인지 전략의 Assessment tools는 단원평가, 형성평가의 형태로 나타났지만 Goal setting tools와 Reflection tools는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동기 전략의 Help seeking tools는 형식적인 도움을 제공하는데 그쳤고, Feedback tools는 지나치게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피드백만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Communication tools 역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추후 자기 조절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의 개선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from self-regulated learning point of view. I reviewed the theory about self-regulated learning and identified thre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 suggest 9 tools which can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social digital textbook. My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hearsal tools and elaboration tools were implemented whereas organization tools were not. Second, assessment tools were implemented but goal setting tools and reflection tools were not. Third, help seeking tools, feedback tools and communication tools were implemented but these tools did not actually stimulate learning motivation. I hope that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for designing social digital textbook which supports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이경윤(Lee Kyung-Yoon),한춘희(Han Choo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3종의 구성체제를 분석하고, 한국의 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 연구이다. 교과서 분석 기준은 이종일 등(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기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단원 목차. 단원 도입, 단원 전개, 단원 마무리로 나누어 단원의 구성체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McGraw-Hill, Scott Foresman, Harcourt사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었다. 첫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 3종 모두, 수업의 도입이나 마무리에서 학습 내용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작품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체계적으로 지도 기능, 읽기 기능 등 구체적으로 기능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셋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단원 도입에서 학생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고, 단원의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종합해 보면 미국의 사회과 교과서는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학생들이 공부할 방향에 대해서 친절하게 안내해 주고, 자기 주도 학습을 촉진하는 교과서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차후 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Purpose: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t framework of three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in America and to find meaningful suggestions necessary for the revis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ethod: Research method is was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main criteria for analyzing textbooks was followed the criteria used in Lee(2004)’s stud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unit table, factors of the unit, description of the text, organization of the uni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various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unit. Second,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skills that are helpful for achieving the goal of the class. Third,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various materials to help students have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textbooks and to reflect good points on the revision of the textbooks.

      • KCI등재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박영석 ( Young Serk Park ),구하라 ( Ha Ra Ku ),문종은 ( Jong Eun Moon ),안성호 ( Sung Ho G Ahn ),유병규 ( Byung Gyu Yoo ),이경윤 ( Kyung Yoon Lee ),이삼형 ( Sam Hyung Lee ),이선경 ( Sun Kyung Lee ),주미경 ( Mi Kyung Ju ),차윤경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적 실행을 위한 제언을 탐색하기 위해 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지원한 STEAM 교사연구회가 개발한 교육 자료 가운데 고등학교 수준의 자료를 ‘융복합목표’, ‘융복합수준’, ‘융복합맥락’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교사연구회가 개발한 교육 자료들은 융복합목표, 융복합수준, 융복합맥락 차원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광범위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EAM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능동성, 그리고 다양성을 지원하는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부분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제들이 융복합목표와 수준, 맥락 차원에 관련된 구성요소를 수업에 도입하는 데 정형화된 접근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융복합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성과 능동성의 효과적인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융합인재교육의 발전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yungbokhap education in Korea and identify the remaining tasks for its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a wide range of relevant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had recently been developed by high school STEAM teachers with support from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analysis, we inquired what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were pursued, to what extent curriculum integration was achieved, and what kinds of context stood out in the instructional materials. The finding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ructional materials analyze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aterials set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and provided a variety of tasks to bridge students` cognitive resources to learning. However, the materials showed a tendency to patternize instructional modules, constituting a potential barrier to students` engagement in more authentic learning geared toward helping them become creative and autonomous learner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yungbokhap models of education.

      • KCI등재

        인구구조 공간분포 특성에 관한 유전자 알고리즘 적용방안

        최내영(Choei Nae Young),이경윤(Lee Kyung Y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3

        본고에서 적용한 유전자 알고리즘(GenAlg)은 다윈의 유전적 진화이론에 기반한 적정해 탐색기법으로써 공간연구에 있어서도 다양한 응용연구가 선행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신도시 개발과 함께 택지개발사업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화성시 동부권을 사례대상지로 GIS 툴을 이용하여 격자인구자료를 구축하고 자연환경변수와 함께 개발 촉진형 및 규제형 용도지역지구 지정현황 등 주요 인구동태 결정요인에 관한 공간정보를 구축한 다음 GenAlg 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동일 설명변수를 사용한 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해 봄으로써 GenAlg기법의 유용성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회귀분석과 유사하게 설명변수들에 대해 비교적 일관되고 설득력 있는 계수 값들이 도출되었고 이로써 GenAlg모형은 적자생존의 유전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도시현상과 관련한 제반 문제의 적정해를 찾는 유용한 학제적 탐색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Genetic Algorithm is one of the population surface modelling tool in the field of urban and environmental research based on the gridded population data. Taking the East-Hwasung area as the case, this study first builds a gridded population data based on the GIS databases as well as municipal population survey data. The study then constructs the attribute value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by way of GIS tools. The regression model constructed with the same variables is also run as a comparative purpose at the same time. It is shown that the GenAlg output predicted as much consistent and meaningful coefficient estimates for the explanatory variables as the regression model, indicating that it is a very use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ol to find optimal solutions in urban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