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TR&D를 통해 본 학교교육 관련 최신 연구 동향: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교육 현장의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우리가 앞으로 대처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학술지인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대상으로 최신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016년까지 최근 6년간 ETR&D가 발표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연관성이 있는 논문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연구영역, 방법, 인용횟수, 대상과 저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ETR&D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관련 있는 논문은 약 3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TR&D에 발표된 학교교육 관련 논문의 인용 횟수는 Scopus 기준 평균 13회, Google Scholar 기준 34회이었다. 그러나 실제 16편에서 18편 정도의 논문이 전체 피인용 횟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가 이루어진 영역은 설계, 활용, 개발 순이었으나, 인용 횟수 상위인 논문은 개발이나 활용에 관한 비중이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양적 자료를 활용한 실험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최근 실험연구는 감소하고 사례연구는 증가하는 동시에 질적연구와 혼합연구가 증가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주된 연구대상은 학생이었으며, 초·중·고등학생이 비교적 고르게 참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저자와 관련된 여러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공학 분야의 학교교육 연구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최신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학교교육에 기여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바를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has the responsibility to open a debate and discuss o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ies and its impact in school as well as how it contributes students' learning, competence build up and skill development.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studies published on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between 2011 and 2016 and determine how we can conduct research that is more relevant to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In total, 101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 published articles on K-12 schools in ETR&D accounted for approximately 35%. (b) on Scopus an average of citation was 13 and 34 for Google Scholar.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citations were concentrated on 16 to 18 papers. (c) the area that were mostly researched were on design followed by utilization and development. But the most cited papers were mostly made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d) cross-analyzing the research methodology, most studied type were experimental one, but the case study and mixed methodology were increasing in numbers published in ETR&D. (e) Students were main participants in school related article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evenly. (f) The last aspect that was analyzed was which scholars were at the forefront on K-12 schools in ETR&D. Based on the outcome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broaden the scale and the approach on future studies as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continues to grow.

      • KCI등재

        <기획논문1 - 북한산 일대의 문화유산> 조선후기 유산기(遊山記)에 나타난 북한산(北漢山)의 불교

        이경순 ( Kyungsoon Lee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북한산은 삼국시대 이래 불교 성지로서 수많은 사찰과 승려의 자취를 간직하고 있다. 특히 북한산의 불교는, 태고 보우 유적의 중요성과 더불어 북한산성을 수호하고 전국 사찰을 이끄는 도총섭이 주석하였다는 점에서도 조선 후기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후기 수많은 이들이 전국의 산을 유람하고 기록을 남겼는데, 북한산도 인기 있는 유람지 중의 하나였다. 조선후기 북한산 유산기는 당시 북한산의 여러 모습을 증언해 주는 가운데, 북한산 사찰과 승려들의 양태, 승영사찰의 운영과 실태 등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조선시대 유람기는 북한산이 경성 사람들이 좋은 경치를 즐기기만 했던 勝地에서, 왕과 조정을 방위할 山城과 군사시설을 볼거리로 갖춘 장소로 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준다. 이때 북한산의 사찰들은 승가 본연의 수행을 위한 곳보다는 국가적 임무를 담당한 기관으로 그려졌다. 승려들 역시 유학자들과 교유할 수 있는 문사적 고승이나 선승이 아닌 승군으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하지만 조선말에 이르면 승가의 기풍이나 군기도 흐트러진 모습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남긴 유산기는 조선후기 북한산 불교의 실상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을 증언해 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불교 교단에 대한 재발견 뿐 아니라 북한산성과 중흥사의 복원에도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ukhansan is one of the best-known mountains in the Seoul, south Kore a. There have been several Buddhist tradition site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late Chosun, the number of travelogues written by ruling literati class increased not except on the travel writings of Bukhansan.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Buddhist temples and monks in Bukhansan viewed through the travel writings in late Chosun. After the Imjin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state gave recognition to the Buddhist out of practical necessity and institutionalized positions for monks. The Chosun state mobilized monks for state projects. The significant examples were temples and monks in Bukhansan. In Bukhansan, several temples had been estab-lished and monks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mountain for-tress. In travelogues of Confucian literati, it shows how Buddhist tradition had been transformed and discolored in Bukhansan. It revealed a important characteristic of Buddhist conditions in late Chosun.

      • KCI등재

        학교교육에 대한 “교육공학연구” 동향 분석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어느 나라서든 초중등교육 현장은 교육학의 존재 이유다. 학습의 촉진과 수행의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육공학 분야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각종 국제비교평가에서 우수한 학업성취도를 자랑하는 한편, 공교육의 부재와 사교육에 대한 뿌리 깊은 논란, 그리고 학교부적응이나 학교폭력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복잡다단한 교육 현장에서 우리 교육공학자들은 그동안 무엇을 했을까? 그리고 우리의 그런 노력들이 과연 학교를 나아지게 했을까? 만일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했다. 이러한 탐색의 출발점으로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교육공학연구`를 대상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난 10년 간 `교육공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0편 가운데 약 3편 정도가 초중등교육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논문들의 주된 연구영역은 설계였으며, 보다 세부적인 주제로는 교수(체제)설계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주로 조사연구나 개발연구의 방법을 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는 절반 가까운 양적연구들이 변량분석을 활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연구대상, 저자, 참고문헌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그간 학교교육에 기여한 바와 한계를 간접적으로나마 성찰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바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examine findings from analysis of the past decade (2006-2015)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JET) in the fiel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to review the trends and issues of educational technology field`s scholarly community that have evolved in the last decad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prove periodic changes in the number of articles, the methodologies, the themes, the participants, authors and references. In total, 97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dings are organised in six themes: (a) the number of articles, (b) the content and themes, (c) methodologies, (d) participants, (e) authors, and (f) the cited and references. The findings showed that researches of JET in schools have showed biased tendency concerning their content, methodologies, statistics, participants and even author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JE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ward knowledge development in the school education and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accumulative knowledge helps researchers broaden the scale and approach of studies. Additionally, critical issues to conside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이은숙 ( Eunsuk Lee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04명에게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을, 사회불안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불안은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불안이 높을 경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소셜미디어에 과몰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회보상 관점을 지지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사회불안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공포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도 각각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동시에 사회불안의 두 가지 측면, 사회적 공포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모두에 대한 개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For the study, 204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a surve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self esteem, social anxiety and social media addic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dia addi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bu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The students’ tendency to be addicted to social media grow more, the lower their self-esteem dropped while their social anxiety rose. Second, soci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It shows that social media addiction is influenced by one's self-esteem and also affected by social anxiety. Third,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which are the subset of social anxiety, eac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reduce college students’ addiction, self-esteem should be raised and simultaneously there should be intervention on social anxiety -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교사의 자율적-통제적 동기유발과 중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하선형 ( Sunhyung H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고민은 학생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자율적-통제적)과 학생의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4개 중학교 578명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반면 교사의 통제적 동기유발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학습참여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율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셋째, 통제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통제적 동기유발이 학습참여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기본심리욕구가 상승시켰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자율적 동기유발과 학습참여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강화요인으로, 통제적 동기유발에서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고자 할 때 교사의 동기유발 방식과 기본심리욕구 충족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학습활동을 정교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mainl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eachers’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ive and controlling)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A total of 578 students (female = 305) completed a multi-measure questionnair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hypothesi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BPNS) and learning engagement. Specifically, autonomy supportive motivating related positively to students’ BPNS and learning engagement, whereas controlling motivating related negatively to th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support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means that this posi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vs. lowe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ntrolling motivating and learning engagement was moderated by BPNS. It also means that this negative relationship would be stronger when needs satisfaction was higher. This study thus highlights a potential value of BPNS underlying mechanisms between teachers’ motivating style and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to enhance learning engagement at school.

      • KCI등재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고아라 ( Go Ar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21명 대학생에게 성인애착,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 경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애착불안이 경험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경험회피는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경우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 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하였고, 애착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완전 매개하였다. 즉, 여자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애착회피 경향이 있을수록 경험회피에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남자 대학생의 경우는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경험회피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애착 유형과 성차에 따라 차별적인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college students is prevalent, and its relationship to attachment and experiential avoidance is unknown. A growing body of research examines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where users ca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meaningful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For the study, 221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a paper surve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adult attachment,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media addiction.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if any,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three mentioned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dia addi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style(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ttachment anxiety, the subse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attachment anxiety had a direct influence on social media addiction and simultaneously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in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Specifically, the attachment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 attachment avoidance was totally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that the social media addiction of female students are influenced by both insecure attachment style and the experiential avoidance may be need to be emphasized to a greater extent than 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s was not verifi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media addiction, the differential interven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and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